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古代國語의 文法 形態素 ‘-긔’의 再構 = A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and the change of the grammatical morpheme ‘-긔(gui)' on Ancient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2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grammatical morpheme on Ancient Korean and newly reconstruct the genitive postposition ‘-긔(gui)' on Ancient Korean.
      Also, We try to consider the change of ‘-긔(gui)' from Ancient Korean to Latter Middle Korean.
      The ‘-긔(gui)' that we try to newly reconstruct is not new one. What we try to insist is that the form of genitive postposition on Ancient Korean is not same with the form of ‘-의(ui)’ on Latter Middle Korean but ‘-긔(gui)'.
      To do thi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reconstruct the genitive postposition ‘-긔(gui)' on Ancient Korean. Also, We tried to establish the fact that genitive postposition ‘-矣, -衣’ was ‘-긔’ on Ancient Korean with various materials. And We study ‘-中’ which was used as a genitive postposition on Ancient Korean with Korean history academia discussion as well as Korean linguistics academia discussion.
      Lastly, We tried to inquire minutely into the process of the form change of ‘-矣, -衣, -中’ from Ancient Korean to Latter Middle Korean.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grammatical morpheme on Ancient Korean and newly reconstruct the genitive postposition ‘-긔(gui)' on Ancient Korean. Also, We try to consider the change of ‘-긔(gui)' fro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grammatical morpheme on Ancient Korean and newly reconstruct the genitive postposition ‘-긔(gui)' on Ancient Korean.
      Also, We try to consider the change of ‘-긔(gui)' from Ancient Korean to Latter Middle Korean.
      The ‘-긔(gui)' that we try to newly reconstruct is not new one. What we try to insist is that the form of genitive postposition on Ancient Korean is not same with the form of ‘-의(ui)’ on Latter Middle Korean but ‘-긔(gui)'.
      To do thi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reconstruct the genitive postposition ‘-긔(gui)' on Ancient Korean. Also, We tried to establish the fact that genitive postposition ‘-矣, -衣’ was ‘-긔’ on Ancient Korean with various materials. And We study ‘-中’ which was used as a genitive postposition on Ancient Korean with Korean history academia discussion as well as Korean linguistics academia discussion.
      Lastly, We tried to inquire minutely into the process of the form change of ‘-矣, -衣, -中’ from Ancient Korean to Latter Middle Kore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目的은 古代國語時期의 資料 分析을 통해 文法 形態素 ‘*-긔’를 재구하는 데에 있다. 本攷에서 새로이 再構하려는 문법 형태소 ‘*-긔’는 그 용례의 특성상 현대국어에서 冠形格助詞로 기술되는 형태소와 매우 비슷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冠形格助詞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형태소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고대국어시기에 사용된 冠形格助詞의 형태는 후기중세국어시기의 冠形格助詞 ‘-/의’와 동일한 형태가 아닌, 바로 ‘*-긔’라는 것이다. 本攷는 이러한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긔’를 再構하기 위한 理論的 背景을 논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대국어시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矣, -衣’가 ‘-긔’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冠形格助詞로 쓰인 ‘-中’을 국어학계의 논의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논의를 이용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의 目的은 古代國語時期의 資料 分析을 통해 文法 形態素 ‘*-긔’를 재구하는 데에 있다. 本攷에서 새로이 再構하려는 문법 형태소 ‘*-긔’는 그 용례의 특성상 현대국어에서 冠形格...

      이 글의 目的은 古代國語時期의 資料 分析을 통해 文法 形態素 ‘*-긔’를 재구하는 데에 있다. 本攷에서 새로이 再構하려는 문법 형태소 ‘*-긔’는 그 용례의 특성상 현대국어에서 冠形格助詞로 기술되는 형태소와 매우 비슷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冠形格助詞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형태소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고대국어시기에 사용된 冠形格助詞의 형태는 후기중세국어시기의 冠形格助詞 ‘-/의’와 동일한 형태가 아닌, 바로 ‘*-긔’라는 것이다. 本攷는 이러한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긔’를 再構하기 위한 理論的 背景을 논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대국어시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矣, -衣’가 ‘-긔’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冠形格助詞로 쓰인 ‘-中’을 국어학계의 논의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논의를 이용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基文, "吏讀의 기원에 대한 일고찰" 진단학회 52 : 73-74, 1981

      2 南豊鉉, "吏讀硏究" 태학사 2000

      3 허 웅, "우리옛말본: 15세기국어형태론" 샘문화사 1975

      4 류 렬, "세나라시기의 리두에 대한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5 兪昌均, "삼국시대의 漢字音" 民音社 1991

      6 조재형,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한말연구학회 26 (26): 187-208, 2010

      7 李相揆, "방언이야기(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 1)" 태학사 97-116, 2007

