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술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회화표현영역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지도방안 : 고든(W. Gordon)의 시네틱스(synectics) 교수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07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8. 8. 졸업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126 p. : 색채삽도.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6-88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nd its necessity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knowledge industries can be stepped up by creativity that engenders new values, and it's consequently needed to pay growing attention to creativity education. Fostering the thinking faculty of students mean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survive. Given the uncertainty and diversity of modern society, furthering thinking facul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application of a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is required as one of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by incorporating Gordon's synectics approach, a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 into exis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quest for students to shift their paradigm by solving problems in a novel and creative manner instead of sticking to stereotyped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Gordon's synectics approach, one of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to the painting expression segment of art class in the first year of art high school,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levels of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at approach on their creative thinking faculty and image expressivenes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ynectic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found themselves to think more creatively and better express image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for learners to take art lessons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and question and answer between students themselves and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facilitate problem solving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participate in class more voluntarily and actively and ultimately to boos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Relevant theories were investigated to describ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improvement in art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kinds of teaching methods that could step up creative problem solving. After painting expression lessons provided by four different art high schools were analyzed, one of the lessons that was appropriate for this study was selected, and then lesson plans were modifi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eaching strategies about the unit titled 'drawing expression for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were prepared by applying the synectics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 boys and girls in the first year of the art department in G art high schoo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26 students each, they received instruction in nine sessions. The students turned out equivalent in pretests composed of a survey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of a practice test about image expressiveness. Aft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posttests were implemented: evaluation of the works of the two groups about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All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find out how much they made progress in creative ideas and image expressiveness. SPSS WIN 13.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x2(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tilized. Besides,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for the questions with yes-no answer choices were obta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e-survey on learner awareness and practice test on image expressiven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ch proved that both groups were equivalent.
      Secon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synectics approach made more positive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on creative ideas, expressiveness, expression method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in class understanding, and the former had greater expectations and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latt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ccording to the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the experimental group viewed their own expressiveness more favorably,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in that group answered that they liked the way of solving problems by utilizing various figures of speech, and that they realized how to handle a theme in an easier manner.
      In conclusion, Gordon's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enabled the students to made strides to some extent in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veness, and that brought a favorable change to the quality of instruction. But it's not advisable to generalize that approach as a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of every art high school sophomore, since just 52 sophom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fore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Prolong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creativity programs by applying and comparing multiple teaching methods and into checking their effects, as creativity is acquired in the course of one's lifetime.
      번역하기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nd its necessity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knowledge industries can be stepped up by creativity tha...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nd its necessity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knowledge industries can be stepped up by creativity that engenders new values, and it's consequently needed to pay growing attention to creativity education. Fostering the thinking faculty of students mean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survive. Given the uncertainty and diversity of modern society, furthering thinking facul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application of a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is required as one of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by incorporating Gordon's synectics approach, a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 into exis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quest for students to shift their paradigm by solving problems in a novel and creative manner instead of sticking to stereotyped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Gordon's synectics approach, one of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to the painting expression segment of art class in the first year of art high school,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levels of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at approach on their creative thinking faculty and image expressivenes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ynectic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found themselves to think more creatively and better express image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for learners to take art lessons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and question and answer between students themselves and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facilitate problem solving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participate in class more voluntarily and actively and ultimately to boos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Relevant theories were investigated to describ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improvement in art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kinds of teaching methods that could step up creative problem solving. After painting expression lessons provided by four different art high schools were analyzed, one of the lessons that was appropriate for this study was selected, and then lesson plans were modifi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eaching strategies about the unit titled 'drawing expression for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were prepared by applying the synectics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 boys and girls in the first year of the art department in G art high schoo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26 students each, they received instruction in nine sessions. The students turned out equivalent in pretests composed of a survey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of a practice test about image expressiveness. Aft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posttests were implemented: evaluation of the works of the two groups about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All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find out how much they made progress in creative ideas and image expressiveness. SPSS WIN 13.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x2(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tilized. Besides,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for the questions with yes-no answer choices were obta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e-survey on learner awareness and practice test on image expressiven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ch proved that both groups were equivalent.
      Secon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synectics approach made more positive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on creative ideas, expressiveness, expression method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in class understanding, and the former had greater expectations and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latt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ccording to the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the experimental group viewed their own expressiveness more favorably,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in that group answered that they liked the way of solving problems by utilizing various figures of speech, and that they realized how to handle a theme in an easier manner.
      In conclusion, Gordon's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enabled the students to made strides to some extent in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veness, and that brought a favorable change to the quality of instruction. But it's not advisable to generalize that approach as a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of every art high school sophomore, since just 52 sophom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fore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Prolong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creativity programs by applying and comparing multiple teaching methods and into checking their effects, as creativity is acquired in the course of one's life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 왔으며, 오늘날 정보에 따른 지식 중심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고부가가치의 지식 산업은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는 창의성에 의해 발전 가능하며 이에 창의성 계발 교육에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것은 학생들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며 현대의 사회가 불확실하고 다양화가 진행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창의적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의 적용이 무엇보다 교수-학습 지도전략에 필요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제해결에 있어 틀에 박힌 해결책이 아닌 기발하고 창의적인 해결력에 의한 사고의 전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법 교수법인 시네틱스 교수법을 기존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회화표현” 영역수업에 창의적 문제 해결교수법인 고든의 시네틱스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표현력 신장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시네틱스 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학습자들이 미술 표현수업 진행에 있어 훨씬 수월하게 임하게 될 것이며,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의 다양한 비유에 의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상호보완적 문제해결을 꾀하고 더 나아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먼저, 미술교육에 왜 창의성 신장이 필요하며 창의적 문제해결을 돕는 교수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4개의 예술고등학교 회화표현수업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절한 하나의 수업내용을 택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시네틱스 교수법 적용에 의한 “중단원 -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맞는 교수-학습지도 전략을 기반으로 G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남, 여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으로 구성하여 2008년 3월 18일부터 4월 8일까지 총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로 학습자 수준 인식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학습 대상의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사후검사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대한 작품평가와 학습자 만족도 설문조사,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창의적 발상능력 및 표현능력에 따른 이미지 표현력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로 SPSS WIN 13.0을 사용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실시와 YES/NO대답에 의한 문항 별 %를 내어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인식도 사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이 밝혀졌다.
