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1세기 문식력(literacy)과 ‘대학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 On 21st Century Information Literacy and Tertiary Level Compositio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2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volution, we need to replace the concept of traditional literacy with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s not competence in basic reading and writing but in integrated communication at multiple media, social and academic levels. Today we face a few challenges in teaching tertiary level composition: establishing philosophy of composition for new writing models, developing new curriculum and creating ways to teach the curriculum and to promote proactive composition education in social and academic organizations. I suggest in this paper that composition education also include strategies for assisting students to overcome writing anxiety and difficulties as well as writing skill deficiencies while encouraging individual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번역하기

      In the 21st century,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volution, we need to replace the concept of traditional literacy with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s not competence in basic reading and writing but in integrated communi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volution, we need to replace the concept of traditional literacy with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s not competence in basic reading and writing but in integrated communication at multiple media, social and academic levels. Today we face a few challenges in teaching tertiary level composition: establishing philosophy of composition for new writing models, developing new curriculum and creating ways to teach the curriculum and to promote proactive composition education in social and academic organizations. I suggest in this paper that composition education also include strategies for assisting students to overcome writing anxiety and difficulties as well as writing skill deficiencies while encouraging individual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인류 문명의 대변혁기인 21세기 지식 정보 혁명 시대에 필요한 문식력과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 논문이다. 21세기에 합당한 문식력은 1)비판적 사고와 정보에 대한 민감성, 2) 전자 정보 매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 3) 사회적, 윤리적, 법률적, 경제적 쟁점들을 다루는 데 전자매체 환경에서 적절하게 정보를 이용하는 능력으로서 종합적 정보문식력(information literacy)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현재의 대학글쓰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철학의 문제, 교육과정의 문제, 사회문화적 문제를 지적했다. 철학적으로 글쓰기의 본질과 원리, 추구하는 인간상이 분명하지 않고,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양 글쓰기, 학문 글쓰기, 문학 글쓰기 등 다양한 분류의 글쓰기에 대한 목표, 내용 체계, 방법론 등이 체계적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사회문화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시에 매몰되고, 대입과 취업 평가는 선다형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사람들은 주체적 생각과 판단보다 인터넷과 스마트에 의존하고, 직장에서도 관습적 글쓰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미래에 대학 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 새로운 관점과 방법과 내용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과 두려움을 극복하는 구체적 방법을 찾아 시행하고, 무엇보다 개인과 사회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하는 글쓰기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인류 문명의 대변혁기인 21세기 지식 정보 혁명 시대에 필요한 문식력과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 논문이다. 21세기에 합당한 문식력은 1...

      이 글은 인류 문명의 대변혁기인 21세기 지식 정보 혁명 시대에 필요한 문식력과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 논문이다. 21세기에 합당한 문식력은 1)비판적 사고와 정보에 대한 민감성, 2) 전자 정보 매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 3) 사회적, 윤리적, 법률적, 경제적 쟁점들을 다루는 데 전자매체 환경에서 적절하게 정보를 이용하는 능력으로서 종합적 정보문식력(information literacy)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현재의 대학글쓰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철학의 문제, 교육과정의 문제, 사회문화적 문제를 지적했다. 철학적으로 글쓰기의 본질과 원리, 추구하는 인간상이 분명하지 않고,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양 글쓰기, 학문 글쓰기, 문학 글쓰기 등 다양한 분류의 글쓰기에 대한 목표, 내용 체계, 방법론 등이 체계적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사회문화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시에 매몰되고, 대입과 취업 평가는 선다형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사람들은 주체적 생각과 판단보다 인터넷과 스마트에 의존하고, 직장에서도 관습적 글쓰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미래에 대학 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 새로운 관점과 방법과 내용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과 두려움을 극복하는 구체적 방법을 찾아 시행하고, 무엇보다 개인과 사회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하는 글쓰기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대학작문학회 (15) : 73-97, 2016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송정윤, "초․중․고등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57) : 97-131, 2016

      4 박영목, "작문교육론" 역락 2008

      5 이재기, "작문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작문에 대한 세 가지 가치론적 접근법-"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185-217, 2008

      6 옥현진, "작문 연구의 국제 동향 분석과 대학작문교육을 위한 시사점" 반교어문학회 (31) : 271-295, 2011

      7 김용규, "생각의 시대" 살림 2014

      8 구자황, "대학글쓰기 교육의 반성과 전망" 반교어문학회 (36) : 163-180, 2014

      9 정희모,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한국작문학회 (21) : 29-56, 2014

      10 임선애, "대학 글쓰기 교육 운영시스템 혁신을 위한 기초연구" 대학작문학회 (13) : 129-161, 2015

      1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대학작문학회 (15) : 73-97, 2016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송정윤, "초․중․고등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57) : 97-131, 2016

      4 박영목, "작문교육론" 역락 2008

      5 이재기, "작문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작문에 대한 세 가지 가치론적 접근법-"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185-217, 2008

      6 옥현진, "작문 연구의 국제 동향 분석과 대학작문교육을 위한 시사점" 반교어문학회 (31) : 271-295, 2011

      7 김용규, "생각의 시대" 살림 2014

      8 구자황, "대학글쓰기 교육의 반성과 전망" 반교어문학회 (36) : 163-180, 2014

      9 정희모,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한국작문학회 (21) : 29-56, 2014

      10 임선애, "대학 글쓰기 교육 운영시스템 혁신을 위한 기초연구" 대학작문학회 (13) : 129-161, 2015

      11 서정수, "논리적 글쓰기" 정음문화사 1998

      12 김혜연,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작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작문학회 (26) : 33-69, 2015

      13 고인환, "나를 위한 글쓰기"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14 최명환, "글쓰기 원리 탐구" 지식산업사 2011

      1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16 서수현,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한 분석" 한국작문학회 (26) : 1-32, 2015

      17 박영민,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작문교육론" 역락 2016

      18 R.E.Asher,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Pergamon Press 2236-2247, 1994

      19 Sandy Campbell, "Information Literacy;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terary Association 17-24, 2008

      20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