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의 5京과 교통로의 기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8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해는 지방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5京, 15府, 62州라는 행정조직을 운영하였고, 이를 연결하는 5도라는 주요 교통로가 있었다. 즉 日本道, 新羅道, 朝貢道, 營州道, 契丹道가 그것이다. ...

      발해는 지방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5京, 15府, 62州라는 행정조직을 운영하였고, 이를 연결하는 5도라는 주요 교통로가 있었다. 즉 日本道, 新羅道, 朝貢道, 營州道, 契丹道가 그것이다. 5도 가운데 조공도와 영주도는 당과의 관계에서, 거란도는 거란과, 일본도는 일본, 그리고 신라도는 신라와의 연관을 가진다.
      우선 발해 도성의 입지조건으로는 수륙교통이 편리하고 농경에 적합한 하곡평지나 분지 등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려해야 할 것은 농업·유목 접경선의 남쪽에 접한 농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구국, 중경, 상경, 동경의 네 곳의 도성의 방어체제가 말갈(흑수말갈)이나 거란을 주로 고려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즉 농경 지역에 대한 통치 기능과 유목 지역에 대한 외교적 정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곳이 선택된 것이다.
      둘째로 발해 교통로의 특색은 우선 하곡지대에 연하여 수로와 육로를 병행하고 있다는 점, 육로와 해로와의 결합이 보인다는 점 그리고 농경 지역에 대한 통치 기능과 유 목 지역에 대한 외교적 정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발해 주변의 모든 세력으로 이어지는 교통로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들 수가 있다.
      셋째로 발해 교통로의 기능은 무역품의 생산 구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발해의 무역품은 중국의 경우 의례용 물품을 주로 수입하였고, 수공업제품과 농산물 같은 특산물을 주로 수출하였다. 일본의 경우는 주로 특산물을 수출하고, 원재료를 많이 수입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역품들은 발해의 土城이나 都城을 통해 교환하고, 가공하였다. 이러한 물품의 집산·가공·유통에는 재지세력이었던 수령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lhae ran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comprised of five Gyeongs, 15 Bus and 62 Jus to effectively govern the local areas and used Sang, Jung, and Dong Gyeong of the five Gyeongs as its capital cities. Balhae also had five major traffic roads calle...

      Balhae ran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comprised of five Gyeongs, 15 Bus and 62 Jus to effectively govern the local areas and used Sang, Jung, and Dong Gyeong of the five Gyeongs as its capital cities. Balhae also had five major traffic roads called Five Dos, which were Japan, Shilla, Jogong, Yeongju and Gyedan Do. Of the Five Dos, Jogong and Yeongju Do had relations with the Tang Dynasty, Georan Do with Georan, Japan Do with Japan, and Shilla Do with Shilla.
      Balhae built its capital cities at the locations where the transportation system was convenient both in land and by water, and where plains or basins proper for growing summer crops were found. It also should be noted that its capital cities were located in the agricultural areas south of the boundary between agriculture and nomadism, which is well demonstrated in the fact that four capital cities, namely Guguk, Jung Gyeong, Sang Gyeong and Dong Gyeong, ran a defensive system usually againstMalgal (Heuksu Malgal) or Georan. In other words, Balhae chose for its capital city a location where it could govern the agricultural areas and, at the same time, play diplomatic politics to the nomadic areas.
      Second, the traffic roads of Balhae can be characterized by that they were adjacent to rivers and thus offered both water and land based transportation, had combinations of land and water routes, and spread to all the forces around Balhae to help with the governance of the agricultural areas and diplomatic politics for the nomadic areas.
      Third, the functions of Balhae's traffic roads can also be understood by looking into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rade goods. Balhae imported ceremonial goods from China and exported handicraft goods, agricultural products, and other specialty products there in turn. Balhae exported its specialty products to Japan and imported raw materials from there. Those trade goods were exchanged and processed in Balhae's mud castles and capital cities. It is estimated that Suryeongs, the local powers, must have played absolute roles in gathering, processing, and distributing those goods.
      Finally, Balhae's traffic roads claim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moted cultural diversity. The traffic roads played most decisive roles in the cultural diversity of Balhae, which was subject to the Goguryeo elements, the cultural elements of Tang Dynasty, the cultural elements of Central Asia and West, the unique Balhae styles, and the Shilla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발해의 교통로와 5경의 입지
      • Ⅲ. 발해의 대외교통로와 5경
      • Ⅳ. 발해의 국내교통로와 5경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발해의 교통로와 5경의 입지
      • Ⅲ. 발해의 대외교통로와 5경
      • Ⅳ. 발해의 국내교통로와 5경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래, "한국고대사입문 1" 신서원 2006

      2 윤재운, "크라스키노성을 통해 본 발해의 문물교류" 고구려연구재단 2006

      3 정병준, "중국의 발해 대외관계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4 김추윤, "중국의 국토환경" 대륙연구소출판부 1995

      5 최재영,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황금가지 2006

      6 송기호, "발해의 천도와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6 : 113-138, 2004

      7 방학봉, "발해의 중경에 관한 몇 가지 문제, in 한국사학논총 상" 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2

      8 방학봉, "발해의 주요교통로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0

      9 채태형, "발해의 수상운수" 2 : 1997

      10 김기섭, "발해의 상경 건설과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45) : 189-220, 2007

