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 및 직무에 대한 태도양가성이 몰입,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31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8-E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commitment and burnout of ambivalence of organization and job : Focusing on members of the medical institution

      • 형태사항

        v, 5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상만
        참고문헌: p. 45-53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333188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 대한 태도나 개별 직무에 대한 태도를 검증하는 것보다 의료기관 구성원이 정반대의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가 공존하는 양가적 상황에서 과연 어떠한 태도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지 판단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전국의 의료기관 구성원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지와 부정적정서의 태도양가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은 인지가 지배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직무에 대한 부정적인지와 긍정적정서의 태도양가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는 정서가 지배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구성원은 조직이 정책, 제도, 절차 등의 의사결정이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지했을 때 조직에 몰입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직무는 개인적인 특성과 직무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구성원이 정서적으로 느꼈을 때 직무에 몰입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 대한 태도나 개별 직무에 대한 태도를 검증하는 것보다 의료기관 구성원이 정반대의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가 공존하는 양가적 상황에서 과연 어떠한 태도가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 대한 태도나 개별 직무에 대한 태도를 검증하는 것보다 의료기관 구성원이 정반대의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가 공존하는 양가적 상황에서 과연 어떠한 태도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지 판단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전국의 의료기관 구성원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지와 부정적정서의 태도양가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은 인지가 지배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직무에 대한 부정적인지와 긍정적정서의 태도양가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는 정서가 지배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구성원은 조직이 정책, 제도, 절차 등의 의사결정이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지했을 때 조직에 몰입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직무는 개인적인 특성과 직무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구성원이 정서적으로 느꼈을 때 직무에 몰입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attitude really plays
      a leading role in a two-way situation in which members of a medical institut
      ion coexist with the opposite cognition and affection attitudes, rather than v
      erifying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or individual tasks. To this end, pr
      ior research was consider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35 members
      of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Studies have shown that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
      ion are related to cognition(+) that are significant to immers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rganization is dominated by cognition.
      Second, the negativeness of the job and the positive attitude difference wer
      e found to be related to affection(+) , which is significant to immersion. Thi
      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job is dominated by affection.
      Therefore, members of the medical institution confirmed that they were im
      mersed in the organization when they cognition that decisions such as polici
      es, plans and procedures had the right direc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uties were immersed in the tasks when the members felt affection tha
      t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being carried ou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attitude really plays a leading role in a two-way situation in which members of a medical institut ion coexist with the opposite cognition and affection attitudes, rather than v erifying attitudes 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attitude really plays
      a leading role in a two-way situation in which members of a medical institut
      ion coexist with the opposite cognition and affection attitudes, rather than v
      erifying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or individual tasks. To this end, pr
      ior research was consider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35 members
      of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Studies have shown that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
      ion are related to cognition(+) that are significant to immers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rganization is dominated by cognition.
      Second, the negativeness of the job and the positive attitude difference wer
      e found to be related to affection(+) , which is significant to immersion. Thi
      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job is dominated by affection.
      Therefore, members of the medical institution confirmed that they were im
      mersed in the organization when they cognition that decisions such as polici
      es, plans and procedures had the right direc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uties were immersed in the tasks when the members felt affection tha
      t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being carried ou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 제 1 절 태도양가성(Aattitudinal Ambivalence) 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 제 1 절 태도양가성(Aattitudinal Ambivalence) 4
      • 1. 태도의 개념 4
      • 2. 태도양가성의 개념 5
      • 3. 태도양가성의 선행연구 8
      • 제 2 절 조직(Organization) 10
      • 1. 병원조직의 특징 10
      • 제 3 절 직무(Job) 12
      • 1. 직무의 개념 12
      • 제 4 절 몰입(Commitment) 13
      • 1. 몰입의 개념 13
      • 2. 몰입의 선행연구 14
      • 제 5 절 소진(Burnout) 17
      • 1. 소진의 개념 17
      • 2. 소진의 선행연구 18
      • 제 3 장 연구 설계 20
      • 제 1 절 연구모형 20
      • 제 2 절 연구가설 21
      •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22
      • 제 4 절 분석절차 25
      • 1. 형성지표와 반영지표 25
      • 2. CB-SEM과 PLS-SEM 26
      • 제 4 장 연구 결과 29
      • 제 1 절 표본의 구성 29
      • 제 2 절 측정모델 평가 31
      • 1. 형성지표 모델의 평가 31
      • 2. 반영지표 모델의 평가 36
      • 제 3절 구조모델 분석 37
      • 1. 연구모형의 추정 37
      • 2. 연구가설 및 구조효과의 유의성 검증 38
      • 제 4 절 가설검정 결과 40
      • 제 5 장 결론 42
      • 제 1 절 연구의 결과 42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43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4
      • 참고문헌 45
      • Abstract 54
      • 부록<설문지>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