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Th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the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i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에 대해 비교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생활월령이 12~36개월인 청각장애영아 10명과 일반영아 10명이었다. 대상 영아를 월령에 따라 12~24개월, 25~36개월 집단으로 나누어서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간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각 집단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12~36개월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출현빈도는 청각장애영아가 일반영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12~36개월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어휘발달은 표현어휘에서 일반영아가 청각장애영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12~36개월 전체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 모두 의사소통적 몸짓 유형 중 표상적 몸짓이 어휘발달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어습득 이전이나 한 낱말단계의 영아들이 사용하는 표상적 몸짓을 잘 이해하고 장려함으로써 청각장애영아 및 일반영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번역하기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에 대해 비교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생활월령이 12~36개월인 청각장애영아 10명과 일반영아 10명...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에 대해 비교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생활월령이 12~36개월인 청각장애영아 10명과 일반영아 10명이었다. 대상 영아를 월령에 따라 12~24개월, 25~36개월 집단으로 나누어서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간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각 집단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12~36개월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출현빈도는 청각장애영아가 일반영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12~36개월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어휘발달은 표현어휘에서 일반영아가 청각장애영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12~36개월 전체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 모두 의사소통적 몸짓 유형 중 표상적 몸짓이 어휘발달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어습득 이전이나 한 낱말단계의 영아들이 사용하는 표상적 몸짓을 잘 이해하고 장려함으로써 청각장애영아 및 일반영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degree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by their age and to know the relation of the communicative gestures by age to the vocabulary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ese studies are 10 hearing impaired infants in 12~36 months and 10 normal infants. They divided into 12~24 months group and 25~36 months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In communicative gesture,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in 12~36months showed more gestures than normal infants, especially in the deictic gestures.
      2. In representative vocabulary development, the normal infants in 12~36 months represented more vocabulary development tha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3.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whole body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but I found the representative gestur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representative and conventional gestures we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ormal infants.
      In this study, I figur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gestures were so meaningful to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both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normal infants. So, if we understand the conditions which are those before acquiring the spoken language and the information about one-word spoken infants developmental, we c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both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degree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by their age and to know the relation of the communicative gestures by age to the vocabulary devel...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degree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by their age and to know the relation of the communicative gestures by age to the vocabulary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ese studies are 10 hearing impaired infants in 12~36 months and 10 normal infants. They divided into 12~24 months group and 25~36 months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In communicative gesture,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in 12~36months showed more gestures than normal infants, especially in the deictic gestures.
      2. In representative vocabulary development, the normal infants in 12~36 months represented more vocabulary development than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3.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whole body gestures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s, but I found the representative gestur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representative and conventional gestures we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ormal infants.
      In this study, I figur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gestures were so meaningful to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both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normal infants. So, if we understand the conditions which are those before acquiring the spoken language and the information about one-word spoken infants developmental, we c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both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the normal infa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한국영아들의 초기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보이는 의도성 발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49-70, 2004

      2 최은희, "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13~30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한국아동학회 26 (26): 155-167, 2005

      4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5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 ~ 36개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91-106, 2004

      6 정경희, "한국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의미발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7 김선해, "한 낱말 단계 다운증후군 아동의 제스츄어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8 이상희,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연구의 동향" 1 : 151-168, 2006

      9 강정숙,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79-192, 2006

      10 박혜진, "청각장애 유아의 어휘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66-81, 2003

      1 곽금주, "한국영아들의 초기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보이는 의도성 발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49-70, 2004

      2 최은희, "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13~30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한국아동학회 26 (26): 155-167, 2005

      4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5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 ~ 36개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91-106, 2004

      6 정경희, "한국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의미발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7 김선해, "한 낱말 단계 다운증후군 아동의 제스츄어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8 이상희,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연구의 동향" 1 : 151-168, 2006

      9 강정숙,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79-192, 2006

      10 박혜진, "청각장애 유아의 어휘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66-81, 2003

      11 서영란, "청각장애 영?유아의 어휘발달에 대한 종단연구- 초어 출현 이후의 표현어휘 발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41-159, 2007

      12 연석정, "청각장애 영아의 의사소통의도 표현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3 박상희, "청각장애 아동의 청능발달과 언어발달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0 (10): 255-261, 2003

      14 김영태, "중고도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발화길이 비교" 35 (35): 1-15, 2000

      15 권요한,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서울시그마프레스 2010

      16 이지연, "영유아용 의사소통과 상징행동 체크리스트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37-54, 2004

      17 이유진, "영아의 조기 의사소통능력과 어휘발달 간 관계 및 조기 의사소통능력이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43-165, 2009

      18 박세진, "영아의 몸짓 사용 종류와 어휘 습득간의 관계 : 8~24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9 이승복, "언어발달(제6판)" 시그마프레스 2005

      20 김영태,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3

      21 안소정, "문법형성단계 아동의 세부 몸짓 사용 비율의 변화 : 참조적 몸짓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2 박정민, "다운증후군영아와 일반영아의 언어 및 몸짓 발달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3 Namy, L. L, "Verbal Labels and Gestural Routines in Parental Communication with Young Children" 24 : 63-80, 2000

      24 Fenson, L.,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59 : 174-179, 1994

      25 Bloom, L, "The transition from infancy to language: Acquiring the power of expres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6 Goldin-Meadow, S., "The role of gesture in communication and thinking" 3 (3): 419-429, 1999

      27 Bates, E., "The cognitive hypothesis in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 performance and experience: New findings with the ordinal scal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7

      28 Bates, E., "The acquisition of performatives prior to speech" 21 : 205-226, 1975

      29 Wood, D., "Teaching and talking with deaf children" Wiley 1986

      30 Acredolo, L P., "Symbolic gesturing in normal infants" 59 : 450-466, 1998

      31 Goodwyn, S. W., "Symbolic gesture versus words: Is there a modality advantage for onset of symbol use" 64 : 688-701, 1993

      32 Nelson, K, "Structure and strategy in learning to talk" 38 : 149-, 1973

      33 Acredolo, L., "Sign language in babies: The significance of symbolic gesturing for (Ed.), Annals of child development" Jessica Kingsley Publishers Ltp 1-42, 1990

      34 배소영, "M-BCDI-K 영․유아용/유아용" 2006

      35 Yoshinaga-Itano, C., "Learning to communicate; Babies with hearing imparments make their needs" 94 : 107-129, 1992

      36 Bates, E.,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theories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handbook of child language" Blackwell 96-151, 1995

      37 Goodwyn, S. W, "Impact of Symbolic Gesturing on Early Language Development" 24 : 81-104, 2000

      38 McNeill, D, "Hand and mind: What gesture reveals about though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39 Inverson, J. M., "Gesturing in mother-child interactions" 14 : 57-75, 1999

      40 Bates, E., "From first words to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1 Tait, D. M., "From communication to speech in deaf children" 31 : 1-16, 1987

      42 Huttenlocher, J., "Early word meanings: The case of object names" 19 : 63-89, 1987

      43 Wetherby, A.,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CSBS Developmental Profile" 16 : 161-174, 2003

      44 Nicholas, J., "Communication of oral deaf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at 36 months of age" 40 : 1314-1327, 1997

      45 Spencer, P. E., "Communication behaviors of infants with hearing loss and their hearing mothers" 36 : 311-321, 1993

      46 Amy M,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Manual)" The Riverside Publishing Company 2002

      47 Geers. A., "Acquisition of spoken and signed English by profoundly deaf children" 49 : 378-388, 1984

      48 김의향,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2005

      49 신형은, "6-14개월 한국영아의 의사소통 및 몸짓발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