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예비교사가 초·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무엇인지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예비교사가 초·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무엇인지 알...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예비교사가 초·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둘째, 중등예비교사로서 가져야 할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미래대학교 사범대학의 학생들로서 ‘교육현장의 이해’를 수강한 30명이다. 이 연구를 위해 중등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등예비교사가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또래의 어울림’, ‘교사의 보살핌’, ‘장애의 이해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중등예비교사로서 가져야 할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필요’, ‘통합교육에 대한 전문성 강화’,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책 필요’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condary reserve teachers’ recog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ways of backing up inclusive education from diverse angles in pursuit of successful and smooth inclusive education. Two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condary reserve teachers’ recog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ways of backing up inclusive education from diverse angles in pursuit of successful and smooth inclusive edu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s; Firstly, what comes into secondary reserve teachers’ mind in thei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years when it comes to inclusive education? Secondly, what should they think of inclusive education as secondary reserv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udents who were in the education department of Mirae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y took a course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education. The data on secondary reserve teachers’ opinion about inclusive education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ir ideas on inclusive education in thei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years, several things came into their mind: mingling with peers, care by teache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s for the due way of looking at inclusive education as secondary reserve teachers, they replied that they should look at disabled students in a positive manner, and they also mentioned bolstering their professionalism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assistance for inclusive educ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support plan and follow-up research for conducting the inclusive education more smooth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흥,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29, 2010
2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문화 탐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3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2 (12): 161-176, 2005
4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특수아동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1
5 김남순, "특수교육행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0
6 김희규,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7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8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9 도성화, "통합교육에대한 일반 교사의 인식" 41 : 253-270, 2003
10 손선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33-155, 2007
1 김기흥,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29, 2010
2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문화 탐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3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2 (12): 161-176, 2005
4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특수아동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1
5 김남순, "특수교육행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0
6 김희규,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7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8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9 도성화, "통합교육에대한 일반 교사의 인식" 41 : 253-270, 2003
10 손선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33-155, 2007
11 김원경, "최신 특수교육학개론" 양서원 2011
12 김원경, "최신 특수교육학" 학지사 2011
13 김주홍, "장애중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14 박영희, "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3 (3): 123-143, 2006
15 권창길, "장애유아 통합교육에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8 : 151-179, 2005
16 박윤자,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3 (3): 43-66, 2003
17 황용녀, "장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대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7 (7): 41-60, 2005
18 김홍주, "장애아의 통합교육에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수준" 35 : 373-397, 2000
19 한민경, "장애 유아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43-73, 2009
20 서현아,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6 (6): 125-152, 2002
21 이영선,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 관련 교직과목의 효과적 교수: 개념적 구조" 특수교육연구소 9 (9): 95-120, 2010
22 손승현,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의 운영방안 모색: 미국대학의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29-161, 2010
23 권유진, "실과(기술․가정)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8 (28): 57-74, 2010
24 이은주, "대학에서 특수교육론을 수강한 초임 일반초등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자질의 유지"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41-168, 2006
25 윤성원, "기독교계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29 : 131-157, 2009
26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8
27 Stain, P. S., "The need for longitudinal, intrnsive social skill intervention : LEAP follow-up outcomes for children with autism" 20 : 116-122, 2000
28 Vaughn, S., "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on and resource room settings" 32 (32): 79-88, 1998
29 Lane, K. L., "Students with and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Meeting their social an academic needs" 49 : 6-9, 2005
30 Mcleskey, J., "Perspectives of teachers toward inclusive school programs" 24 : 108-115, 2001
31 Spradley, J. P., "Participant Observation" Rinehart and Winston 1980
32 Burstein, N., "Moving toward inclusive practices" 25 : 104-116, 2004
33 Loreman, T., "Inclusive education: A practical guide to supporting diversity in the classroom" Routledge Falmer 2005
34 Schwartz, L. L., "Exceptional students in the mainstream" Wadworth publishing company 1980
35 Larrive, B., "Effect of inservice training intensity on teacher’s attitudes toward main streaming" 48 (48): 34-39, 1981
36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at risk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31 : 3-29, 2003
37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2011
38 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장애아동 및 통합교육에 대한 독일 예비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점자사회교과서 시각자료 점역의 표현 형식과 정도 및 적절성 분석
다문화 교육을 위한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 간 역량 비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4-01-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9 | 1.64 | 1.895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