      1 이강래, "한국고대사입문 1" 신서원 2006

      2 윤재운, "크라스키노성을 통해 본 발해의 문물교류" 고구려연구재단 2006

      3 정병준, "중국의 발해 대외관계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4 김추윤, "중국의 국토환경" 대륙연구소출판부 1995

      5 최재영,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황금가지 2006

      6 송기호, "발해의 천도와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6 : 113-138, 2004

      7 방학봉, "발해의 중경에 관한 몇 가지 문제, in 한국사학논총 상" 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2

      8 방학봉, "발해의 주요교통로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0

      9 채태형, "발해의 수상운수" 2 : 1997

      10 김기섭, "발해의 상경 건설과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45) : 189-220, 2007

      11 임상선, "발해의 都城體制와 그 특징" 고려사학회 (24) : 269-306, 2006

      12 임상선, "발해의 東京에 대하여" 고구려발해학회 25 : 53-74, 2006

      13 한규철, "발해의 5경과 영역 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14 鈴木靖民, "발해와 일본・당의 무역, in 장보고와 21세기" 혜안 1999

      15 주영헌, "발해문화" 사회과학출판사 1971

      16 방학봉, "발해는 무엇 때문에 네 차례나 수도를 옮겼는가, in 于江權兌遠敎授停年紀念論叢" 1992

      17 李秉建, "발해건축연구" 6 : 1999

      18 송기호, "발해 사회 문화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19 윤재운, "발해 문화의 성격" 21 : 2004

      20 윤제운, "발해 문화의 고구려 계승" 고구려발해학회 26 : 31-54, 2007

      21 金鎭光, "발해 문왕대의 지배체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22 정재균, "발해 대외관계사 자료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23 李秉建, "발해 24개돌유적에 관한 건축적 연구" 건국대학교 2001

      24 노태돈, "고려로 넘어온 발해 박씨에 대하여―신라와 발해 간의 교섭의 한 사례 연구―" 한국사연구회 (141) : 83-95, 2008

      25 동북아역사재단, "고대 환동해 교류사, in 2부-발해와 일본" 동북아역사재단 2010

      26 王禹浪, "黑龍江 渤海山城에 나타난 高句麗文化 硏究" 12 : 2001

      27 余昊奎, "高句麗 千里長城의 經路와 築城背景" 91 : 2000

      28 森克己, "遣唐使" 至文堂 1955

      29 榎一雄, "賈耽の地理書と道里記の稱とに就いて" 汲古書院 7 : 1994

      30 小嶋芳孝, "蝦夷とユーラシア大陸の交流, in 古代蝦夷の世界と交流" 名著出版 1996

      31 趙二玉, "統一新羅의 北方進出 硏究" 서경문화사 2001

      32 王俠, "琿春的渤海遺跡與日本道" 1982

      33 古畑徹, "渤海・日本間航路の諸問題" 46 (46): 1994

      34 林相先, "渤海의 遷都에 대한 考察" 5 : 1988

      35 韓圭哲, "渤海의 西京鴨淥府 硏究" 14 : 1998

      36 尹明喆, "渤海의 海洋活動과 동아시아의 秩序 再編" 6 : 1999

      37 河上洋, "渤海의 交通路와 五京" 5 : 1990

      38 孫玉良, "渤海遷都淺議" 1983

      39 李健才, "渤海的中京和朝貢" 1982

      40 王俠, "渤海朝貢道白山區段及相關問題" 1997

      41 馬德謙, "渤海契丹道吉林市以東區段假說" 1990

      42 何光岳, "渤海大氏的來源和遷都" 2 : 1990

      43 新妻利久, "渤海國史及び日本との國交史の硏究" 東京電機大學出版局 1969

      44 侯莉閔, "渤海初期通往日本陸路部分的硏究" 1994

      45 王俠, "渤海人入唐水路述略" 1986

      46 小嶋芳孝, "渤海の産業と物流" 6 : 1999

      47 小嶋芳孝, "渤海と日本列島の交流經路" 山川出版社 577 : 2004

      48 酒寄雅志, "渤海と古代の日本" 校倉書房 1998

      49 宋基豪, "渤海 文王代의 개혁과 사회변동" 6 : 1993

      50 袁輝, "泊汋口位置考" 1993

      51 李健才, "樺甸蘇密城考" 1983

      52 沼田賴輔, "日滿の古代國交" 明治書院 1933

      53 小嶋芳孝, "日本海の島々と靺鞨・渤海の交流, in 境界の日本史" 山川出版社 1997

      54 谷內尾晋司, "對渤海交涉と福良港, ㅑㅜ 客人の湊 福浦の歷史" 1991

      55 王俠, "唐代渤海人出訪日本的港口和航線" 1981

      56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一潮閣 1997

      57 新野直吉, "古代日本と北の海みち" 藝林會 41 (41): 1992

      58 E・V., "北東アジア民族の歷史におけるソグド人の黑貂の道" 96 : 1998

      59 李孝聰, "中國區域歷史地理" 北京大學出版社 2004

      60 赤羽目匡由, "いわゆる賈耽「道里記」の「營州入安東道」について" 116 (116): 2007

      61 김은국, "8~10세기 동아시아 속의 발해 교통로" 고려사학회 (24) : 341-380, 2006

      62 余昊奎, "3세기 후반 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남도와 북도를 중심으로" 91 : 1995

      63 송기호, "(개정증보판) 발해를 다시 본다" 주류성출판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