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과 정전화 과정 연구 = The 'nature' in Chenglokcip and its canoniz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번역하기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 『청록집』 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 『청록집』 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 『청록집』 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직, "해방기시단의 청록파" 외국문학 1989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출판부 2000

      4 조지훈, "한국현대시의 반성" 사상계 1962

      5 이숭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남호,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자연의 모습, 현대한국 문학 100년" 민음사 1999

      7 오세영, "한국현대 詩사" 민음사 2008

      8 문덕수, "한국의 현대시정" 사상계 1968

      9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일지사 1969

      10 김우창, "한국시의 형이상-하나의 관점,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8

      1 김용직, "해방기시단의 청록파" 외국문학 1989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출판부 2000

      4 조지훈, "한국현대시의 반성" 사상계 1962

      5 이숭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남호,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자연의 모습, 현대한국 문학 100년" 민음사 1999

      7 오세영, "한국현대 詩사" 민음사 2008

      8 문덕수, "한국의 현대시정" 사상계 1968

      9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일지사 1969

      10 김우창, "한국시의 형이상-하나의 관점,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8

      11 김문주, "한국근대시의 자연 형상과 전통적 성격" (16) : 2006

      12 박현수, "초기시의 기묘한 풍경과 이미지의 존재론, 박목월" 새미 2001

      13 정한모, "청록파의 시사적 의의, 현대시론" 민중서관 1973

      14 심선옥, "청록파의 문학사적 의의와 박목월의 초기시 연구" 6 : 1995

      15 김승희, "청록집과 탈식민화의 저항 - 상상적 지리학, 민족문화 기억하기와 해방의 담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159-186, 2006

      16 정지용, "조선시의 반성" (27) : 1948

      17 황종연, "정지용의 산문과 전통에의 지향" 10 : 1987

      18 남송우, "정지용 시가 청록집에 미친 영향" 5 : 1998

      19 김홍진, "자연의 재신화화와 탈신화화- 한국 현대시의 유토피아와 반(反)유토피아 상상력 -" 한국언어문학회 58 (58): 333-358, 2006

      20 김동리, "자연의 발견-三家詩人論" 3 : 1948

      21 엄경희, "자연시의 전통과 세계관의 변모,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 소명출판 2004

      22 강영안, "자연과 자유사이" 문예출판사 1998

      23 장회익, "이분법을 넘어서-물리학자 장회익과 철학자 최종덕의 통합적 사유를 향한 대화" 한길사 2007

      24 김동리, "신세대의 정신" (16) : 1940

      25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대 출판부 1986

      26 박목월, "시작 노우트-청록집 주변,청록집" 심중당 1976

      27 김주연, "시에서의 한국적 허무주의" 사상계 1968

      28 김준오, "상황과 발상법, 시론" 문장사 1986

      29 최동호, "산수시의 세계와 은일의 정신-지용시가 나아간 길, 하나의 道 에 이르는 詩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30 박두진, "사십년 간의 문예지" 사상계 1960

      31 이남호, "박목월 시전집" 민음사 2003

      32 정수자, "박목월 시의 산에 나타난 미학적 특성" (16) : 2006

      33 "문장, 제2권 1호, 2호, 7호" 1940

      34 김경수, "동서양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보고사 2005

      35 김현숙, "김용준과 『문장』의 신문인화운동-동양주의 미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6) : 2002

      36 김미영, "김동리 문학에 있어서 자연의 의미- 한국전 이전에 발표된 평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84 (84): 151-180, 2004

      37 이숭원, "근대시의 내면구조" 새문사 1988

      38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1

      39 박목월, "三人詩集 靑鹿集" 을유문화사 1946

      40 최승호, "『청록집』에 나타난 생명시학과 근대성 비판" (2) : 1999

      41 오성호, "“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7) : 2002

      42 조해옥, "?도시공간과 빈민의 시-김기림의 시" 23 : 2004

      43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