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 7" 사계절 2002
2 장유리, "중학교 역사(상)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 서술에 대한 내용분석 : 다원적 역사이해의 관점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김재훈, "조선전기 정치사에 대한 역사교과서의 이항대립적 서술과 교사의 인식" 효원사학회 49 : 97-128, 2016
4 안형환, "우리가 몰랐던 개방의 역사" 다솜커뮤니케이션 2010
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 함께 2007
6 추명엽, "역사교육의 동향과 국사교육" 솔 2001
7 김한종,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2005
8 김민정,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29-53, 2013
9 이해영, "역사교과서 서술의 원리" 책과 함께 2014
10 허은철, "실업계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정 및 국정교과서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643-678, 2015
1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 7" 사계절 2002
2 장유리, "중학교 역사(상)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 서술에 대한 내용분석 : 다원적 역사이해의 관점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김재훈, "조선전기 정치사에 대한 역사교과서의 이항대립적 서술과 교사의 인식" 효원사학회 49 : 97-128, 2016
4 안형환, "우리가 몰랐던 개방의 역사" 다솜커뮤니케이션 2010
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 함께 2007
6 추명엽, "역사교육의 동향과 국사교육" 솔 2001
7 김한종,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2005
8 김민정,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29-53, 2013
9 이해영, "역사교과서 서술의 원리" 책과 함께 2014
10 허은철, "실업계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정 및 국정교과서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643-678, 2015
11 김형준, "남북한 중학교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사 서술체제와 내용분석" 역사교과서연구소 (18) : 7-41, 2014
12 김순자,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쟁점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43) : 247-300, 2017
13 김광철, "고려후기세족층연구" 동아대출판부 1991
14 박종기, "고려시대의 대외 관계" 한국사 1994
15 김위현,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4
16 이성영, "고려시대 교역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전영준, "고려시대 異民族의 귀화 유형과 諸정책"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3) : 407-434, 2012
18 이병희, "고려시기 벽란도의 ‘해양도시’적 성격" 도서문화연구원 (39) : 39-73, 2012
19 김구진, "고려시기 대외관계의 연구방향과 국사 교과서의 서술" 역사교육연구회 44 : 1988
20 김종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금성 2014
21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비상 2014
22 왕현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두산 2014
23 정재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지학사 2014
24 주진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천재 2014
25 최준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리베르 2014
26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미래엔 2014
27 권희영,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교학사 2014
28 "新編 高麗史節要 상" 신서원 2004
29 허은철,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거란 서술 분석과 대안적 서술로서 당사자 관점" 역사실학회 (58) : 235-265, 2015
30 민유미, "2009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 대외관계 내용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