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홍준, "화인열전 1" 서울:역사비평사 2001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서울:일지사 1999
3 호암미술관, "한국미술 속의 정원을 걷다’ 전통정원 희원 개원 10주년 기념전 도록"
4 김채현, "풍속화에서 살펴 본 공공공간의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59-71, 2007
5 김재숙, "진경시대 미학사상 연구" 15 : 149-178, 2001
6 박은순, "진경산수화의 관점과 제재우리 땅,우리의 진경(국립춘천박물관,"조선시대 진경산수화"특별전 도록)" 통천문화사 2002
7 유가현,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풍토경관에 관한 기초연구 - 겸재 정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87-99, 2009
8 강명수, "진경산수화 분석을통한 산지 구릉 경관 유형의 분류 및해석" 29 (29): 12-23, 2001
9 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서울:미술문화 2005
10 김정용, "중국 회화이론과 원림건축사상 비교연구" 8 (8): 33-45, 1999
1 유홍준, "화인열전 1" 서울:역사비평사 2001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서울:일지사 1999
3 호암미술관, "한국미술 속의 정원을 걷다’ 전통정원 희원 개원 10주년 기념전 도록"
4 김채현, "풍속화에서 살펴 본 공공공간의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59-71, 2007
5 김재숙, "진경시대 미학사상 연구" 15 : 149-178, 2001
6 박은순, "진경산수화의 관점과 제재우리 땅,우리의 진경(국립춘천박물관,"조선시대 진경산수화"특별전 도록)" 통천문화사 2002
7 유가현,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풍토경관에 관한 기초연구 - 겸재 정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87-99, 2009
8 강명수, "진경산수화 분석을통한 산지 구릉 경관 유형의 분류 및해석" 29 (29): 12-23, 2001
9 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서울:미술문화 2005
10 김정용, "중국 회화이론과 원림건축사상 비교연구" 8 (8): 33-45, 1999
11 고연희, "조선후기 회화와 타자성 鄭敾의 산수화 제작과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8) : 23-46, 2002
12 유병림, "조선조 정원의 원형"
13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진경시대(최완수 외,"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1,사상과 문화")" 서울:도서출판 돌베개 2006
14 국립광주박물관, "조선시대산수화특별전도록" 서울:예맥출판사 2004
15 조경진, "조선시대 풍속화를 통해 본 정원의 풍류적 의미 연구" 한국조경학회 36 (36): 94-107, 2008
16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돌베개 2007
17 이원복, "조선시대 산수화-그 흐름과 특징(국립광주박물관,"조선시대 산수화"특별전 도록)" 서울:예맥출판사. 2004
18 백종철,,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19 (19): 28-37, 2001
19 전영옥, "조선시대 怪石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1-12, 2004
20 유홍준,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화론과 진경시의 시론" 12 : 41-55, 1999
21 최종현, "원림건축 형식으로서의 한국전통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3-36, 2007
22 이선,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수류산방 2006
23 국립춘천박물관, "우리 땅,우리진경 조선시대 진경산수화 특별전 도록" 예맥출판사 2002
24 김기임,, "예술분야에 나타난조선시대 정원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16 (16): 125-128, 1996
25 김광석, "산수화의 시각구조와 도시풍경담기에 관한 연구" 24 (24): 259-262, 2004
26 조선일보, "낙산사 그림같이 되살아나다"
27 최완수, "겸재의 한양진경"
28 정인식, "겸재 진경산수화의낭만주의적 경향" 3 : 241-268, 1996
29 강영조,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 -진경산수화 100엽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30 (30): 1-15, 2002
30 최완수,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풍(최완수 외,"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예술과 예술가들")" 서울:도서출판 돌베개 2003
31 최완수,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 서울:범우사 1993
32 최완수, "겸재 정선 2" 서울:현암사 2009
33 정봉구, "朝鮮後期 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81-92, 2007
34 심우경, "古墳壁畵에 表現된 理想鄕이 庭苑文化에 미친 影響"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1-24, 2007
35 홍형순, "「장주묘암도」에 표현된 정원도해의 메타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1-8, 2008
36 김현준,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41-154, 2007
37 노재현, "「茶山圖」에 표현된 茶山草堂의 原型景觀 探索"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31-41, 2008
38 조선일보, "“겸재 정선의 그림대로 압구정 복원키로”"
39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서울: 휴머니스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