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중앙부처 정책과정의 이론적 모형화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 = A Policy Process Model in the Central Governments: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2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중앙부처의 정책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화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한국적 정책과정모형의 구축에 있어서 현실과의 부합성을 제고하기 ...

      본 연구는 한국 중앙부처의 정책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화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한국적 정책과정모형의 구축에 있어서 현실과의 부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질적ㆍ귀납적 접근에 바탕을 두고 있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약 81명의 실무가들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다각적인 자료수집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①의제결정단계, ②내용구체화 및 명분ㆍ논거 마련단계, ③외부조정 및 협상ㆍ거래 단계, ④합법화 단계, ⑤집행 및 사후조정(갈등관리) 단계의 5가지 절차를 탐색하였다. 더하여, 한국의 정책과정을 둘러싼 다음과 같은 특질을 식별하였다. (1)첫째, 대통령과 청와대를 정점으로 하는 엘리트 연합이 정책과정에서 지배적인 독립변수성을 지닌다. 정책은 ‘엘리트연합’이 사전조율 한 의제를 이론적 명분을 마련하여 관철시켜가는 과정을 뜻한다. 이에 주요 정책자원은 ‘합리성’보다는 ‘정당성’에 있다. (2)둘째, 정책과정의 주요 동력은 ‘명분’이며, 이에 서구의 관리제도(예. 평가제도)를 명분화의 도구로 원래의 취지와 다르게 변용하여 활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학계는 정부용역과 수탁사업에 의존성을 가지며, 이에 명분화의 외부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3)셋째, 미국의 정책엘리트가 정부-의회-이익집단의 동맹구조에 초점을 두는 것과 달리, 한국의 정책엘리트는 정권창출의 과업 기여도에 따라 (재)구성된 정권-정부-학계-의회-언론의 동맹구조를 중심축으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Korea's central government. The researcher employed the qualitative-inductive approach such as grounded theory method to enhance the correspondence w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Korea's central government. The researcher employed the qualitative-inductive approach such as grounded theory method to enhance the correspondence with reality in constructing the policy process model. Toward this end, in-depth interviews on 81 relevant personnel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qualitative coding was performed on the data using Altlas.ti QDA software. The results identified five procedures: ① agenda decision stage, ② materialization and justification, argument preparation, ③ external adjustment, negotiation, and transaction stage, ④ legalization stage, and ⑤ execution and post-conciliation (conflict management) stage. In addi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Korean policy process were identified. (1) First, the elite coalition, with the president and blue house at its peak, has the dominant independent variable in the policy process. Policy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elite coalition prepares and implements theoretical agenda. The main policy resource is 'justification' rather than 'rationality'. (2) Second,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policy process is 'justification', which tends to use the Western management system (eg evaluation system) as a tool for justification. Academia has a dependency on government services and entrusted projects, which serve as external facilitators of justification. (3) Third, in contrast to the US policy elite focusing on the alliance structure of the government, parliamentary, and interest groups, the policy elite in Korea was (re)formed by the contributions of the creation of the regime. The focus is on the media alliance struc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평, "행정학의 토착화・한국화 담론의 성찰과 대안적 연구 모색" 5 (5): 3-36, 2011

      2 김정렬, "행정학 위기의 실상과 대책" 한국행정학회 37 (37): 19-38, 2003

      3 권향원, "행정이론의 한국화를 위한 연구방법 및 이론화 전략: 보편성과 특수성의 이분법적 흑백논리의 극복" 한국행정학회 51 (51): 1-31, 2017

      4 유현종, "한국행정의 국가이론적 재검토: 국가성의 변화와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251-277, 2011

      5 송희준, "한국의 정책연구 내용과 성격분석" 2006

      6 김현구,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론" 법문사 2013

      7 황종성, "한국 정치엘리트의 구조 분석" 30 (30): 141-163, 1996

      8 문상호, "한국 정책학의 이상과 도전 -한국적 맥락의 정책수용성 연구를 위한 성찰적 정책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18 (18): 1-28, 2009

