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충암 김정이 제주에 유배 왔을 때 제주판관의 처남 방순현이 제주 동쪽에 있는 섬 우도에 대해서 이야기한 것을 바탕으로 우도를 노래한 칠언배율의 <우도가>에 대한 이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86859
2017
Korean
우도가 ; 김정 ; 충암집 ; 탐라지 ; 남사록 ; 패관잡기 ; 심재집 ; Woodoga ; Kim Jeong ; Chung-amjib ; Tamraji ; Namsarok ; Paegwanjabgi ; Shimjaejib
811.05
KCI등재
학술저널
153-179(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충암 김정이 제주에 유배 왔을 때 제주판관의 처남 방순현이 제주 동쪽에 있는 섬 우도에 대해서 이야기한 것을 바탕으로 우도를 노래한 칠언배율의 <우도가>에 대한 이본 연구...
이 글은 충암 김정이 제주에 유배 왔을 때 제주판관의 처남 방순현이 제주 동쪽에 있는 섬 우도에 대해서 이야기한 것을 바탕으로 우도를 노래한 칠언배율의 <우도가>에 대한 이본 연구이다. 이를 통해 그 정본과 이본들의 계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정의 <우도가>를 수록한 문헌들로는 크게 김정의 작품들을 수집하여 간행한 충암집류, 제주 지지에 수록된 탐라지류, 제주에 안무어사로 왔던 경험을 기록한 남사록류, 당시 시인 묵객 등의 언행 등에 관한 사실을 듣고 본 대로 기록한 패관잡기류, 일제강점기를 살면서 한 개인의 평생에 걸쳐 정리한 문학과 역사를 기술한 심재집류 등으로 나누어진다. 충암집류에는 임자본·병자본·임술 ·정해본 등의 이본이 있는데, 오자가 없는 대신 33구 231자의 불완전한 구성으로 제24구 이후에서는 평측과 운자가 통일되지 않아 오언배율의 형식을 벗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24구는 제23구와도 대구가 되지 않았다. 탐라지류에는 이원진의 『탐라지』, 윤시동의『증보탐라지』, 이원조의 『탐라지초본』 등이 있는데, 충암집류와는 달리 제24구가 결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평측과 운자가 압운되고, 문맥상으로도 오히려 탄탄한 구성을 이루었다. 남사록류는 규장각본과 청음유집본이 있는데, 탐라지 계통이었고, 패관잡기류는 전사본과 활자본이 있는데, 충암집 계통이었다. 심재집류는 남사록류처럼 탐라지 계통이었다. 이본들 사이에서는 오자·동자·속자·약자·통자·결자 등을 중심으로 적잖은 변이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different version of < Woodoga >, a Chileonbaeyul that sang Woodo based on the story about Woodo, an eastern island of Jeju, told by Bang Soonhyeon, a brother-in-law of Jeju Pangwan, when Chung-am Kim Jeong was exiled to Jeju....
