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경쟁: 쟁점과 접점 =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since the Iauguration of the Biden Administration: Issues and Points of Cont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8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미중 전략경쟁이 갈등 지향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미중은 갈등의 이면에는 항상 협력의 여지가 존재해왔다. 따라서 미중 전략경쟁 과정의 ‘수사와 실제(rhetoric and...

      이 글은 미중 전략경쟁이 갈등 지향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미중은 갈등의 이면에는 항상 협력의 여지가 존재해왔다. 따라서 미중 전략경쟁 과정의 ‘수사와 실제(rhetoric and reality)’의 간극을 보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미중 전략경쟁의 주요 현안을 ‘쟁점’과 ‘접점’으로 구분하여 한국의 대응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미중 전략경쟁의 ‘쟁점’이 되고 있는 ‘국제규범’과 ‘이익’을 중심으로 미중 양국의 갈등과 양국의 입장을 제시한다. 둘째, 미중 전략경쟁에서 타협의 여지가 가능한 접점을 제시한다. 미중은 경제분야, 기후변화 및 한반도 비핵화 분야 등에서 이익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를 둘러싸고 갈등의 관리와 협력의 가능성을 타진해왔다. 마지막으로 미중 전략경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 가능한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s not just conflict-oriented. There has always been room for cooperation behind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see the gap between ...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s not just conflict-oriented. There has always been room for cooperation behind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see the gap between ‘rhetoric and reality’ 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process. Unde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presents Korea’s response direction by dividing the main issues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to “issues” and “points of contact.” First, it presents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focusing on “international norms” and “interests,” which are becoming “issues”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Second, It presents “points of contact” that are not willing to compete 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but can be compromised. The U.S. and China share profits in the economic sector, climate change, an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management and cooperation over these areas. Finally, the direction of Korea’s response was sugges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