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내한외국인저서, 외국저서에 기록된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의 직물산업 실태 = Overview of Joseon’s Textile Industry in the Late 19th Century-Early 20th Century Recorded in Foreign Pub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8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being forced to sign the Joseon-Japan Treaty of 1876, Joseon opened its doors to western countries through commerce treaties, and several foreigners who visited Korea for various purposes published research findings. Of these publications, A.H. ...

      After being forced to sign the Joseon-Japan Treaty of 1876, Joseon opened its doors to western countries through commerce treaties, and several foreigners who visited Korea for various purposes published research findings. Of these publications, A.H. Savage Landor’s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and Hangukji, a Russian research publication by five co-authors, contain records on Joseon’s textile industry.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early 20th century was a competitive arena for imperialism, as capitalism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Japan, and Qing. The textile industry featured the distribution of both domestic cottage industry production and imported textiles. In Joseon, cotton, silk, ramie, hemp fabrics were produced, with cotton, ramie, and hemp being exported Cotton, wool, blends, and silk fabrics were imported, particularly white cotton fabrics. The increase in textile imports to Jose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untry’s clothing reform, and the cotton fabric imports from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Qing and Japanese merchants were replaced with imports from Japan, following Japan’s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ino-Japanese w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1876년 일본의 강요로 조일수호조규를 맺은 후 1880년대 서구열강과 통상조약을 맺으며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방문했던 외국인들 중 A.H.새비지-랜...

      조선은 1876년 일본의 강요로 조일수호조규를 맺은 후 1880년대 서구열강과 통상조약을 맺으며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방문했던 외국인들 중 A.H.새비지-랜도어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외 5명 저자의 조선의 직물산업, 유통문제에 관한 기록과 제정러시아의 구한말 조선에 대한 연구·조사 자료인 『한국지(韓國誌)』에는 직물산업 관련기록이 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조선은 서구열강과 일본, 청(淸) 등의 자본주의 발달로 제국주의의 각축전에 놓여있었으며, 직물산업의 실태를 보면, 가내수공업을 통한 직물생산과 수입 직물의 유통이 양립하고 있었다. 조선에서 생산하였던 직물종류는 면직물, 견직물, 모시, 베 등이 있고, 수출 직물은 면직물, 베, 모시, 수입 직물은 면직물, 모직물, 혼방직물, 견직물 등이 있으며, 백색면직물이 주로 수입되었다. 조선의 직물 수입량의 변화는 국가 의제개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일본의 산업혁명·청일전쟁을 기점으로, 청상(淸商)과 일본상인을 통해 중계무역 형태로 영국산, 미국산 면직물이 수입되었던 것이 이후 일본산 면직물로 대체되면서 조선내 면직물산업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세화, "화학대사전 5 : 소포라비오시드~안트라퀴논염료" 534-, 2001

      2 권세원, "한말 조선의 주권상실 과정과 원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의생활 2" 432-433, 2017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의생활 1" 150-151, 2017

      5 김진석, "한국양복 100년사" 미리내 71-, 1990

      6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43-, 1998

      7 권태억, "한국근대면업사연구" 일조각 42-, 1989

      8 장드팡주, "프랑스 역사학자의 한반도 여행기 코리아에서" 살림 69-, 2013

      9 한승억, "조선의 백의와 외국인의 시선"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0 (10): 79-102, 2005

      10 한승억, "조선문화에 대한 서양작가들의 시각" 한국어문학회 (91) : 531-563, 2006

      1 세화, "화학대사전 5 : 소포라비오시드~안트라퀴논염료" 534-, 2001

      2 권세원, "한말 조선의 주권상실 과정과 원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의생활 2" 432-433, 2017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의생활 1" 150-151, 2017

      5 김진석, "한국양복 100년사" 미리내 71-, 1990

      6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43-, 1998

      7 권태억, "한국근대면업사연구" 일조각 42-, 1989

      8 장드팡주, "프랑스 역사학자의 한반도 여행기 코리아에서" 살림 69-, 2013

      9 한승억, "조선의 백의와 외국인의 시선"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0 (10): 79-102, 2005

      10 한승억, "조선문화에 대한 서양작가들의 시각" 한국어문학회 (91) : 531-563, 2006

      11 H. N. 알렌, "조선견문기" 집문당 92-95, 1999

      12 심연옥, "전통 사저교직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한복문화학회 19 (19): 23-38, 2016

      13 서유구, "임원경제지 섬용지 2" 51-, 2016

      14 강동진, "일본근대사" 한길사 168-, 1990

      15 최창모, "유대상인의 동아시아 이주사 소고" 한국이슬람학회 21 (21): 1-32, 2011

      16 閔吉子, "우리나라 古代織物硏究-絹織物을 中心으로-" 2 : 111-112, 1983

      17 이민주, "외국인의 눈에 비친 개항기 복식문화" 한국의상디자인학회 7 (7): 99-110, 2005

      18 이배용, "외국문헌에 나타난 한국사회: 서양인이 본 한국근대사회" 이화사학연구소 28 : 2001

      19 김희영, "오리엔탈리즘과 19세기 말서양인의 조선 인식" 26 : 2007

      20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43 국권회복운동" 357-363, 2002

      21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침투와 동학농민전쟁" 421-423, 2002

      22 콘스탄스 테일러, "스코틀랜드 여성 화가의 눈으로본 한국의 일상" 살림 174-175, 2013

      23 강수환, "세 외국인 여행자의 ‘눈’과 보편에의 탐색잭 런던, 조르주 뒤크로,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방문기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4 (24): 127-154, 2016

