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아동극에서 동물이 등장하는 아동극의 특성과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아동극 작품을 우화성이 강한 ‘우화극’과 동화성이 강한 ‘우의동화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훈 전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8667
손증상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2024
Korean
아동극 ; 동물 ; 의인화 ; 우화극 ; 우의동화극 ; Children’s Plays ; Animal ; Anthropomorphism ; Fable Plays ; Allegorical Fairy Tale Plays
KCI등재
학술저널
141-179(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아동극에서 동물이 등장하는 아동극의 특성과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아동극 작품을 우화성이 강한 ‘우화극’과 동화성이 강한 ‘우의동화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훈 전달...
근대 아동극에서 동물이 등장하는 아동극의 특성과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아동극 작품을 우화성이 강한 ‘우화극’과 동화성이 강한 ‘우의동화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훈 전달을 목표로 하는 우화극에서 동물은 인간상을 대리하는 수행자이다. 우화극은 주로 ‘욕심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고, 둘이 먹이를 두고 다투다가 제3자에게 빼앗기는 내용과 지나친 욕심으로 주동인물이 위기에 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의동화극은 작고 약한 동물들이 아동의 대리자로 설정된 작품과 동물들이 계급적 강자와 약자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동물들의 놀이를 소재로 삼으면서 동물들의 춤과 노래를 적극 활용하였고, 후자는 동물들의 약육강식 세계를 통해 인간 사회의 계급적 구조를 재현하였다.
근대 아동극에서 의인화된 동물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첫째, 동일한 동물이 비슷한 의미로 반복되면서 아동극의 우화적 체계가 자연스럽게 구축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동물의 연극적 재현에 집중하면서 아동극의 공연성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동물의 의인화는 성인극과 구별되는 아동극의 독자성 확보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1980년대 이티(E.T.)의 문화사 -영화
그림동화의 기호 표현과 의미 작용의 효과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를 중심으로-
방정환의 번역동화 「체부와 굴뚝새」로 본 번역 특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