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R&D지원정책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55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정책은 기술획득을 위한 민간투자가 적정수준 이하로 과소투자되는 성향을 보전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이다. 그러나 기술정책과 관련된 정부정책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아직도 초보적 ...

      기술정책은 기술획득을 위한 민간투자가 적정수준 이하로 과소투자되는 성향을 보전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이다. 그러나 기술정책과 관련된 정부정책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아직도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과제수준에서 기술개발지원제도의 성과를 계량경제학적 모형(Probit)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 민간부문의 대응 투자(현금과 현물), 기술개발과제 수행형태, 수행주체간의 역할 등이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을 검증하는 형태로 살펴보았다. 총투자규모 보다는 투자의 구성 및 내용이 중요하고, 기업의 대응투자, 특히 현금투자의 정도가 기술적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현금투자와 현물투자는 대체재 관계라는 정책적 시사점이 높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국가기술 개발지원제도의 기획은 물론 그 효율성 평가에도 많은 도움과 함께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numerous policy influencers' and researchers' advices and policy suggestions, there is little opposition to the proposition that technology is essential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role of technology has never been more emphasized than toda...

      Among numerous policy influencers' and researchers' advices and policy suggestions, there is little opposition to the proposition that technology is essential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role of technology has never been more emphasized than today in Korea as in any other countries.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innovation policy on corporate R&D activities and more broadly the economic welfare of a whole nation are widely recognized with intuitional and empirical evidence. That is, various R&D incentives reduce the marginal cost of a firm's R&D efforts, inducing as much increase of its R&D investment to result in a better chance to acquire target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R&D incentives on the technological outcomes by analyzing individual firms' investment behaviors subject to the government's R&D incentive policies. An econometric model of technological outcomes is estimated on a project level with cross-sectional data. "Probit model" is employed for estimation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effectiveness of R&D programs by estimating policy impact by types of inves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28 different R&D projects completed between 1987 and 1993.
      With the single equation approach,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structure of investment is a far more Significant factor in technological outcomes than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two types of firms' matching investment, in-kind and cash, do not bear a complementary, but a substitutive relations to each other. It also reconfirms the proposition that R&D incentives increase firm's financial investment. Despite many supportive studies emphasizing the cooperation between innovation performers, it is also foun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institutions involved in a project, the less likely it leads to a technological success, And meeting the proposed deadlines without postponing is estimated to be a good barometer to predict the outcome of an R&D project. Also the probabilities of success for major variables are represented for policy implications, after calculating marginal eff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통계모형과 가설
      • Ⅲ. 회귀분석 및 가설검증
      • 국문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통계모형과 가설
      • Ⅲ. 회귀분석 및 가설검증
      • Ⅳ. 변수별 한계효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용수, ""정부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 주요국의 사례비교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1993

      2 이종일, "한국의 기술개발요인분석 -계량경제모형 구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산업기술정책연구소 1996

      3 이종일, "한국기업의 투자행태 분석: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증거" 185-212, 1995

      4 이진주, "정책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형" 나남출판 6 : 1996

      5 성태경, "수출성과와 기업특성:기술혁신요인을 중심으로" 116-134, 2005.4

      6 유승훈, "기술혁신 횟수의 분포함수 추정-혼합모형을 적용하여" 887-910, 2005.12

      7 박정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 제도 개선: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13 (13): 131-152, 2005

      8 산업기술정책연구소,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평가관리규정" 1995

      9 통상산업부,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관련법령" 1994

      10 Judge,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1988b

      1 황용수, ""정부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 주요국의 사례비교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1993

      2 이종일, "한국의 기술개발요인분석 -계량경제모형 구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산업기술정책연구소 1996

      3 이종일, "한국기업의 투자행태 분석: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증거" 185-212, 1995

      4 이진주, "정책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형" 나남출판 6 : 1996

      5 성태경, "수출성과와 기업특성:기술혁신요인을 중심으로" 116-134, 2005.4

      6 유승훈, "기술혁신 횟수의 분포함수 추정-혼합모형을 적용하여" 887-910, 2005.12

      7 박정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 제도 개선: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13 (13): 131-152, 2005

      8 산업기술정책연구소,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평가관리규정" 1995

      9 통상산업부,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관련법령" 1994

      10 Judge,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1988b

      11 Mansfield, "Science,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Technology, R&D and The Economy" The Brookings Institutions 1996

      12 김병우, "R&D투자가 한국경제 수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14 (14): 31-65, 2006

      13 서규원, "R&D지원제도와 기업 R&D 지출액간 관계 분석: 정부 R&D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중심으로" 14 (14): 101-118, 2006

      14 Griliches, Zvi, "R&D, Patents, and Productivity" 1984

      15 O'Higgins, N, "Market Structure, Firm Size and Innovation in Italy, An Integrated Approach to Testing Schumpeter" 1990

      16 Greene, William H, "LIMDEP:User's Manual and Reference and Guide Version 6.0" 1991

      17 Judge,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1988a

      18 Maddala, G.S, "Introduction to Econometrics" 1989

      19 OECD, "Impacts of National Technology Programmes" 1995

      20 Nelson,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Technology, R&D and The Economy" The Brookings Institutions 49-74, 1996

      21 Johnston, J, "Econometric Methods" 1985

      22 Mittelhammer, R.C, "Econometric Found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3 Flster, "Do subsidies to cooperative R&D actually stimulate R&D investment and cooperation?" 24 : 403-41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2 1.27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