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중 탈북자 문제와 한국 정부의 정책: ‘조용한 외교’와 ‘적극적 외교’ 사이에서 = North Korean Defectors Problem in China and Korean Government’s Policy: Between the ‘Quiet Diplomacy’ and the ‘Active Diplo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8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has been a major human right issue, but the situation of their human rights has not improved. During Kim Dae‐Jung, Rho Moo Hyun and Lee Myung Bak’s administration, the policy for supporting North Kore...

      Th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has been a major human right issue, but the situation of their human rights has not improved. During Kim Dae‐Jung, Rho Moo Hyun and Lee Myung Bak’s administration, the policy for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has emphasized on the ‘Quiet Diplomacy’This article reviews the ‘Quiet Diplomacy’ of South Korea administration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and analyzes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from the ‘Quiet Diplomacy’ to the ‘Active Diplomacy’. First, this article examines on political commentary and foreign policy issue in Korea about the North Korean defector in China. Second, the main issues and the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analyzed. Third, This article reviews the character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Quiet Diplomacy' toward the North Korean defector in China. Finally, This article analyzes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from the ‘Quiet Diplomacy’ to the ‘Active Diplomacy’.
      It is clear that fundamental responsibility about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is to the North. However,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human rights should be made by China and South Korea government. But until now,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consistent in carrying out their polic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refore, the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In conclusion, the South Korea’s government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Quiet Diplomacy’ but also the ‘Active Diplomacy’ for the gradual change in the Chinese Policy towards the North Korean defectors.


      Key Words: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North Korean Human Rights, Enforced Repatriation, Quiet Diplomacy, Active Diplom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외에 머물고 있는 탈북자 문제 가운데 가장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면서도 그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바로 재중 탈북자 문제이다. 재중 탈북자들에 대한 문제제기가 시작된 지 20여년에 이...

      해외에 머물고 있는 탈북자 문제 가운데 가장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면서도 그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바로 재중 탈북자 문제이다. 재중 탈북자들에 대한 문제제기가 시작된 지 20여년에 이르고 있지만, 이들의 현지 생활이나 인권 상황은 여전히 답보상태이다. 그동안 재중 탈북자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중 외교정책 기조는 김영삼 정부 이후 김대중․노무현 정부, 그리고 이명박 정부에 이르기까지 ‘조용한 외교’였다.
      이 논문은 재중 탈북자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조용한 외교’ 정책을 검토하고 ‘적극적 외교’ 정책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논의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재중 탈북자 문제의 국내정치화 및 외교 이슈화를 검토한 후, 재중 탈북자 문제의 주요 쟁점과 중국정부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정부의 ‘조용한 외교’ 정책의 특징과 배경을 분석한 후 ‘조용한 외교’에서 ‘적극적 외교’로의 전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재중 탈북자 문제의 근본적 책임은 분명 북한에 있지만, 그들의 인권개선을 위한 노력의 주체는 중국 정부와 우리 정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현재까지 재중 탈북자를 불법체류자로 간주하면서 강제송환의 입장을 견지해 오고 있다. 중국 정부의 입장 변화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재중 탈북자의 인권개선을 위한 노력은 우리 정부의 몫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재중 탈북자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중국에 대한 외교적 입장과 자세는 ‘조용한 외교’와 ‘적극적 외교’의 필요성이 공존한다. 우리 정부가 중국의 재중 탈북자 정책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기 위해서는 그간의 정책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인 접근을 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성호, "해외 탈북자의 법적 지위와 처리방향" 9 (9): 2002

      2 이숙자, "한국 정부의 재중 탈북자 정책: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251-271, 2009

      3 정민정, "탈북자의 난민 여부와 북송문제 해결방안" 국회입법조사처 (390) : 2012

      4 최창동,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두리미디어 2000

      5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6 윤여상, "중국동북지역 탈북자 실태와 지원방안" 1998

      7 윤여상, "중국내 탈북자 강제북송 사태, 그리고 쟁점"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긴급 전문가포럼 2012

      8 NKSIS, "중국 내 북한 탈북자, 4만 6천여명!"

      9 정천구, "조선족, 탈북자 그리고 한중관계" 6 (6): 2006

      10 장원석, "재중탈북난민과 일시적 보호이론" 2012

      1 제성호, "해외 탈북자의 법적 지위와 처리방향" 9 (9): 2002

      2 이숙자, "한국 정부의 재중 탈북자 정책: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251-271, 2009

      3 정민정, "탈북자의 난민 여부와 북송문제 해결방안" 국회입법조사처 (390) : 2012

      4 최창동,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두리미디어 2000

      5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6 윤여상, "중국동북지역 탈북자 실태와 지원방안" 1998

      7 윤여상, "중국내 탈북자 강제북송 사태, 그리고 쟁점"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긴급 전문가포럼 2012

      8 NKSIS, "중국 내 북한 탈북자, 4만 6천여명!"

      9 정천구, "조선족, 탈북자 그리고 한중관계" 6 (6): 2006

      10 장원석, "재중탈북난민과 일시적 보호이론" 2012

      11 박영자, "재중(在中) 탈북자 현황과 실태" 2007

      12 서보혁, "자기만족형 북한인권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코리아연구원 (139) : 2009

      13 정진성, "인권의 보편성과 특수성, In 21세기의 인권 1" 한길사 2000

      14 김흥광, "이명박 정부의 탈북자 정착지원정책 2년 평가"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17) : 2010

      15 김근식, "북한인권 논의에 대한 문제제기" 국가인권위원회 2003

      16 윤인진, "북한이주민 :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집문당 2009

      17 이성우, "북한의 인권현황과 한국의 인권외교정책" 2009

      18 우승지, "북한 인권문제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189-212, 2006

      19 이신화, "동북아 주요 국가의 탈북자 정책 : 재외 탈북자문제와 대량탈북 가능성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139-168, 2010

      20 이금순, "대규모 탈북자 입국과 남북한 문제" 2004

      21 곽정래,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 「조선일보」ㆍ「한겨레」 등 5대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96-217, 2009

      22 김일기, "국제사회의 인권개입과 북한의 대응전략"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6 (26): 129-147, 2011

      23 Lee, Shin-wha, "International Engagement in North Korea’s Humanitarian Crisis The Role of State and Non-State Actors" 20 (20): 2003

      24 좋은 벗들, "2006~2007 북한 사회 변화와 인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