      9 박천오, "한국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33 (33): 239-259, 1999

      10 강인성, "지방정부 주민참여제도의 정책과정과 참여유형에 따른 영향력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215-238, 2008

      1 전영평, "행정학의 토착화・한국화 담론의 성찰과 대안적 연구 모색" 5 (5): 3-36, 2011

      2 김정렬, "행정학 위기의 실상과 대책" 한국행정학회 37 (37): 19-38, 2003

      3 권향원, "행정이론의 한국화를 위한 연구방법 및 이론화 전략: 보편성과 특수성의 이분법적 흑백논리의 극복" 한국행정학회 51 (51): 1-31, 2017

      4 유현종, "한국행정의 국가이론적 재검토: 국가성의 변화와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251-277, 2011

      5 송희준, "한국의 정책연구 내용과 성격분석" 2006

      6 김현구,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론" 법문사 2013

      7 황종성, "한국 정치엘리트의 구조 분석" 30 (30): 141-163, 1996

      8 문상호, "한국 정책학의 이상과 도전 -한국적 맥락의 정책수용성 연구를 위한 성찰적 정책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18 (18): 1-28, 2009

      9 박천오, "한국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33 (33): 239-259, 1999

      10 강인성, "지방정부 주민참여제도의 정책과정과 참여유형에 따른 영향력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215-238, 2008

      11 김동배, "제도적 동형화와 상징적 동조: 연봉제의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10 (10): 33-67, 2010

      12 강정인, "정치학 입문서에 나타난 서구중심주의의 완화ㆍ극복 방안" 극동문제연구소 28 (28): 109-143, 2012

      13 김만홈, "정치균열, 정당정치 그리고 지역주의" 28 (28): 215-237, 1995

      14 정정길, "정책학의 내용과 한계 (I)-연구방법과 연구내용" 24 (24): 129-150, 1986

      15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3

      16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3

      17 박병식, "정책사례 연구" 대영문화사 2002

      18 권향원, "정책네트워크와 정부 간 갈등: KTX 오송역 입지정책을 둘러싼 공공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5 (25): 391-428, 2016

      19 김순양, "정책과정분석에서의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 모형 - 이론적・실천적 적실성의 검토 및 제언 -" 한국정책학회 19 (19): 177-210, 2010

      20 오철호,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보사용에 대한 합리모형 비판" 7 (7): 195-228, 1998

      21 정준금, "시차적 접근을 통한 정책과정의 동태적 이해:환경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1 (11): 273-294, 2002

      22 권향원, "세종시 수정안의 정책변동과 담론경쟁 - 툴민(Toulmin) 논변모형의 담론분석에의 적용 -" 한국정책학회 24 (24): 461-492, 2015

      23 김병주, "대학재정 확보 및 지원방식의 현황과 과제" 동아인문학회 (32) : 327-359, 2015

      24 권향원, "근무성적평정 공정성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이론화 연구: 중앙부처산하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4 (14): 47-74, 2017

      25 권향원,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275-302, 2011

      26 권향원,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0 (20): 181-216, 2016

      27 권향원, "공공기관의 ‘집단 내 갈등’(intragroup conflict) 요인 연구: 학연, 지연, 성별, 정규직의 파벌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3 (13): 97-124, 2018

      28 권향원, "공공갈등과 인상관리 - 제2롯데월드 갈등사례에서 정책기조 변동과 갈등주체의 대응전략 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4 (24): 299-334, 2015

      29 성욱준,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2 (22): 151-180, 2013

      30 Bachrach, P, "Two faces of power" 56 (56): 947-952, 1962

      31 Sabatier, P. A.,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implementation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and suggested synthesis" 6 (6): 21-48, 1986

