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법정사 항일운동의 근대 불교민족운동사에서의 위상 = The Bupjeonsa temple of Buddhist national movement in the modern Buddhist movement of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7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view explores buddhist of angle in anti - Japanese movement in the Chungmun area of Seogwipo on October 7, 1908. This movement was an anti-Japanese struggle in which 700 people including Buddhist shrines and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war in Jejudo to lead the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is premise, this article intends to derive the nature of the Buddhist national movement from the history of Buddhist national movement. For this purpose, I will try to compare it with the general Buddhist national movement.
      In this article, I summarize the outline of the statutory conflict in the Sixth Principle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contrast the identity of the Buddhist national movement with the ideology of the Buddhist movement at the time.
      First of all, the protagonists of the court juror deduce that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y had the patriotism of Ambassador Seosan, He also understood that he would have had the spirit of Buddhist patronage as the spirit of the Rim movement in 1911 ~ 12.
      Under this presupposition, I examined the ideological, organizational, and armed forces of the statutory struggle. The ideology reveals the nature of Buddhism, Buddhism, and Buddhism. And in associ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ader of the movement had a strong bond between the public and the public. The secret was kept, and there was strong bond. At the time of armed resistance, armed resistance and struggle naturally stood on the consciousness of Buddhists. So, the court ruling party showed the character of the military serv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utline and character of the statutory conflict, I proposed to break away from Jeju Island's localism, Buddhism and leading religion. Furthermore, it emphasized the publication of a comprehensive catalog of the statutory chiefs and the publication of the antiwar chiefs.
      번역하기

      This review explores buddhist of angle in anti - Japanese movement in the Chungmun area of Seogwipo on October 7, 1908. This movement was an anti-Japanese struggle in which 700 people including Buddhist shrines and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anti-Ja...

      This review explores buddhist of angle in anti - Japanese movement in the Chungmun area of Seogwipo on October 7, 1908. This movement was an anti-Japanese struggle in which 700 people including Buddhist shrines and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war in Jejudo to lead the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is premise, this article intends to derive the nature of the Buddhist national movement from the history of Buddhist national movement. For this purpose, I will try to compare it with the general Buddhist national movement.
      In this article, I summarize the outline of the statutory conflict in the Sixth Principle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contrast the identity of the Buddhist national movement with the ideology of the Buddhist movement at the time.
      First of all, the protagonists of the court juror deduce that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y had the patriotism of Ambassador Seosan, He also understood that he would have had the spirit of Buddhist patronage as the spirit of the Rim movement in 1911 ~ 12.
      Under this presupposition, I examined the ideological, organizational, and armed forces of the statutory struggle. The ideology reveals the nature of Buddhism, Buddhism, and Buddhism. And in associ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ader of the movement had a strong bond between the public and the public. The secret was kept, and there was strong bond. At the time of armed resistance, armed resistance and struggle naturally stood on the consciousness of Buddhists. So, the court ruling party showed the character of the military serv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utline and character of the statutory conflict, I proposed to break away from Jeju Island's localism, Buddhism and leading religion. Furthermore, it emphasized the publication of a comprehensive catalog of the statutory chiefs and the publication of the antiwar chief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찰은 1908년 10월 7일, 제주도 서귀포의 중문 일대에서 일어난 법정사 항일운동의 성격을 불교적인 관점에서 탐구한 글이다. 이 운동은법정사 승려의 주도로 불교신도, 농민 등 700명이 참가하여 제주도에서일제를 몰아내려는 항일투쟁이었다.
      이런 전제에서 이 글에서는 법정사 항쟁의 성격을 불교 민족운동사의흐름에서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불교 민족운동과의 비교를 시도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법정사 항쟁의 개요를 6하원칙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당시 불교민족운동의 이념과의 동질성, 차별성을 법정사의 성격에대비를 시도하였다. 우선 법정사 항쟁의 주역들은 임진왜란 당시에 승군대장인 서산대사, 사명대사의 우국정신을 갖고 있었다고 추론한다. 그리고 1911~12년의 임제종운동 정신인 불교수호 정신도 갖고 있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법정사 항쟁의 理念性, 結社性, 武裝性을 살폈다. 이념성은 대승불교, 호국불교, 민족불교의 성격이 드러났다. 그리고 결사성에서는 운동의 지도부와 대중들간에는 끈끈한 결속력을 갖고있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즉 비밀이 유지되었고, 강한 유대가 있었다. 무장성에서는 당시 불교인들의 의식에 무장 저항, 투쟁이 자연스럽게 배어있었다. 그래서 법정사 항쟁에는 의용승군의 성격이 드러났다.
      그리고 필자는 법정사 항쟁의 개요와 성격에 대한 이해를 함에 있어서기존 관점인 제주도라는 지역성, 불교 및 선도교라는 종교성에서 탈피하기를 제안하였다. 나아가서는 법정사 항장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집 발간, 항쟁 주역에 대한 평전 발간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고찰은 1908년 10월 7일, 제주도 서귀포의 중문 일대에서 일어난 법정사 항일운동의 성격을 불교적인 관점에서 탐구한 글이다. 이 운동은법정사 승려의 주도로 불교신도, 농민 등 700명이 참...

