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버가정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Achievement to Learn using the GEII Cyber Learning System for Self-subject Ho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58761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Influence of Achievement to Learn using the GEII Cyber Learning System for Self-subject Home-work

      • 형태사항

        49 p.p. 26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차홍준
        참고문헌 : p.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Internet is used as not only a source of information but a medium of educational applicative capacity, and it is undertaken a main role as a new teaching-learning environmental factor. This means that learner-centered learning, as we call it, self-directed learning that learner oneself learns actively and autonomousl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pt of pre-existing teacher-centered teaching.
      So, in the educational spot today, a new teaching-learning technique that multimedia educational information is contacted with World Wide Web in the course of nature and the Cyber Home Learning that informations and sources from multi-dimentional data presentations are serviced were come true.
      In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hypothesis that school-home-community system can be connected organically and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can be improved through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angwon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GEII), I want to survey the influenc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the Cyber Home Learning and on the base of the survey, I want to reform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by studying the actual state on the middle students in a small and medium city.
      Therefore, for this study, at first I inquired into the documents followed to the components of th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s a tool in teaching-learning and studied e-Learning as a feature. It was noticed that human-material-technical demends for the cyber teaching-learn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system based on the components were in the middle of the students who wanted Cyber Home Learning and also in the center of home connection, school curriculum, and on-line. And I made a study the environments with the positive searches, so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can set up the directions of learning and the aims and can investigate the learning subjects, solve them, evaluate them under the guides of a teacher.
      For this study connected with in-the-spot experiments, I, the studier, made a middle school science-learning lesson for Cyber Home Learning and managed the lesson on 179 1st graders. I also made a study of the hypothesis for the theme of this study and it turned out that Cyber Home Learning caused to change the students positively in self-directed learning, step-by-step learning, learning powers and their confident learning attitudes about the lessons. And I got the analysis that the learning effects were produced positively by progressing self-learning through the suitable working strateges and the 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today in the sea of information from the multimedia, an educational learning theory that abilities for self-finding and choosing informations, self-learning are really demended more than much knowledge was analyzed into the product that the positive effects can be acquired by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Cyber Home Learning.
      번역하기

      Today Internet is used as not only a source of information but a medium of educational applicative capacity, and it is undertaken a main role as a new teaching-learning environmental factor. This means that learner-centered learning, as we call it, se...

      Today Internet is used as not only a source of information but a medium of educational applicative capacity, and it is undertaken a main role as a new teaching-learning environmental factor. This means that learner-centered learning, as we call it, self-directed learning that learner oneself learns actively and autonomousl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pt of pre-existing teacher-centered teaching.
      So, in the educational spot today, a new teaching-learning technique that multimedia educational information is contacted with World Wide Web in the course of nature and the Cyber Home Learning that informations and sources from multi-dimentional data presentations are serviced were come true.
      In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hypothesis that school-home-community system can be connected organically and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can be improved through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angwon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GEII), I want to survey the influenc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the Cyber Home Learning and on the base of the survey, I want to reform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by studying the actual state on the middle students in a small and medium city.
      Therefore, for this study, at first I inquired into the documents followed to the components of th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s a tool in teaching-learning and studied e-Learning as a feature. It was noticed that human-material-technical demends for the cyber teaching-learn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system based on the components were in the middle of the students who wanted Cyber Home Learning and also in the center of home connection, school curriculum, and on-line. And I made a study the environments with the positive searches, so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can set up the directions of learning and the aims and can investigate the learning subjects, solve them, evaluate them under the guides of a teacher.
      For this study connected with in-the-spot experiments, I, the studier, made a middle school science-learning lesson for Cyber Home Learning and managed the lesson on 179 1st graders. I also made a study of the hypothesis for the theme of this study and it turned out that Cyber Home Learning caused to change the students positively in self-directed learning, step-by-step learning, learning powers and their confident learning attitudes about the lessons. And I got the analysis that the learning effects were produced positively by progressing self-learning through the suitable working strateges and the 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today in the sea of information from the multimedia, an educational learning theory that abilities for self-finding and choosing informations, self-learning are really demended more than much knowledge was analyzed into the product that the positive effects can be acquired by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Cyber Home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인터넷은 정보의 원천으로서 뿐 아니라 교육적 활용 기능의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사가 중심인 교수의 개념보다 학습자 중심인 학습, 보다 자세히 말한다면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의 교육현장은 필연적으로 멀티미디어 화 된 교육정보가 인터넷, 월드와이드 웹으로 접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기술과 다차원데이터 표현에 의한 정보와 자료가 제공되는 사이버가정학습이 실현되어졌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강원교육정보원(GEII : Gangwon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에 구축된 교육정보시스템으로부터 학교-가정-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교수 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실태로 현장 실험으로 연구하여 교수-학습방안을 개선하려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수-학습의 도구로서 CMC 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성 요소에 따른 문헌조사와 e-Learning을 교수-학습의 특성으로 연구를 하여 사이버 교수-학습정보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인적, 물적, 기술적 요구와 요소로부터 구현된 시스템이 사이버가정학습을 하려는 학생중심, 가정연계 중심, 학교교육과정 중심, 온라인 중심이라는 특징을 교사의 지도하에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방향과 목표를 세우고 학습 과제에 따른 탐구와 이를 해결하고, 또 이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환경을 실증적 탐색으로 연구하였다.
      현장실험 교육으로, 이 연구자가 교수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중학교 과학학습과정을 개설하고, 1학년 5개 반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주제의 가설을 연구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이 수강 과목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수준별 학습, 학습력, 자신감 있는 학습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받았다.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와 운영 전략을 통해 자기 스스로 학습을 진행해 나가게 함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가 나타난다는 해석을 얻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매체에서 정보가 넘쳐나는 오늘날에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더 절실히 요구된다는 교육적 학습이론을 사이버가정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는 것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로 해석 받았다.
      번역하기