      32 Morse, J. M., "Theoretical Saturation. In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2004

      33 Lindblom, C. E.,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19 (19): 79-88, 1959

      34 Reich, S., "The four faces of institutionalism: public policy and a pluralistic perspective" 13 (13): 501-522, 2000

      35 Buchanan, J. M, "The Theory of public choice I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4

      36 Hill, M., "The Public Policy Process" Routledge 2014

      37 Cobb, R., "The Political Agenda-Building : An Alternative for Modern Democracy Theory" 3 : 892-915, 1971

      38 Staddon, J., "The New Behaviorism" Psychology Press 2014

      39 Jones, C. O., "The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 Wadsworth Publishing Co. Inc 1997

      40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de Gruyter 1967

      41 Lasswell, H. D., "The Decision Process: Seven Categories of Func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Maryland 1956

      42 Steinbruner, J. D., "The Cybernetic Theory of Decision: New Dimensions of Political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43 Jordan, G., "Sub-governments, policy communities and networks: refilling the old bottles?" 2 (2): 319-338, 1990

      44 Langley, A., "Strategies for Theorizing from Process Data" 24 (24): 691-710, 1999

      45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Sage 1989

      46 Palumbo, D. J., "Public Policy in America: Government in Ac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Publisher 1988

      47 Dror, Y., "Public Policy Making: Reexamined" Transaction Publishers 1989

      48 Anderson, J. E., "Public Policy Making" Wadsworth, Cengage Learnings 2011

      49 Anderson, J. E., "Public Policy Making" Holt, Renehart and Winston 1979

      50 Peterson, M. A., "Political influence in the 1990s: From iron triangles to policy networks" 18 (18): 395-438, 1993

      51 Ripley, R. B., "Policy implementation and bureaucracy" Brooks/Cole 1986

      52 Helco, H. H., "Policy analysis" 2 (2): 83-108, 1972

      53 Hogwood, B. W., "Policy Dynamics" St. Martin's Press 1983

      54 Dye, T. R., "Policy Analysis"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976

      55 Jenkins, W., "Policy Analysis" Martin Robertson 1978

      56 Hanson, N. R.,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57 March, J. G.,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Inc 1958

      58 Jick, T. D., "Mix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riangulation in Action" 602-611, 1979

      59 Etzioni, A., "Mixed-scanning: A“ third” approach to decision-making" 385-392, 1967

      60 Todd, J. T., "Misconception and miseducation: Presentations of radical behaviorism in psychology textbooks" 6 (6): 153-160, 1983

      61 Edmondson, A. C., "Methodological Fit in Management Field Research" 32 (32): 1155-1179, 2007

      62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ess 2006

      63 Mukherji, P. N., "Indigeneity and universality in social science: A South Asian response" Sage 2004

      64 Mazmanian, D. A., "Implementation and Public Policy" Scott, Foresman and Co 1983

      65 박상원, "IPTV 정책과정에 관한 분석: 옹호연합(Advocacy Coalition)의 신념체계(belief system)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197-228, 2009

      66 Locke, K., "Grounded Theory in Management Research" SAGE 2001

      67 Barzelay, M, "From “new institutionalism” to “institutional processualism”: advancing knowledge about public management policy change" 19 (19): 531-557, 2006

      68 Schmidt, V. A.,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explanatory power of ideas and discourse" 11 : 303-326, 2008

      69 Hajer, M., "Deliberative policy analysis: understanding governance in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0 Douglas, J., "Creative Interviewing" Sage Publications 1985

      71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Sage 2006

      72 Eisenhardt, K. M.,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14 (14): 532-550, 1989

      73 Camerer, C. F., "Behavioural Game Theory" Palgrave Macmillan UK 2008

      74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8

      75 Glaser, B. G.,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Sociology Press 1992

      76 Glaser, B. G., "Awareness of Dying"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5

      77 Birkland, T.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 Routledge 2015

      78 Jones, C. O.,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 Brooks/Cole Publishing Co 1984

      79 Kingdon, J.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Little, Brown and Co 1984

      80 Cobb, R., "Agenda building as a comparative political process" 70 (70): 126-138, 1976

      81 Dahl, R. A., "A critique of the ruling elite model" 52 (52): 463-469, 195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3 1.8 1.759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