      본 고찰은 1908년 10월 7일, 제주도 서귀포의 중문 일대에서 일어난 법정사 항일운동의 성격을 불교적인 관점에서 탐구한 글이다. 이 운동은법정사 승려의 주도로 불교신도, 농민 등 700명이 참가하여 제주도에서일제를 몰아내려는 항일투쟁이었다.
      이런 전제에서 이 글에서는 법정사 항쟁의 성격을 불교 민족운동사의흐름에서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불교 민족운동과의 비교를 시도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법정사 항쟁의 개요를 6하원칙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당시 불교민족운동의 이념과의 동질성, 차별성을 법정사의 성격에대비를 시도하였다. 우선 법정사 항쟁의 주역들은 임진왜란 당시에 승군대장인 서산대사, 사명대사의 우국정신을 갖고 있었다고 추론한다. 그리고 1911~12년의 임제종운동 정신인 불교수호 정신도 갖고 있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법정사 항쟁의 理念性, 結社性, 武裝性을 살폈다. 이념성은 대승불교, 호국불교, 민족불교의 성격이 드러났다. 그리고 결사성에서는 운동의 지도부와 대중들간에는 끈끈한 결속력을 갖고있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즉 비밀이 유지되었고, 강한 유대가 있었다. 무장성에서는 당시 불교인들의 의식에 무장 저항, 투쟁이 자연스럽게 배어있었다. 그래서 법정사 항쟁에는 의용승군의 성격이 드러났다.
      그리고 필자는 법정사 항쟁의 개요와 성격에 대한 이해를 함에 있어서기존 관점인 제주도라는 지역성, 불교 및 선도교라는 종교성에서 탈피하기를 제안하였다. 나아가서는 법정사 항장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집 발간, 항쟁 주역에 대한 평전 발간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봉려관선양회, "해월당 봉려관스님" 열림문화 2017

      2 김광식, "해방직후 제주불교계의 동향" 12 : 1998

      3 김창수, "한국 근대불교와 민족운동" 1 : 1989

      4 한금순, "한국 근대 제주불교사" 탐라문화연구소 2013

      5 한금순,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6 성주현, "아산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215-243, 2017

      7 한금순, "승려 김석윤을 통해 보는 근대 제주인의 사상적 섭렵" 대각사상연구원 (19) : 283-323, 2013

      8 임혜봉, "벽담 방동화 평전" 열림문화 2014

      9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재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5) : 141-176, 2005

      10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연구, 회고와 전망" 한국정토학회 11 : 247-269, 2008

      1 봉려관선양회, "해월당 봉려관스님" 열림문화 2017

      2 김광식, "해방직후 제주불교계의 동향" 12 : 1998

      3 김창수, "한국 근대불교와 민족운동" 1 : 1989

      4 한금순, "한국 근대 제주불교사" 탐라문화연구소 2013

      5 한금순,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6 성주현, "아산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215-243, 2017

      7 한금순, "승려 김석윤을 통해 보는 근대 제주인의 사상적 섭렵" 대각사상연구원 (19) : 283-323, 2013

      8 임혜봉, "벽담 방동화 평전" 열림문화 2014

      9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재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5) : 141-176, 2005

      10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연구, 회고와 전망" 한국정토학회 11 : 247-269, 2008

      11 김광식, "법정사 항일운동의 불교사적 의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9) : 39-85, 2009

      12 윤소영, "법정사 항일운동 주동세력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1) : 87-120, 2015

      13 김광식, "민족불교의 이상과 현실" 도피안사 2007

      14 안후상, "무오년 제주 법정사 항일항쟁 연구" 15 : 1996

      15 제주불교사연구회, "근대제주불교사 자료집"

      16 한금순, "1918년 제주도 법정사항일운동 관련 『형사사건부』 분석" 대각사상연구원 (12) : 339-376, 2009

      17 한금순, "1918년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국정토학회 (10) : 429-467, 2007

      18 한금순, "1918년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9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