      8 김선기, "누비굿노래(齋妹歌)-신라 노래 열둘-" 현대문학 15 (15): 349-361, 1969

      9 南豊鉉, "국어사를 위한 口訣硏究" 태학사 1999

      10 南豊鉉, "국어 處格 助詞의 발달」, 국어국문학논총(이숭녕선생 고희 기념)" 탑출판사 1977

      1 李基文, "吏讀의 기원에 대한 일고찰" 진단학회 52 : 73-74, 1981

      2 南豊鉉, "吏讀硏究" 태학사 2000

      3 허 웅, "우리옛말본: 15세기국어형태론" 샘문화사 1975

      4 류 렬, "세나라시기의 리두에 대한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5 兪昌均, "삼국시대의 漢字音" 民音社 1991

      6 조재형,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한말연구학회 26 (26): 187-208, 2010

      7 李相揆, "방언이야기(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 1)" 태학사 97-116, 2007

      8 김선기, "누비굿노래(齋妹歌)-신라 노래 열둘-" 현대문학 15 (15): 349-361, 1969

      9 南豊鉉, "국어사를 위한 口訣硏究" 태학사 1999

      10 南豊鉉, "국어 處格 助詞의 발달」, 국어국문학논총(이숭녕선생 고희 기념)" 탑출판사 1977

      11 高暢洙, "고대국어의 구조격 연구" 高麗大學校 1992

      12 이장희, "고대국어/h/에 대한 역사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42) : 57-98, 2005

      13 박병채, "高麗歌謠語釋硏究" 宣明文化社 1968

      14 李丞宰, "高麗中期 口訣資料의 形態音素論的 硏究" 진단학회 78 : 307-326, 1994

      15 金昇坤, "韓國語 助詞 의 適時的硏究" 建國大學校 1978

      16 이정용, "韓國 古地名 借字表記 硏究" 경인문화사 2002

      17 兪昌均, "韓國 古代 漢字音의 硏究(1)" 계명대학교출판부 1980

      18 池憲英, "鄕歌麗謠新釋" 正音社 1947

      19 金完鎭,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0

      20 兪昌均, "鄕歌批解" 螢雪文化社 1994

      21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亞細亞文化社影印 1929

      22 梁柱東, "訂補版 古歌硏究" 일조각 1975

      23 崔世和, "處格의 變遷 −‘․의’를 중심으로−" 5 : 21-49, 1964

      24 박병채, "紀念論文集" 고려대학교 119-181, 1965

      25 小川環樹, "稻荷山古墳의 鐵劍銘과 太安萬侶墓誌의 漢文에 있어서의 Ko- reanism에 대하여" 1 (1): 1980

      26 姜信沆, "漢字音을 通해서 본 國語音韻史硏究 問題" 국어학회 27 : 203-214, 1996

      27 朴方龍, "明活山城作城碑의 檢討" 국립중앙박물관 41 : 57-79, 1988

      28 藤本幸夫, "日本語硏究(二)" 明治書院 1986

      29 徐在克, "新羅鄕歌의 語彙硏究" 啓明大 國學硏究所 1975

      30 朴良圭, "所有와 所在" 國語學會 3 (3): 93-117, 1975

      31 洪允杓, "延岩 玄平孝博士 回甲紀念論叢" 螢雪出版社 725-752, 1980

      32 李弘稙, "崔鉉培先生回甲紀念論文集" 思想界社 1954

      33 홍종선, "屬格ㆍ處格의 發達" 91 : 281-284, 1984

      34 李基文, "國語史槪說" 태학사 1961

      35 金洪坤, "固有語表記에 使用된 「叱」字의 音價變移에 對한 考察" 국어국문학회 75 : 1-28, 1977

      36 姜銓燮, "吏讀의 新 硏究" 忠南大學校 1963

      37 梁柱東, "古歌箋箚疑」" 乙酉文化社 2 (2): 1949

      38 梁柱東, "古歌硏究" 일조각 1965

      39 김경숙, "古代韓語 再構에 있어서 中國上古音의 重要性" 한국중어중문학회 24 : 69-86, 1999

      40 김영욱, "古代國語의 處所格 助詞에 對하여" 국어학회 (57) : 131-152, 2010

      41 金永旭, "古代國語의 處所格 助詞 ‘-中’에 對한 通時的 考察" 71-84, 2007

      42 조재형, "古代國語時期의 ‘衣’의 讀音에 관하여" 한국어학회 43 : 207-232, 2009

      43 조재형, "古代 韓・中・日 漢字音 比較를 통한 韓國漢字音의 變化 考察-기, 시, 지 漢字音에 限하여-" 동아시아고대학회 (25) : 103-136, 2011

      44 주보돈, "南山新城의 築造와 南山新城碑:第9碑를 중심으로"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0 (10): 33-59, 1994

      45 이수훈, "南山新城碑의 역역편성과 郡(中)上人: 최근에 발견된 제9비를 중심으로" 경남사학회 30 : 15-46, 1996

      46 洪允杓, "十五世紀國語의 格硏究" 國語學硏究會 21 : 1969

      47 김영욱, "中原 高句麗碑의 國語學的 硏究" 구결학회 (18) : 43-65, 2007

      48 李崇寧,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1961

      49 박용식,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난 언어의 시대적 특징 고찰" 구결학회 (14) : 173-196, 2005

      50 조재형, "‘-에게’形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시적 고찰 -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63-86, 2011

      51 조재형, "'-에'형 부사격조사의 통시적 연구" 中央大學校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