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체의 운동 적합성을 고려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인라인 스케이트 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portswear Design for Optimiged Dynamic movement : focused on Inline skate w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36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가문화의 발달과 주5일 근무라는 타이틀은 우리에게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한층 더 가까이 하게 해주었다. 오늘날 인라인스케이트는 이용자만 하여도 통계가 무의미할 ...

      여가문화의 발달과 주5일 근무라는 타이틀은 우리에게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한층 더 가까이 하게 해주었다.
      오늘날 인라인스케이트는 이용자만 하여도 통계가 무의미할 정도로 급속히 퍼져 거리나 공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유행처럼 자리 잡았다.
      그러나 국내 인라인스케이트의 보급과 역사가 짧은 것은 물론이고 부상에 노출되어있는 상태에서 많은 인라인스케이터들이 스케이팅을 하고 있지만, 과학적인 근거를 둔 의상 디자인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스포츠 웨어의 디자인의 모방에 불과 하며, 부상에 대한 대책으로는 보호 장구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라인스케이트의 역사와 확산 배경의 이론을 토대로 인라인스케이터의 운동 범위 및 상해 사례를 조사하여 인라인스케이터 웨어의 기능성을 강화하는 기능성 의복과 함께,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인라인 스케이터 웨어의 디자인과 인라인 스케이트 웨어에 적합한 신소재를 조사한 뒤, 디자인을 개선하여 인라인스포츠 웨어로서 대중화가 가능한 의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는 인터넷과 참고 문헌을 바탕으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운동범위와 상해 사례 등에 대하여 알아 본 후, 시장조사를 통하여 인라인스케이터들의 웨어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위의 자료를 토대로 기능성과 디자인 성을 갖춘 의상을 개발하여 총 6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트니스 스케이트를 즐겨 타는 패밀리나 동호회를 위한 인라인스케이트 웨어로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스케이터들을 위해 기능성원단을 이용한 땀의 흡수, 투습성, 쾌적함의 유지와 옷의 2중성으로 디자인의 다양화, 기존의 보조 장비의 불편함과 미비함을 개선, 옷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둘째, 청소년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어그레시브용 스케이트와 패션코드 힙합과의 조화를 이룬 것으로, 스케이트시 보호대의 불편함을 지퍼를 통해 탈부착의 방법으로 개선, 옷의 디자인의 형태의 다양함과 기존의 보호대화는 다른 기능성을 가미한 디자인을 하였다.
      세째, 녹색 교통수단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심속으로 한층 더 가까이 가기위한 디자인으로 부상에 대한 기능적 측면 보다는 디자인 면과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한 다른 옷과의 새로운 조합의 시도라 볼 수 있다.
      오늘날 인라인스케이트는 레져 스포츠로서의 기능을 떠나 우리의 필수처럼 자리잡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인라인스케이트의 옷이 경기용 옷에만 국한되어있음에 본 연구자는 기능성과 디자인의 2중성을 살린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하는 점은 아직까지 인라인스케이트의 웨어의 개발이 적극적이지 못함과 선행연구의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제작한 의상이 인라인스케이트 웨어로서 충분한지에 대한 피드백을 과제로 남기며, 우리나라에 인라인스케이트의 급격한 도입으로 인해 인라인스케이트가 증가 하고 있으므로 인라인 스케이트 웨어 제조업체와 후속연구 자들의 기초 자료로 제공되기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th the development of leisure culture and the title called 5-day work week allowed us to have further access to an opportunity possible to enjoy inline skating. These days, inline skate was rapidly expanded enough for statistics to be meaningless ev...

      Both the development of leisure culture and the title called 5-day work week allowed us to have further access to an opportunity possible to enjoy inline skating. These days, inline skate was rapidly expanded enough for statistics to be meaningless even only in case of users, thus it was positioned as if being fashion that can be easily seen on a street or in a park. However,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it is exposed to a wound, not to mention that history for the domestically diffusion of inline skate is short, it is a real situation that, even if many inline skaters are skating, a study on the wear design. based on science is not attained, or it is just the imitation of sports wear design, and it depends only on the protective equipmen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a woun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lothes possible to be popularized as inline sports wear, by improving design after surveying new material suitable for the design of inline skate clothes and for the inline skate wear that are being now sold, together with the functional clothes that reinforce the functionality of inline skate wear, through researching the exercise range and a wound case of inline skaters based on the history of inline skate and on a theory of its expanding background.
      As to a method of the study, after examining the exercise range and a wound case of inline skate on the basis of internet and references, it inquired the wear of inline skaters through market research. In terms of a study method, it manufactured the work with totally 6 pieces, by developing clothes that are equipped with functionality and the design attribute on the basis of the above data.
      The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for skates aiming at exercise with inline skate wear for a family or a club that enjoys fitness skate, it allowed it to be harmonized with clothes, through making design diversified and through improving the inconvenience and the tightness of the existing auxiliary equipment, with the absorption of perspiration using the functional textile, the maintenance of moisture-permeable amenity, and the duality of clothes.
      Second, as being harmonized with the skate for aggressiveness and the fashion-code hip hop, which are rapidly expanding among juveniles, it formed the design that added the diversity of a design form for clothes and functionalit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tective belt, by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protective belt in case of skating, with a detachable method.
      Third, as it is the design aiming to allow inline skate to have further access to the inside of the urban center, which is being emerged as an alternative plan of a green-transportation means, it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of a new combination between the design aspect rather than the functional aspect as to a wound, and other clothes using inline skate.
      At this point that inline skate is today positioned as if being our essentiality, escaping from the function of leisure sports, this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design that took advantage of the functionality and the duality of design because the inline skate wear is limited only to clothes for an event.
      In terms of what is being desired to suggest through this study, while leaving the feedback as to whether or not the manufactured clothes are enough as the inline skate wear, as a subject, in spite of that the development of inline skate wear fails to be positive and the preceding studies are insufficient, it is hoped to be offered as basic data to the manufacturers of inline skate wear and future researchers because the inline skate is increasing thanks to the rapid introduction of inline skate to our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내용 = 3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내용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인라인 스케이트의 역사 = 4
      • 2. 인라인 스케이트의 종류 = 9
      • 3. 레져스포츠로서 인라인스케이트의 확산 배경 = 15
      • Ⅲ. 인라인 스케이트의 의상 실태 = 20
      • 1. 인라인 스케이트의 운동 범위 = 20
      • 2. 인라인 스케이트를 위한 의상의 소재현황 = 29
      • 3. 인라인스케트를 위한 의상디자인 사례 = 33
      • Ⅳ. 인라인 스케이트의 의상디자인 = 38
      • 1. 디자인 의도 및 개발 = 38
      • Ⅴ. 결론 = 64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