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3차 교육과정 국정 고등국사의 편찬과 중세사 서술 비판 = The 3rd Curriculum of the history of high school and Explanation of Korean medieval history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7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reviewed the strengthening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efforts of Korean history scholars, and the response of historians from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medieval history, and the 1974 version and 1979 edition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of the colonial Japanese occupation of the personnel who were on-site training is history textbooks. The first and second among the perks enjoyed by a preponderance of an authorized history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Caused the term is not a little no little confusion in perception of history as well as history. To correct this problem, a measure was devised to unify the nation's history education, but it itself poses a risk to the president. Academia also made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of Korean history and divide the time. A case in point is a joint study report that shows the basic direction for improving Korean his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1969.
      However, the Yushin government strengthened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in 1972 under the designation of establishing a self-reliant national history, and carried out nationalization in 1973. There were hundreds of factual errors, let alone high-quality systematic and uniform contents, but they were not faithfully corrected in the 1979 revision.
      There were not many problems in the description system or content, but they were criticized for not exceeding the standard of the existing authorized textbooks in the section and the period classification. The descriptions of medieval history are full of prejudices and errors, and not only do the affiliates of each class of schools lack consistency, but also the hierarchy was not considered.
      Despite the significant academic research and academic and educational efforts of the Korean history community, the nationalization of the nation's history textbook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s education and further the nationalization of the nation's history.
      번역하기

      The study reviewed the strengthening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efforts of Korean history scholars, and the response of historians from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medieval history, and the 1974 version and 1979 edition of...

      The study reviewed the strengthening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efforts of Korean history scholars, and the response of historians from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medieval history, and the 1974 version and 1979 edition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of the colonial Japanese occupation of the personnel who were on-site training is history textbooks. The first and second among the perks enjoyed by a preponderance of an authorized history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Caused the term is not a little no little confusion in perception of history as well as history. To correct this problem, a measure was devised to unify the nation's history education, but it itself poses a risk to the president. Academia also made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of Korean history and divide the time. A case in point is a joint study report that shows the basic direction for improving Korean his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1969.
      However, the Yushin government strengthened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in 1972 under the designation of establishing a self-reliant national history, and carried out nationalization in 1973. There were hundreds of factual errors, let alone high-quality systematic and uniform contents, but they were not faithfully corrected in the 1979 revision.
      There were not many problems in the description system or content, but they were criticized for not exceeding the standard of the existing authorized textbooks in the section and the period classification. The descriptions of medieval history are full of prejudices and errors, and not only do the affiliates of each class of schools lack consistency, but also the hierarchy was not considered.
      Despite the significant academic research and academic and educational efforts of the Korean history community, the nationalization of the nation's history textbook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s education and further the nationalization of the nation's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이후 국사교육의 강화와 국사학계의 노력과 재야 사학자의 대응, 제 3차 교육과정 국정국사 중세사 서술 비판을 되짚어 보고1974년판과 1979년판 국정 고등국사의 서술내용을 검토하였다.
      일제 강점기 식민사관의 주창에 참여한 인사들의 국사교과서가 현장교육의 우세를 누리는 가운데 제 1·2차 교육과정기 검인정 국사교과서는역사용어는 물론이고 역사인식에 있어서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 잡기 위해 문교 당국의 국사교육 통일방안이 마련되었으나 그 자체가 국가 주도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학계도 한국사의 체계의 정립과 시대구분의 문제 등 나름대로 노력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1969년에 작성된 「중·고등학교 국사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이라는 공동연구보고서이다.
      하지만 유신정권은 주체적 민족사관의 정립이라는 명제하에 1972년국사교육 강화와, 이듬해인 1973년 국정화를 단행하였다. 질 좋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이 있는 내용이 담보되기는커녕 사실의 오류가 수 백건이나 되었으나 1979년 개편 교과서에서도 충실히 정정되지 않았다.
      서술체제나 내용에 있어서도 문제가 적지 않았는데 단원 구분과 시대구분에 있어서도 기존의 검인정 교과서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였다는비판을 받았다. 중세사 서술내용에 있어서도 편견과 오류 투성이며, 각급 학교간의 계열성도 일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위계화도 고려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국사학계의 학술적 연구와 역사교육의 학술적·교육적 노력이있었음에도 국가주도의 국사교육의 강화와, 나아가 국사의 국정화는 획일화의 위험을 배제하기 어려우며, 교과서의 전면 국정화는 교육적으로도 큰 감점 효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방이후 국사교육의 강화와 국사학계의 노력과 재야 사학자의 대응, 제 3차 교육과정 국정국사 중세사 서술 비판을 되짚어 보고1974년판과 1979년판 국정 고등국사의 서술내용...

