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라톤의 ‘좋음의 이데아’ = 개념추론과 정치교육적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1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wo. The first is to define ‘the idea of the Good’ in Republic of Plato. The second is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of Plato`s idea of the Good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s. In doing so, this article analyses t...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wo. The first is to define ‘the idea of the Good’ in Republic of Plato. The second is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of Plato`s idea of the Good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s. In doing so,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the idea of the Good’, and investigates what philosopher king should do, and what sort of arts as a practical knowledge he/she should have. As the resul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in Plato`s works can be defined as “the measure with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ratio(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which can be convergent to the measure. And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and 6 subjects have a remarkable implication on political education of the citizens these days, by proving their relationship to the jobs and the arts of philosopher king/que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플라톤, "필레보스" 서광사 2004

      2 임재훈, "플라톤의 수학교육철학" 경문사 2004

      3 김용민, "플라톤과 루소에 있어서 지식과 정치" 33 (33): 39-67, 1999

      4 윤병렬, "플라톤 철학의 선-형이상학적인 구조" 중앙철학연구소 29 : 1-30, 2011

      5 임진용, "플라톤 사상이 근대 천문학 탄생 과정에 끼친 영향"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7) : 342-378, 2010

      6 서중현, "플라톤 교육론과 한국의 교육개혁" 새한철학회 2 (2): 177-203, 2005

      7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상하" 종합출판 범우 2011

      8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9 플라톤, "크리티아스" 이제이북스 2007

      10 서영식, "좋음의 이데아의 특성과 그에 대한 인식 -태양과 선분의 비유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71) : 135-154, 2005

      1 플라톤, "필레보스" 서광사 2004

      2 임재훈, "플라톤의 수학교육철학" 경문사 2004

      3 김용민, "플라톤과 루소에 있어서 지식과 정치" 33 (33): 39-67, 1999

      4 윤병렬, "플라톤 철학의 선-형이상학적인 구조" 중앙철학연구소 29 : 1-30, 2011

      5 임진용, "플라톤 사상이 근대 천문학 탄생 과정에 끼친 영향"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7) : 342-378, 2010

      6 서중현, "플라톤 교육론과 한국의 교육개혁" 새한철학회 2 (2): 177-203, 2005

      7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상하" 종합출판 범우 2011

      8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9 플라톤, "크리티아스" 이제이북스 2007

      10 서영식, "좋음의 이데아의 특성과 그에 대한 인식 -태양과 선분의 비유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71) : 135-154, 2005

      11 염수균, "좋음의 이데아와 목적론적 해석" 7 : 91-110, 1992

      12 플라톤, "정치가" 도서출판 한길사 2000

      13 주디스 스와들링, "올림픽 2780년의 역사" 효형출판 2004

      14 김해성, "시민교육의 역사" 도서출판 한울 2007

      15 뤽 브리송,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플라톤: 수사학, 철학적 대화, 변증술"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85-113, 2011

      16 B. 러셀, "서양의 지혜" 서광사 1990

      17 플라톤, "법률" 서광사 2009

      18 김용민, "레오스크라우스의 정치철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19 플라톤, "국가․정체" 서광사 1997

      20 아리스토텔레스, "고대 그리스정치사 사료 : 아테네․스파르타․테바이 정치제도" 도서출판 신서원 2002

      21 클로드 모세, "고대 그리스의 시민" 동문선 2002

      22 손승남,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지만지 2009

      23 Plato., "Theaetetus, Sophist, translated by Harold North Fowl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24 Plato., "The Republic of Plato, translated by Allan Bloom" Basic Books 1968

      25 Demos, Raphael., "Plato`s Idea of the Good" 46 (46): 245-275, 1937

      26 Cooper, John M.,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27 Cornford, F. M., "PLATO`S Theory of Knowledge" Routledge & Kegan Paul 1979

      28 Guthrie, W. K. C.,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Volume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21st centry Political Science Review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21세기정치학회보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57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