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말 · 명초 한중간의 요동국경지대연구 -東寧府, 東寧路, 東寧衛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1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원대의 東寧府, 東寧路, 명대의 東寧衛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동녕의 위치를 재고해 보고 이와 관련하여 고려와 원, 조선과 명의 국경 문제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

      필자는 원대의 東寧府, 東寧路, 명대의 東寧衛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동녕의 위치를 재고해 보고 이와 관련하여 고려와 원, 조선과 명의 국경 문제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해 본 결과 원대 설치된 동녕부에 대한 중국의 사료와 한국의 사료가 다르게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高麗史』나 『高麗史節要』의 경우 동녕부와 관련하여 기록은 많으나 그 위치를 명확하게 기록하지 않고 있다. 반면 새롭게 발굴된 중국 사료들은 장수왕이 천도한 平壤城, 동녕부의 위치, 동녕부와 동녕로와의 상관성, 그리고 명대 동녕위에 이르기까지 그 연속적인 시간 속에서 모두 현재의 요녕성 요양과 그 부근을 그 중심지로 서술하고 있다.
      중국의 방대한 사료들은 원대 동녕부는 장수왕의 평양성이 있던 장소이며 장수왕의 평양성은 후에 西京으로 되고 이 서경을 최탄 등이 60여 성과 함께 귀부하여 동녕부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사』의 기록은 1270년에 동녕부가 되었다가 1290년을 전후하여 폐치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기록들은 동녕부가 동녕로로 승격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동녕로는 遼陽行省을 구성하는 7개의 路중의 하나인 동녕로가 되었다고 적고 있다.
      고려 말의 고려의 동녕부 정벌은 지금의 환인과 요양을 포함하는 요동 지역이 대상이었으므로 동녕부가 동녕로로 승격해서 원 후기까지 요동에 동녕이 남아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Yuan Dynasty as well as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in view of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Dongnyeongbu, Dongnyeonglo in Yuan Dynasty and Dongnyeongwi in Ming Dynasty. After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Yuan Dynasty as well as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in view of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Dongnyeongbu, Dongnyeonglo in Yuan Dynasty and Dongnyeongwi in Ming Dynasty.
      After reviewing it, we found that many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Wonsa and Myongsa and Korean materials of Koreasa about Dongnyeongwi were recorded differently.
      In the case of Koreasa or Koreasajeolyo , the location of Dongnyeongbu is not clearly recorded.
      On the other hand, newly discovered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record that King Jangsu"s Pyongyang-city and Dongnyeongbu, Dongnyeonglo in Ming Dynasty correlate with each other.
      Furthermore, they are all consistently described as now Chinese Liaoyang in the same place.
      We understand that Dongnyeongbu is located in Pyongyang, North Korea, and it was abolished around 1290.
      However, Chinese records indicate that Dongnyeongbu has been promoted to Dongnyeong-lo, which has become one of the seven loes(路) making up the Liaoyanghaenseong(遼陽行省).
      If so, it is evident to explain that Korea’s subjugation of the Dongnyongbu in late Korea was not in Pyongyang, North Korea, but rather Huanren(桓因) and Liaoyang (遼陽)today.
      If Dongnyeongbu were in Yodong, the Jabiryeong(慈悲嶺), which is the border between Yuan and Korea, can not be the Hwanhae-do province.
      Jabiryeong is located in 160-ri, east of Pyongyan-city by King Jangsu of Goguryeo.
      In other words, as Chinese record shows that Liaoyang is Pyongyan-city of Goguryeo is Pyongyang, 160-ri southeast of the Liaoyang should be Jabiryeong.
      Then, Jabibyeong should be near the Yeonsangwan(連山關), which should be the border of Ming and Joseon in the early Ming Dynasty.
      Therefore, it is the very reason why Yeonsangwan became the border of Joseon and Ming.
      In view of this, Dongnyeongbu, Dongnyeonglo, and Dongnyeonglo had connected with one another, so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Yuan as well as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Ming were located in Liaod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東寧府의 설치와 東寧路로의 승격
      • 3. 東寧府 위치 파악을 위한 鴨綠水‧鴨淥江·平壤城의 위치
      • 4. 東寧路의 東寧衛로의 변화와 국경지대의 형성
      • 국문초록
      • 1. 서론
      • 2. 東寧府의 설치와 東寧路로의 승격
      • 3. 東寧府 위치 파악을 위한 鴨綠水‧鴨淥江·平壤城의 위치
      • 4. 東寧路의 東寧衛로의 변화와 국경지대의 형성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재춘, "중・근세 韓・中間 국경완충지대의 형성과 경계인식 -14세기~15세기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9) : 159-204, 2011

      2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출판사 2017

      3 남의현, "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출판부 2008

      4 윤한택, "고려국경에서 평화시대를 묻다" THE PLAN 2018

      5 복기대,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주류성 2017

      6 "高麗史節要"

      7 "高麗史"

      8 "遼海編"

      9 "遼東志"

      10 "遼史"

      1 유재춘, "중・근세 韓・中間 국경완충지대의 형성과 경계인식 -14세기~15세기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9) : 159-204, 2011

      2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출판사 2017

      3 남의현, "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출판부 2008

      4 윤한택, "고려국경에서 평화시대를 묻다" THE PLAN 2018

      5 복기대,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주류성 2017

      6 "高麗史節要"

      7 "高麗史"

      8 "遼海編"

      9 "遼東志"

      10 "遼史"

      11 "通鑑"

      12 "資治通鑑"

      13 "籌海圖編"

      14 "武經摠要"

      15 "欽定續通志"

      16 "欽定續文獻通考"

      17 "欽定大清一統志"

      18 "朱子語類"

      19 "朱子五經語類"

      20 "朝鮮紀事"

      21 "朝鮮王朝實錄"

      22 남의현, "明 前期 遼東都司와 遼東八站占據" 명청사학회 (21) : 1-41, 2004

      23 "御批歷代通鑑輯覽"

      24 "建炎雜記"

      25 "太平寰宇記"

      26 "大明一統志"

      27 "圖書編"

      28 "兩朝綱目備要"

      29 "元史"

      30 "五禮通考"

      31 Gi-Dae Bok, "Reinterpretation of Sindangseo Gatam[賈耽] Dorigi(道理記)"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57 : 77-105,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