      본 연구는 해방이후 국사교육의 강화와 국사학계의 노력과 재야 사학자의 대응, 제 3차 교육과정 국정국사 중세사 서술 비판을 되짚어 보고1974년판과 1979년판 국정 고등국사의 서술내용을 검토하였다.
      일제 강점기 식민사관의 주창에 참여한 인사들의 국사교과서가 현장교육의 우세를 누리는 가운데 제 1·2차 교육과정기 검인정 국사교과서는역사용어는 물론이고 역사인식에 있어서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 잡기 위해 문교 당국의 국사교육 통일방안이 마련되었으나 그 자체가 국가 주도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학계도 한국사의 체계의 정립과 시대구분의 문제 등 나름대로 노력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1969년에 작성된 「중·고등학교 국사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이라는 공동연구보고서이다.
      하지만 유신정권은 주체적 민족사관의 정립이라는 명제하에 1972년국사교육 강화와, 이듬해인 1973년 국정화를 단행하였다. 질 좋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이 있는 내용이 담보되기는커녕 사실의 오류가 수 백건이나 되었으나 1979년 개편 교과서에서도 충실히 정정되지 않았다.
      서술체제나 내용에 있어서도 문제가 적지 않았는데 단원 구분과 시대구분에 있어서도 기존의 검인정 교과서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였다는비판을 받았다. 중세사 서술내용에 있어서도 편견과 오류 투성이며, 각급 학교간의 계열성도 일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위계화도 고려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국사학계의 학술적 연구와 역사교육의 학술적·교육적 노력이있었음에도 국가주도의 국사교육의 강화와, 나아가 국사의 국정화는 획일화의 위험을 배제하기 어려우며, 교과서의 전면 국정화는 교육적으로도 큰 감점 효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신, "해제-『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46 : 2016

      2 함수곤, "한국편수사 1"

      3 황인규, "한국사 연구와 역사교육에서 정체성과 역동성, 공동체 정신" 역사교육연구회 (138) : 165-190, 2016

      4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한국 편수사 연구 Ⅰ"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교육과학사 2011

      6 이경화, "파주 용미리 摩崖二佛竝立像의 조성시기와 배경-성화 7년 조성설을 제기하며" 2 : 2005

      7 강만길, "특집-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9 (9): 1974

      8 송찬식,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후기" 9 (9): 1974

      9 이성무,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전기" 9 (9): 1974

      10 이우성,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고려시대" 9 (9): 1974

      1 장신, "해제-『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46 : 2016

      2 함수곤, "한국편수사 1"

      3 황인규, "한국사 연구와 역사교육에서 정체성과 역동성, 공동체 정신" 역사교육연구회 (138) : 165-190, 2016

      4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한국 편수사 연구 Ⅰ"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교육과학사 2011

      6 이경화, "파주 용미리 摩崖二佛竝立像의 조성시기와 배경-성화 7년 조성설을 제기하며" 2 : 2005

      7 강만길, "특집-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9 (9): 1974

      8 송찬식,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후기" 9 (9): 1974

      9 이성무,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전기" 9 (9): 1974

      10 이우성, "특집, 국사교과서의 문제점-고려시대" 9 (9): 1974

      11 교학도서주식회사 편집부, "초·중·고(인문, 실업) 새 종합교육과정 및 해설" 교학도서주식회사 1977

      12 신석호, "중등국사" 1948

      13 이원순, "중·고등학교 국정교과서의 분석적 고찰" 16 : 1974

      14 국사편찬위원회, "자료대한민국사 2"

      15 김용선, "일본·한국에 있어서의 한국사 서술" 31 : 1966

      16 박정희, "우리민족의 나갈길 : 사회 재건의 이념" 동아출판사 1962

      17 김영수, "오교양종에 대하여" 8 : 1937

      18 강우철, "역사의 교육" 교학사 1974

      19 진단학회, "역사가의 遺香" 일조각 1991

      20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 15"

      21 최연식, "박정희의 '민족' 창조와 동원된 국민통합"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8 (28): 43-73, 2007

      22 "동아일보"

      23 이병도, "국사교본" 1946

      24 국사편찬위원회, "국사" 문교부 1979

      25 박찬수, "고려시대 교육제도사연구" 경인문화사 2001

      26 "고려사"

      27 김두진, "고려 광종대의 전제왕권과 호족" 15 : 1979

      28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2014

      29 문교부, "고등국사" 대한교과서 1974

      30 "경향신문"

      31 小野玄妙, "高麗祐世僧統義天の大藏經板雕造の事蹟" 18 (18): 1911

      32 "朝鮮經國典"

      33 金性玟, "朝鮮史編修會의 組織과 運用" 3 : 1989

      34 하야 시 다이스케, "朝鮮史" 1892

      35 문교부, "(인문계 고등학교) 국사"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