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녹차 추출물 배합세치제의 치은염 및 구취조절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92688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7.6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Gingivitis and oral malodor control effects of green-tea-extract-containing dentifrice

      • 형태사항

        v, 28 장 : 삽화 ; 30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조자원
        참고문헌 : 장 22-25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4523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녹차추출물을 배합한 세치제를 사용시의 치면세균막 제거, 치은염 및 구취 조절 효능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자고 한다. (연구 방법) 시험 대상자는 1일 2회(아침,...

      (목적) 본 연구는 녹차추출물을 배합한 세치제를 사용시의 치면세균막 제거, 치은염 및 구취 조절 효능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자고 한다.

      (연구 방법) 시험 대상자는 1일 2회(아침, 저녁) 규칙적으로 칫솔질 하며, 치관 치경부 우식증이나 수복물이 없는 잔존 치아 수가 24개 이상인 만 20세 이상 50세 이하인 성인 남녀를 총 60명(시험 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군은 녹차추출액을 배합한 세치제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녹차추출물을 제외한 습윤제, 기포제 등 기본 성분만 포함한 세치제를 사용하였다. 중도 탈락자 4명을 제외한 56명(시험 군 28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치면세균막관리능력지수(Simpl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S-PHP index), Turesky가 변형한 Quigley와 Hein의 치면세균막 지수(Turesky’s plaque index), 유두변연부착치은염지수 (Papillary-marginal-attached gingival index, PMA index), Talbott, Mandel and Chilton의 치은지수 (Talbott’s gingival index), 구취측정기를 이용한 기계적 구취 농도 측정과 관능검사에 의한 구취 평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실험은 치면 세균막 지수의 측정 결과(S-PHP index, Turesky’s plaque index)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치은염 지수를 측정 결과(PMA index, Talbott's gingival index)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구취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1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구취 관능검사 측정 결과,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론)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배합 세치제를 사용할 경우, 치면세균막 제거, 치은염 완화 효과 및 구취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세치제 사용을 중지하고 대조세치제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모든 항목에 24시간 후에도 효과가 계속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on plaque removal, gingivitis, and halitosis-control efficacy in men and women aged 20–50 years, with a regular brushing habit, twice a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on plaque removal, gingivitis, and halitosis-control efficacy in men and women aged 20–50 years, with a regular brushing habit, twice a day (morning and evening) and with more than 24 remaining teeth without cervical erosion or restoration.

      (Methods) A total of 60 participants (30 participants in the test group and 3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was used in the test group, while a dentifrice containing only basic ingredients, such as wetting and foaming agents (besides green-tea extract),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Fifty-six participants (28 in the test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except 4 participants, who dropped out.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plaque management capability indices such as the Simpl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S-PHP index) and the Turesky modification of the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 (Turesky’s plaque index); and gingivitis indices such as the papillary-marginal-attachment index (PMA index) and Gingival index of Talbott, Mandel and Chilton (Talbott’s gingival index); mechanical halitosis concentration measurement using BB checker; and sensory evaluation of halitosis.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the S-PHP index, Turesky’s plaque index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was observed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gingivitis indices (PMA index and Talbott's gingival inde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es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p <0.05). The halitosis index in the test group showed a greater decrease after 1 wee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Measurements of BB check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exhibit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in plaque removal, gingivitis mitigation, and halitosis reduction effects. Moreover, discontinuation of the experimental dentifrice and institution of the control dentifrice, confirme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green-tea extract containing dentifrice continued even after 24 hours for all the study criter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 Ⅲ. 연구결과 9
      • Ⅳ. 고안 18
      • Ⅴ. 결론 20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 Ⅲ. 연구결과 9
      • Ⅳ. 고안 18
      • Ⅴ. 결론 20
      • 참고문헌 22
      • Abstracts 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