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瑄根, "화랑도와 삼국 통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2 장신, "해제-『中ㆍ高等學校 國史敎育改善을 爲한 基本方向』" 36 : 2016
3 김한종,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과 지배이데올로기" 17 : 1991
4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입문①-원시ㆍ고대편- 1" 풀빛 1995
5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6 박성현, "특집 : 박정희 정권의 ‘화랑도(花郞道)’ 교육 - 내용의 연원과 관철의 방식 -" 한국역사연구회 (96) : 51-77, 2015
7 김정인, "특집 :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한국역사연구회 (77) : 179-214, 2010
8 앙드레 슈미드,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휴머니스트 2007
9 박찬흥, "제3차~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대 국가 발달단계론에 대한 서술 검토" 호서사학회 (54) : 1-32, 2009
10 신선혜,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101-137, 2017
11 조건, "제2차 교육과정기 민족주체성 교육의 시행과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내용 분석"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139-191, 2017
12 허은철, "제2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서술 변화"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5-54, 2017
13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14 이상록, "전통의 현대화 담론과 민족주체성의 창조 - 박종홍의 탈식민 주체화 전략과 식민주의적 (무)의식 -" 한국사학회 (116) : 435-478, 2014
15 역사교육연구소,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 역사교육이 걸어온 길-" 휴머니스트 2016
16 김한종,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책과함께 2013
17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18 성춘택, "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 서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구석기·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1) : 105-129, 2016
19 황종연, "신라의 발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20 김대현, "사이비역사학자들의 이상한 민족주의– 상고사(上古史)에 숨은 군부독재의 유산" 연세사학연구회 41 : 255-284, 2018
21 이도학, "백제의 요서경략과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기술" 15 : 2015
22 임기환, "백제 遼西 진출설과 역대 교과서 서술 검토" 고려사학회 (63) : 127-166, 2016
23 조성운, "반공주의적 한국사 교육의 성립과 강화 - 미군정기~제4차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2) : 227-260, 2015
24 이봉규, "박정희정권기 역사교육학계의 민족주체성 인식과 국사교육 강화" 역사문제연구소 21 (21): 13-53, 2017
25 장영민,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447-489, 2007
26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삼인 2001
27 김용덕,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Ⅲ : 1945년 전후" 아연출판부 2008
28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책과 함께 2011
29 이정빈,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31) : 7-37, 2018
30 윤종영, "국사교육강화정책" 2 (2): 2001
31 윤종영, "국사교과서 파동" 혜안 1999
32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33 신주백,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과 국사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편(1968~1994)" 15 : 2005
34 여호규, "고대의 국가형성" 19 : 1996
35 하일식, "고교 ‘국사’의 발행제 변천과 전근대 서술 ―권력의 의도와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연구회 (92) : 53-80, 2014
36 李基東, "騎馬民族說에서의 韓ㆍ倭 연합왕국론 비판" 11 : 1992
37 金興洙, "韓國歷史敎育史" 大韓敎科書株式會社 1992
38 姜晋哲, "韓國史의 時代區分問題에 대하여" 31 : 1966
39 尹炳奭, "韓國史와 歷史意識" 24 : 1978
40 李基白, "韓國史講座 1-古代篇-" 一潮閣 1982
41 韓國史硏究會, "韓國史硏究入門" 知識産業社 1981
42 李基白, "韓國史像의 再構成" 一潮閣 1991
43 李丙燾, "韓國史-古代篇-" 乙酉文化社 1959
44 金哲埈,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1975
45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潮閣 1984
46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47 金哲埈, "韓國古代史 硏究의 回顧와 展望" 6 : 1963
48 金哲埈, "韓國古代史 硏究의 回顧와 展望" 6 : 1963
49 李萬烈, "講座 三國時代史" 知識産業社 1976
50 李瑄根, "花郞道硏究" 海東文化社發行 1949
51 裵基同, "舊石器時代 硏究史" 國史編纂委員會 19 : 1990
52 李基白, "社會經濟史學과 實證史學의 問題" (봄) : 1971
53 孫寶基, "石壯里의 前期ㆍ中期 舊石器 文化層" 7 : 1972
54 趙仁成, "申采浩의 郞家思想에 對한 一考察-「東國古代仙敎考」를 中心으로-" (창간) : 1985
55 愼鏞廈, "申采浩의 愛國啓蒙思想(上)" 一志社 19 : 1980
56 金貞培, "特輯 『國史』 敎科書의 諸問題: 上古史에 대한 檢討" 9 (9): 1974
57 이기백, "民族主義史學의 問題" 1963
58 金哲埈, "武寧王陵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 1973
59 李智媛, "日帝下 民族文化 認識의 展開와 民族文化運動-民族主義 系列을중심으로-" 서울大學校 2004
60 金哲埈, "新羅의 親族集團" 1 : 1968
61 金哲埈,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上ㆍ下)" 1ㆍ2 : 1952
62 崔柄憲, "回顧와 展望(韓國史): 古代" 84 : 1979
63 鄭永和, "回顧와 展望(考古ㆍ美術): 舊石器時代" 72 : 1976
64 金光洙, "古朝鮮ㆍ辰國硏究의 動向과 「국사」 敎科書의 敍述" 45 : 1989
65 李龍範, "古代의 滿洲關係" 韓國日報社 1976
66 李景植, "古代中世初 經濟制度硏究의 動向과 「國史」 敎科書의 敍述" 45 : 1989
67 徐毅植, "古代ㆍ中世初 支配勢力硏究의 動向과 「국사」 敎科書의 敍述" 45 : 1989
68 李佑成, "南北時代와 崔致遠" 10 (10): 1975
69 千寬宇, "加耶史硏究" 一潮閣 1991
70 李元淳, "中ㆍ高等學校用 國定國史敎科書의 分析的 考察" 16 : 1974
71 李佑成, "三國史記의 構成과 高麗王朝의 正統意識" 38 : 1974
72 이영호, "一溪 金哲埈 -해방 후 한국고대사학의 개척자-" 한국고대사학회 (53) : 47-79, 2009
73 李龍範, "『韓國史』 4-高麗貴族社會의 成立-" 國史編纂委員會 1974
74 金元龍, "『韓國史』 1-韓國의 先史文化-" 國史編纂委員會 1974
75 尹種榮, "『國史』敎科書의 編纂方向" 48 : 1990
76 조인성, "‘고대사 파동’과 고조선 역사지도" 한국사연구회 (172) : 1-33, 2016
77 차미희, "3차 교육과정기(1974∼1981) 중등 국사과의 독립 배경과 국사교육 내용의 특성" 고려사학회 (25) : 391-432, 2006
78 임기환, "3~7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21-44, 2017
79 李基白, "1976~1978年度 韓國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 總說" 82 : 1979
80 李基白, "1973~1975年度 韓國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 韓國史 總說" 72 : 1976
81 閔賢九, "1971~1972年度 韓國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 國史 古代" 60 : 1973
82 이난영, "1970년대 박정희 집권기 국사교육의 특징-중ㆍ고등학교 독본용교과서 『시련과 극복』 분석을 중심으로-" 10 : 2004
83 구경남,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47-383, 2014
84 李佑成, "1969~1970年度 韓國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 國史-總說" 49 : 1971
85 황병주, "1960년대 박정희 체제의 ‘탈후진 근대화’ 담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239-280, 2008
86 이문영, "1960~1970년대 유사역사학의 식민사학 프레임 창조와 그 확산" 역사문제연구소 22 (22): 219-26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