      오늘날 인터넷은 정보의 원천으로서 뿐 아니라 교육적 활용 기능의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사가 중심인 교...

      오늘날 인터넷은 정보의 원천으로서 뿐 아니라 교육적 활용 기능의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사가 중심인 교수의 개념보다 학습자 중심인 학습, 보다 자세히 말한다면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의 교육현장은 필연적으로 멀티미디어 화 된 교육정보가 인터넷, 월드와이드 웹으로 접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기술과 다차원데이터 표현에 의한 정보와 자료가 제공되는 사이버가정학습이 실현되어졌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강원교육정보원(GEII : Gangwon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에 구축된 교육정보시스템으로부터 학교-가정-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교수 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실태로 현장 실험으로 연구하여 교수-학습방안을 개선하려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수-학습의 도구로서 CMC 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성 요소에 따른 문헌조사와 e-Learning을 교수-학습의 특성으로 연구를 하여 사이버 교수-학습정보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인적, 물적, 기술적 요구와 요소로부터 구현된 시스템이 사이버가정학습을 하려는 학생중심, 가정연계 중심, 학교교육과정 중심, 온라인 중심이라는 특징을 교사의 지도하에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방향과 목표를 세우고 학습 과제에 따른 탐구와 이를 해결하고, 또 이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환경을 실증적 탐색으로 연구하였다.
      현장실험 교육으로, 이 연구자가 교수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중학교 과학학습과정을 개설하고, 1학년 5개 반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주제의 가설을 연구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이 수강 과목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수준별 학습, 학습력, 자신감 있는 학습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받았다.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와 운영 전략을 통해 자기 스스로 학습을 진행해 나가게 함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가 나타난다는 해석을 얻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매체에서 정보가 넘쳐나는 오늘날에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더 절실히 요구된다는 교육적 학습이론을 사이버가정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는 것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로 해석 받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 = 4
      • 1. e-Learning 교수-학습 = 4
      • 2.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과 특징 = 8
      • 3.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구조 = 11
      • Ⅰ. 서론 = 1
      • Ⅱ.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 = 4
      • 1. e-Learning 교수-학습 = 4
      • 2.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과 특징 = 8
      • 3.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구조 = 11
      • Ⅲ. 자기주도적 학습의 요구와 요소 = 21
      • 1. 자기주도적 학습의 요구 = 21
      • 2. 자기주도적 학습의 특징과 요소 = 23
      • 3. 자기주도적 학습의 전략 = 25
      • Ⅳ. 사이버가정학습의 모형과 실제 = 29
      • 1. 사이버가정학습의 모형 = 29
      • 2. 사이버가정학습의 실제 = 32
      • 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평가 = 44
      • 1.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44
      • 2. 자기주도적 학습의 평가 = 46
      • Ⅵ. 결론 =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