      24 최재영, "서양인이 본 조선말기 남성 모자 : 강화도조약 체결에서 일제강점기 이전까지(1876∼1910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25 이나미, "서양인이 본 근대 한국의 공공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3 (13): 107-146, 2014

      26 이수기,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정치" 역사문화연구소 (26) : 285-326, 2007

      27 최규진, "서양인의 타자(他者), 개항기 조선인" 수선사학회 (39) : 191-228, 2011

      28 김미혜, "서양인의 조선여행 기록문을 통한 근대 식생활사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381-399, 2016

      29 이인영, "서양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 개화기 복식문화"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0 이영아,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인종적 특질 연구-새비지 랜도어(Arnold H. Savage Landor)의『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을 중심으로" 이주사학회 3 : 5-37, 2010

      31 마이클 김, "서양인들이 본 조선후기와 일제초기 출판문화의 모습" 19 : 2004

      32 김학준,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제2회): 개항으로부터 청일전쟁 발발 직전까지"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247-314, 2009

      33 김학준,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제1회): 개항 이전의 시기"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259-320, 2009

      34 김은정, "서양인 출판물에 비친 조선 사회 인식에 관한 연구 : W.E.그리피스와 G.N.커즌의 단행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35 김현숙, "서양인 여행기에 표상된 ‘공존·공생’의 조선 사회상" 호서사학회 (54) : 33-67, 2009

      36 민길자, "민길자 교수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한림원 146-149, 2000

      37 이영석, "면(綿)의 세계사와 근대문명" 영국사학회 (34) : 321-351, 2015

      38 이영은, "러시아인이 본 19세기 조선: 곤차로프의 『군함 '빨라다'』와 짜가이의 『조선여행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39 이규진, "근대시기 서양인 시각에서 본 조선음식과 음식문화 - 서양인 저술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356-370, 2013

      40 조강석, "근대 초기 외국인 방문기에 나타난 세 가지 시선" 한국학연구소 (37) : 609-636, 2015

      41 이영은, "근대 전환기 러시아인의 조선인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42 김종갑, "구한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몸" 한국비교문학회 (53) : 25-48, 2011

      43 "고종실록"

      44 A. H. 새비지-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집문당 18-19, 1999

      45 김희순, "개화기 서양인의 조선 방문기에 나타난 교통중심지" 2016

      46 허병철, "개화기 서양인 출판물에 나타난 조선에 대한 인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7 이배용, "개화기 서양인 저술에 나타난 한국여성에 대한 인식"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48 김상민, "개화·일제기 한국 관련 서양 문헌에 나타난 한국 인식 양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49 金英姬, "개항후의 잠업진흥정책의 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50 이민주, "개항기 외국인의 기록과 삽화를 통해 본 우리의 복식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205-234, 2008

      51 이수기, "개항기 서양인의 여행기를 통해 본 한국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52 강정구, "개항기 서양인들의 주요 한국체험기에 나타난 제국주의 담론의 자체 모순과 혼란" 한국사상문화학회 (82) : 211-234, 2016

      53 박진경,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 수입 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4 역사학연구소, "강좌한국근현대사" 풀빛 30-, 1995

      55 조르주 뒤크로,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 눈빛 85-86, 2001

      56 梶村秀樹, "韓國近代經濟史硏究" 사계절 152-154, 1983

      57 金英淑, "韓國服飾史辭典" 民文庫 1988

      58 "舊韓國官報"

      59 朝鮮綿糸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54-, 1929

      60 山口情, "朝鮮産業誌中卷" 寶文館 650-, 1910

      61 韓國學文獻硏究所, "日韓通商協會報告" 623-, 1983

      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國譯韓國誌附錄索引" 1984

      6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國譯韓國誌本文篇" 1984

      6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國譯韓國誌" 1984

      65 "http://www.nl.go.kr/"

      66 "http://sillok.history.go.kr/舊韓國官報"

      67 임윤정, "19세기말 조선의 상투와 단발령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고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68 이흥권, "19세기말 조선에서의 청상활동 연구 : 1882~1894년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69 서재영, "19세기 말∼20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의 영문잡지에 나타난 한국여성 인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70 석건국, "19세기 말 서양선교사의 조선에 대한 관찰과 인식-『교무잡지(敎務雜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1 (11): 99-117, 2012

      71 제이콥 로버트 무스, "1900, 조선에 살다" 푸른역사 200-, 19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4-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 0.67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