This is a study on different version of < Woodoga >, a Chileonbaeyul that sang Woodo based on the story about Woodo, an eastern island of Jeju, told by Bang Soonhyeon, a brother-in-law of Jeju Pangwan, when Chung-am Kim Jeong was exiled to Jeju. Through this, this research intended to comprehend the system of original version and different version. The books that included Kim Jeong`s < Woodoga > are largely divided into Chung-amjib, Tamraji which was included in Jeju Jiji, Namsarok that recorded the writer`s experience in Jeju as a public officer, envoys to Ming Dynasty or custom of Yodong or Japan, Paegwanjabgi, a record of speech and behavior of poets and painters of that period, and Shimjaejib which recorded the literature and history that an individual arranged through one`s life while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Chung-amjib included different versions such as Yimjabon·Byeongjabon·Yimsulbon·Jeonghaebon, which had no misspelling in the different versions, however Pyeongcheuk and Unja were not unified after the phrase 24 due to incomplete composition of 33-gu 231-ja. Tamraji included Lee Wonjin`s Tamraji, Yun Shidong`s Jeungbotamraji, and Lee Wonjo`s Tamrajichobon, however on the whole Pyeongcheuk and Woonja were continuously rhymed with Cheong(靑) rhyme of Pyeongseong just like Myeong(溟) or Jeong(霆) of the phrase 2 or 4 by conclusion of phrase 24, differently from Chung-amjib. Namsarok included Gyujanggak version and Cheong-eumyujib version, which were Tamraji series, however Paegwanjibgi included Jeonsa version and print version, which were Chung-amjib series. Shimjaejib series was Tamraji series as Namsarok series. Significant modification apepared mainly with Oja·Dongja·Sokja·Yakja·Tongja·Gyeolja, etc. among different vers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淳珌, "論文集 20(인문학편)" 제주대학교 47-62, 1985
2 담수계, "증보탐라지" 제주문화원 2005
3 어숙권, "국역 대동야승Ⅰ" 민족문화추진회 1971
4 許筠, "許筠全集"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1
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臥遊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6 李源祚, "耽羅誌草本(上)(影印)" 濟州敎育博物館 2007
7 김행옥, "耽羅文獻集" 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8 李元鎭, "耽羅志(影印)" 濟州大學校 耽羅文化硏究所 1991
9 李元鎭, "耽羅志(影印)" 푸른역사 2002
10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9"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6
1 梁淳珌, "論文集 20(인문학편)" 제주대학교 47-62, 1985
2 담수계, "증보탐라지" 제주문화원 2005
3 어숙권, "국역 대동야승Ⅰ" 민족문화추진회 1971
4 許筠, "許筠全集"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1
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臥遊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6 李源祚, "耽羅誌草本(上)(影印)" 濟州敎育博物館 2007
7 김행옥, "耽羅文獻集" 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8 李元鎭, "耽羅志(影印)" 濟州大學校 耽羅文化硏究所 1991
9 李元鎭, "耽羅志(影印)" 푸른역사 2002
10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9"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6
11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6"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3
12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4"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3
13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3"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0
14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15"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8
15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14"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8
16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12"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7
17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10"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7
18 漢語大詞典編纂委員會, "漢語大詞典 3-上" 上海辭典出版社 1994
19 漢語大詞典編纂委員會, "漢語大詞典 10" 上海辭典出版社 1994
20 王力, "漢詩韻律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3
21 金錫翼, "心齋集1(影印)" 濟州文化社 1990
22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標點韓國文集叢刊 23(思齋集・冲庵集・陽谷集・松齋集)" 景仁文化社 1990
23 尹蓍東, "影印增補耽羅誌(日本天理大學圖書館本)"
24 宋時烈, "宋子大全 卷一百三十七" 한국고전종합DB 한국문집총간
25 魚叔權, "大東野乘(奎章閣本)"
26 尹蓍東, "國譯增補耽羅誌" 濟州文化院 2016
27 金淨, "國譯 冲庵集下" 冲庵文簡公宗中 1988
28 金尙憲, "南槎錄(影印)" 濟州文化院 2008
29 金尙憲, "南槎錄(奎章閣本)"
30 金尙憲, "南槎錄" 永嘉文化社 1992
31 金淨, "冲庵集(高麗大學校圖書館本)"
32 金淨, "冲庵集(大田市立博物館本)"
33 金淨, "冲庵集(國立中央圖書館本)"
34 金淨, "冲庵集" 1998
35 朴守川, "冲庵 金淨의 삶과 詩文學"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2 : 121-154, 2009
36 林采明, "冲庵 金淨 詩의 硏究" 槿域漢文學會 15 : 1-37, 1997
37 원영섭, "俗字・略字辭典" 以會文化社 2007
희망의 유산(遺産) ― 혜환 이용휴 만시(挽詩) 연구 ―
만횡청류, 만남과 이별의 정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 ― 속요와의 교직과 간극에 기대어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