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共同住宅 給·排水 設備騷音 平價에 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02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및 배수 소음, 욕실 샤워기 소음 등에 따른 격하층 수음레벨 크기는 세면기 급수 및 욕조 샤워기 소음,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배수 소음 순으로 나타났다.
      (2) 변기 급배수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13dB(A) 정도이고, 세면기 급수 및 배수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각각 20dB(A), 13dB(A) 정도로 나타났으며, 욕실 샤워기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27dB(A)로 냐타났다.
      (3) 세대별 음압레벨 및 감음량 분석을 통해 15평형보다는 12평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감음량이 낮게 나타나 아파트 평수가 적을수록 급배수 설비소음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4) 세대별 음압레벨은 15평형의 경우 약 43~52dB(A)이고. 12평형의 경우 47-52dB(A)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모두 허용소음 기준(40 dB(A))을 초과하고 있으며, 수음실별 음압레벨은 침실에서 42~44dB(A) 정도의 분포를 보여 욕실의 47-52dB(A)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으나 역시 허용소음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측정대상 대부분 N-35이상으로 일본건축학회의 허용 기준인 실내소음등급 2급을 초과하였다.
      (5) 욕실 소음의 원인으로는 욕실 천정을 통한 배관방식, 욕실 바닥을 관통하는 배수관과 슬라브와의 틈새, 보온재의 부착 상태 불량, 점검구내의 pipe duct 마감재 충진불량 등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시 소음차단을 위한 세심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및 배수 소음, 욕실 샤워기 소음 등에 따른 격하층 수음레벨 크기는 세면기 급수 및 욕조 샤워기 소음,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배수 소음 순으로 나타났다.
      (2) 변기 급배수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13dB(A) 정도이고, 세면기 급수 및 배수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각각 20dB(A), 13dB(A) 정도로 나타났으며, 욕실 샤워기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27dB(A)로 냐타났다.
      (3) 세대별 음압레벨 및 감음량 분석을 통해 15평형보다는 12평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감음량이 낮게 나타나 아파트 평수가 적을수록 급배수 설비소음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4) 세대별 음압레벨은 15평형의 경우 약 43~52dB(A)이고. 12평형의 경우 47-52dB(A)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모두 허용소음 기준(40 dB(A))을 초과하고 있으며, 수음실별 음압레벨은 침실에서 42~44dB(A) 정도의 분포를 보여 욕실의 47-52dB(A)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으나 역시 허용소음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측정대상 대부분 N-35이상으로 일본건축학회의 허용 기준인 실내소음등급 2급을 초과하였다.
      (5) 욕실 소음의 원인으로는 욕실 천정을 통한 배관방식, 욕실 바닥을 관통하는 배수관과 슬라브와의 틈새, 보온재의 부착 상태 불량, 점검구내의 pipe duct 마감재 충진불량 등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시 소음차단을 위한 세심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99
      • Ⅱ. 대상건물의 개요 = 200
      • 1. 욕실 점검구 조시 = 202
      • Ⅲ. 급·배수 설비소음 측정결과 및 분석 = 204
      • 목차
      • Ⅰ. 서론 = 199
      • Ⅱ. 대상건물의 개요 = 200
      • 1. 욕실 점검구 조시 = 202
      • Ⅲ. 급·배수 설비소음 측정결과 및 분석 = 204
      • 1. 측정계 구성 = 204
      • 2. 측정방법 및 위치 = 205
      • 3. 평가방법 = 206
      • 4. 측정결과 및 소음원의 물리적 특성 = 207
      • 5. 허용기준과의 비교분석 = 214
      • Ⅳ. 결론 = 216
      • 참고문헌 = 2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