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평정을 위한 ‘배경지식'의 위계화 연구 = A Study on the Hierarchy of ‘Background Knowledge’ for Judging the Readability of Korea Modern Novel 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59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을 위한 배경지식 위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가 소설을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배경지식의 심도와 복합성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에 있어 배경지식의 역할을 분석하고, 독자의 학습사 및 경험세계와 관련하여 배경지식이 어떻게 위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현대소설 이독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지식 요인으로 경험과 사회·문화적 지식을 설정하고, 이 중 경험은 다시 일상적 경험과 문학적 경험으로 나누었다. 일상적 경험은 개인, 가정, 학교, 사회, 국가 경험으로 나누었고, 문학적 경험과 사회·문화적 지식은 각각 문학 교육과정과 사회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독자의 학교급, 학년별로 일반적으로 경험하거나 학습했다고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소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읽기 경험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적합한 텍스트를 선정하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을 위한 배경지식 위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가 소설을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배경지식의 심도와 복합성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

      이 연구는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을 위한 배경지식 위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가 소설을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배경지식의 심도와 복합성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소설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에 있어 배경지식의 역할을 분석하고, 독자의 학습사 및 경험세계와 관련하여 배경지식이 어떻게 위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현대소설 이독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지식 요인으로 경험과 사회·문화적 지식을 설정하고, 이 중 경험은 다시 일상적 경험과 문학적 경험으로 나누었다. 일상적 경험은 개인, 가정, 학교, 사회, 국가 경험으로 나누었고, 문학적 경험과 사회·문화적 지식은 각각 문학 교육과정과 사회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독자의 학교급, 학년별로 일반적으로 경험하거나 학습했다고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소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읽기 경험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적합한 텍스트를 선정하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depth and complexity of background knowledge required for learners to comprehend Korea mofern novel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role of background knowledge in assessing the readability of Korea modern novel texts and explores how background knowledge can be hierarchized in relation to the reader’s learning history and experiential worl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identifies ‘experienc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s key background knowledge factors influencing the readability of Korea modern novels. Experience is further categorized into ‘everyday experience’ and ‘literary experience’. Everyday experience is subdivided into personal, familial, school, societal, and national experiences. Literary experienc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re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readers typically encounter or learn at different school levels and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practically to adjusting students’ reading experiences in Korea modern novel education and selecting texts appropriate to learners’ levels of comprehension. This study offers a framework that enhances the readability assessment of Korea modern novel texts by systematically considering background knowled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depth and complexity of background knowledge required for learners to comprehend Korea mofern novel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role of background knowledge in assessing the r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depth and complexity of background knowledge required for learners to comprehend Korea mofern novel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role of background knowledge in assessing the readability of Korea modern novel texts and explores how background knowledge can be hierarchized in relation to the reader’s learning history and experiential worl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identifies ‘experienc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s key background knowledge factors influencing the readability of Korea modern novels. Experience is further categorized into ‘everyday experience’ and ‘literary experience’. Everyday experience is subdivided into personal, familial, school, societal, and national experiences. Literary experienc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re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readers typically encounter or learn at different school levels and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practically to adjusting students’ reading experiences in Korea modern novel education and selecting texts appropriate to learners’ levels of comprehension. This study offers a framework that enhances the readability assessment of Korea modern novel texts by systematically considering background knowledg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