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용직, "해방기시단의 청록파" 외국문학 1989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출판부 2000
4 조지훈, "한국현대시의 반성" 사상계 1962
5 이숭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남호,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자연의 모습, 현대한국 문학 100년" 민음사 1999
7 오세영, "한국현대 詩사" 민음사 2008
8 문덕수, "한국의 현대시정" 사상계 1968
9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일지사 1969
10 김우창, "한국시의 형이상-하나의 관점,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8
1 김용직, "해방기시단의 청록파" 외국문학 1989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출판부 2000
4 조지훈, "한국현대시의 반성" 사상계 1962
5 이숭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남호,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자연의 모습, 현대한국 문학 100년" 민음사 1999
7 오세영, "한국현대 詩사" 민음사 2008
8 문덕수, "한국의 현대시정" 사상계 1968
9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일지사 1969
10 김우창, "한국시의 형이상-하나의 관점,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8
11 김문주, "한국근대시의 자연 형상과 전통적 성격" (16) : 2006
12 박현수, "초기시의 기묘한 풍경과 이미지의 존재론, 박목월" 새미 2001
13 정한모, "청록파의 시사적 의의, 현대시론" 민중서관 1973
14 심선옥, "청록파의 문학사적 의의와 박목월의 초기시 연구" 6 : 1995
15 김승희, "청록집과 탈식민화의 저항 - 상상적 지리학, 민족문화 기억하기와 해방의 담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159-186, 2006
16 정지용, "조선시의 반성" (27) : 1948
17 황종연, "정지용의 산문과 전통에의 지향" 10 : 1987
18 남송우, "정지용 시가 청록집에 미친 영향" 5 : 1998
19 김홍진, "자연의 재신화화와 탈신화화- 한국 현대시의 유토피아와 반(反)유토피아 상상력 -" 한국언어문학회 58 (58): 333-358, 2006
20 김동리, "자연의 발견-三家詩人論" 3 : 1948
21 엄경희, "자연시의 전통과 세계관의 변모,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 소명출판 2004
22 강영안, "자연과 자유사이" 문예출판사 1998
23 장회익, "이분법을 넘어서-물리학자 장회익과 철학자 최종덕의 통합적 사유를 향한 대화" 한길사 2007
24 김동리, "신세대의 정신" (16) : 1940
25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대 출판부 1986
26 박목월, "시작 노우트-청록집 주변,청록집" 심중당 1976
27 김주연, "시에서의 한국적 허무주의" 사상계 1968
28 김준오, "상황과 발상법, 시론" 문장사 1986
29 최동호, "산수시의 세계와 은일의 정신-지용시가 나아간 길, 하나의 道 에 이르는 詩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30 박두진, "사십년 간의 문예지" 사상계 1960
31 이남호, "박목월 시전집" 민음사 2003
32 정수자, "박목월 시의 산에 나타난 미학적 특성" (16) : 2006
33 "문장, 제2권 1호, 2호, 7호" 1940
34 김경수, "동서양 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보고사 2005
35 김현숙, "김용준과 『문장』의 신문인화운동-동양주의 미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6) : 2002
36 김미영, "김동리 문학에 있어서 자연의 의미- 한국전 이전에 발표된 평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84 (84): 151-180, 2004
37 이숭원, "근대시의 내면구조" 새문사 1988
38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1
39 박목월, "三人詩集 靑鹿集" 을유문화사 1946
40 최승호, "『청록집』에 나타난 생명시학과 근대성 비판" (2) : 1999
41 오성호, "“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7) : 2002
42 조해옥, "?도시공간과 빈민의 시-김기림의 시" 23 : 2004
43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