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02402
1999
Korean
539.99
학술저널
199-21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및 배수 소음, 욕실 샤워기 소음 등에 따른 격하층 수음레벨 크기는 세면기 급수 및 욕조 샤워기 소음,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배수 소음 순으로 나타났다.
(2) 변기 급배수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13dB(A) 정도이고, 세면기 급수 및 배수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각각 20dB(A), 13dB(A) 정도로 나타났으며, 욕실 샤워기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27dB(A)로 냐타났다.
(3) 세대별 음압레벨 및 감음량 분석을 통해 15평형보다는 12평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감음량이 낮게 나타나 아파트 평수가 적을수록 급배수 설비소음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4) 세대별 음압레벨은 15평형의 경우 약 43~52dB(A)이고. 12평형의 경우 47-52dB(A)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모두 허용소음 기준(40 dB(A))을 초과하고 있으며, 수음실별 음압레벨은 침실에서 42~44dB(A) 정도의 분포를 보여 욕실의 47-52dB(A)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으나 역시 허용소음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측정대상 대부분 N-35이상으로 일본건축학회의 허용 기준인 실내소음등급 2급을 초과하였다.
(5) 욕실 소음의 원인으로는 욕실 천정을 통한 배관방식, 욕실 바닥을 관통하는 배수관과 슬라브와의 틈새, 보온재의 부착 상태 불량, 점검구내의 pipe duct 마감재 충진불량 등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시 소음차단을 위한 세심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방자치시대 친환경적 지역개발의 대안으로서 환경관리레짐의 구축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