      둘째, 사후검사를 통하여 시네틱스 교수법의 적용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발상 및 표현능력, 표현방법과 수업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후 설문을 통해 실험집단의 표현영역에 대한 수업내용 이해도, 기대수준과 만족도가 통제집단 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수업에 의한 자신의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다양한 비유를 통해 하나의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방법이 참 좋았다.’, ‘어떠한 주제를 접했을 때 쉽게 풀어나가는 방식을 깨달았다.’ 라는 가장 많은 서술형 답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발상능력과 표현능력이 어느 정도 신장되었고 수업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연구대상이 예술고등학교 1학년 52명의 학생들로 국한되어 실험이 이뤄져 모든 예술고등학교의 미술과 1학년 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회화 표현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이에 교사는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후천적인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여러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에 의한 적용 및 그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적용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 왔으며, 오늘날 정보에 따른 지식 중심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고부가가치의 지식 산업은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 왔으며, 오늘날 정보에 따른 지식 중심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고부가가치의 지식 산업은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는 창의성에 의해 발전 가능하며 이에 창의성 계발 교육에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것은 학생들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며 현대의 사회가 불확실하고 다양화가 진행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창의적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의 적용이 무엇보다 교수-학습 지도전략에 필요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제해결에 있어 틀에 박힌 해결책이 아닌 기발하고 창의적인 해결력에 의한 사고의 전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법 교수법인 시네틱스 교수법을 기존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회화표현” 영역수업에 창의적 문제 해결교수법인 고든의 시네틱스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표현력 신장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시네틱스 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학습자들이 미술 표현수업 진행에 있어 훨씬 수월하게 임하게 될 것이며,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의 다양한 비유에 의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상호보완적 문제해결을 꾀하고 더 나아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먼저, 미술교육에 왜 창의성 신장이 필요하며 창의적 문제해결을 돕는 교수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4개의 예술고등학교 회화표현수업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절한 하나의 수업내용을 택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시네틱스 교수법 적용에 의한 “중단원 -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맞는 교수-학습지도 전략을 기반으로 G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남, 여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으로 구성하여 2008년 3월 18일부터 4월 8일까지 총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로 학습자 수준 인식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학습 대상의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사후검사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대한 작품평가와 학습자 만족도 설문조사,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창의적 발상능력 및 표현능력에 따른 이미지 표현력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로 SPSS WIN 13.0을 사용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실시와 YES/NO대답에 의한 문항 별 %를 내어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인식도 사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이 밝혀졌다.
      둘째, 사후검사를 통하여 시네틱스 교수법의 적용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발상 및 표현능력, 표현방법과 수업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후 설문을 통해 실험집단의 표현영역에 대한 수업내용 이해도, 기대수준과 만족도가 통제집단 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수업에 의한 자신의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다양한 비유를 통해 하나의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방법이 참 좋았다.’, ‘어떠한 주제를 접했을 때 쉽게 풀어나가는 방식을 깨달았다.’ 라는 가장 많은 서술형 답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발상능력과 표현능력이 어느 정도 신장되었고 수업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연구대상이 예술고등학교 1학년 52명의 학생들로 국한되어 실험이 이뤄져 모든 예술고등학교의 미술과 1학년 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회화 표현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이에 교사는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후천적인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여러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에 의한 적용 및 그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적용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C. 연구의 제한점 = 5
      • Ⅱ. 이론적 고찰 = 6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C. 연구의 제한점 = 5
      • Ⅱ. 이론적 고찰 = 6
      • A. 예술고등학교의 미술교육 = 6
      • 1. 예술고등학교의 특성 및 교육과정 = 6
      • 2.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수업방침 분석 및 회화교육의 필요성 = 9
      • 3. 미술교육에서의 창의력 = 13
      • B.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전략 = 15
      • 1.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고든의 시네틱스 교수법 = 15
      • 가. 시네틱스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 15
      • 나. 시네틱스 교수법의 교수-학습 단계 = 19
      • 다. 시네틱스 교수법의 활용 및 교육적 의의 = 21
      • 2.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 = 21
      • 3.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을 위한 지도원리 = 23
      • 가. 창의적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시각적 발상 및 접근 = 24
      • 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개발기법 = 27
      • Ⅲ. 연구방법 = 32
      • A. 연구대상 및 절차 = 32
      • B. 연구도구 = 36
      • 1. 시네틱스 교수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 전략 프로그램 = 36
      • 2. 평가도구 = 52
      • 가. 사전 동질성 검사용 평가 도구 = 54
      • 나. 사후 검사용 평가 도구 = 56
      •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60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61
      • Ⅴ. 결론 및 제언 = 83
      • 참고문헌 = 86
      • 부록목차 = 89
      • ABSTRACT = 1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