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신, "해제-『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46 : 2016
2 함수곤, "한국편수사 1"
3 황인규, "한국사 연구와 역사교육에서 정체성과 역동성, 공동체 정신" 역사교육연구회 (138) : 165-190, 2016
4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한국 편수사 연구 Ⅰ"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교육과학사 2011
6 이경화, "파주 용미리 摩崖二佛竝立像의 조성시기와 배경-성화 7년 조성설을 제기하며" 2 : 2005
7 강만길, "특집-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9 (9): 1974
8 송찬식,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후기" 9 (9): 1974
9 이성무,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전기" 9 (9): 1974
10 이우성,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고려시대" 9 (9): 1974
1 장신, "해제-『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46 : 2016
2 함수곤, "한국편수사 1"
3 황인규, "한국사 연구와 역사교육에서 정체성과 역동성, 공동체 정신" 역사교육연구회 (138) : 165-190, 2016
4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한국 편수사 연구 Ⅰ"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교육과학사 2011
6 이경화, "파주 용미리 摩崖二佛竝立像의 조성시기와 배경-성화 7년 조성설을 제기하며" 2 : 2005
7 강만길, "특집-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9 (9): 1974
8 송찬식,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후기" 9 (9): 1974
9 이성무,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전기" 9 (9): 1974
10 이우성,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고려시대" 9 (9): 1974
11 교학도서주식회사 편집부, "초·중·고(인문, 실업) 새 종합교육과정 및 해설" 교학도서주식회사 1977
12 신석호, "중등국사" 1948
13 이원순, "중·고등학교 국정교과서의 분석적 고찰" 16 : 1974
14 국사편찬위원회, "자료대한민국사 2"
15 김용선, "일본·한국에 있어서의 한국사 서술" 31 : 1966
16 박정희, "우리민족의 나갈길 : 사회 재건의 이념" 동아출판사 1962
17 김영수, "오교양종에 대하여" 8 : 1937
18 강우철, "역사의 교육" 교학사 1974
19 진단학회, "역사가의 遺香" 일조각 1991
20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 15"
21 최연식, "박정희의 '민족' 창조와 동원된 국민통합"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8 (28): 43-73, 2007
22 "동아일보"
23 이병도, "국사교본" 1946
24 국사편찬위원회, "국사" 문교부 1979
25 박찬수, "고려시대 교육제도사연구" 경인문화사 2001
26 "고려사"
27 김두진, "고려 광종대의 전제왕권과 호족" 15 : 1979
28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2014
29 문교부, "고등국사" 대한교과서 1974
30 "경향신문"
31 小野玄妙, "高麗祐世僧統義天の大藏經板雕造の事蹟" 18 (18): 1911
32 "朝鮮經國典"
33 金性玟, "朝鮮史編修會의 組織과 運用" 3 : 1989
34 하야 시 다이스케, "朝鮮史" 1892
35 문교부,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