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조영집단의 성층화와 지배구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6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적석목곽묘는 전대의 목곽묘와 다르게 木蓋상부에 積石과 盛土墳丘를 갖춘 형태로 출현한다. 순수목곽묘, 위석목곽묘 등과 공존하며, 경주 중심부의 가장 보편적이면서 특수한 묘제로 정착...

      적석목곽묘는 전대의 목곽묘와 다르게 木蓋상부에 積石과 盛土墳丘를 갖춘 형태로 출현한다. 순수목곽묘, 위석목곽묘 등과 공존하며, 경주 중심부의 가장 보편적이면서 특수한 묘제로 정착한다. 그리고 단계별로 적석목곽묘의 내부구조와 부장유물은 成層化를 보인다. 단계는 고배의 형식변화를 통하여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경주 중심부에서 적석목곽묘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ⅡC등급에서 적석목곽묘를 축조하기 시작하였다. 平面形態, 壁石, 殉葬, 등은 전대의 목곽묘와 유사하지만 적석과 성토분구는 새롭게 더해진 요소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적석목곽묘는 전대의 목곽묘에서 분화된 새로운 묘제로 판단된다. 2단계는 적석목곽묘가 경주 중심부에서 주묘제로 형성되어 가는 시기이다. ⅡB등급, ⅢE등급, ⅣE등급에서 적석목곽묘를 축조하였다. 순장자는 ⅡB등급에서 확인된다. 다양한 평면형태가 확인되며, 적석목곽묘의 채용주체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3단계는 경주 중심부에 적석목곽묘가 정착하는 시기이다. 거의 모든 지배등급이 적석목곽묘를 축조한다. ⅠA등급은 多重木槨과 木棺, 石壇, 石築, 木造架構를 갖추었다. 순장자는 석단 상부에 안치하였다. 이외의 등급은 單槨이며, 일부 등급에서 순장자가 확인된다. 4단계는 적석목곽묘에 정형화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중ㆍ상위등급은 이중곽 1관 1석단, 하위등급은 단곽 1관 내지 단곽을 취하고 있다. 평면형태 ㅏ자형과 10ㆍ11자 형은 중ㆍ하위등급에서 관찰된다. 현재까지 네 개 단계에 걸쳐 모두 18개의 등급이 확인되었다. 왕을 정점으로 하는 지배구조가 완비되면서 이에 따라 葬禮􆩍法도 점차 완성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경주 주변부의 적석목곽묘는 시기를 달리하면서 출현하며, 채용주체의 성격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중심부의 상위등급에서 확인되는 내부구조와 부장유물은 보이지 않는다. 그 외 평면형태, 상면시설, 유물 부장양상 등은 單位政治體의 성격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주 주변부는 묘제의 선택에 있어서도 중심부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주변부는 중심부와 일정관계 속에서 분묘의 규모나 부장유물에 규제가 뒤따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nsists of a stone mound which covers the upper wooden cover - this differentiates it from the earlier wooden compartment tomb.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existed with the woo...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nsists of a stone mound which covers the upper wooden cover - this differentiates it from the earlier wooden compartment tomb.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existed with the wooden compartment tomb and the wooden compartment tomb with surrounding stones, and was established as the main mode of burial for the elite in central Gyeongju. The internal structure and grave goods illustrate gradual social differentiation; four main phases can be observed based on the typology of mounted cups. The first phase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central Gyeongju - they were constructed by the ⅡC grade group. This type of burial inherited elements of the previous wooden compartment tomb, such as floor plan, use of stone partition, and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However, the stone mound and earthen mound were new elements.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the new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emerged from the wooden compartment tomb in association with social stratification. During the second phase,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began to be used as the main type of burial in the center of Gyeongju. They were used by the ⅡB, ⅢE, and ⅣE grade group.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as performed only in tombs of the ⅡB grade group. Various floor plan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se burials were used by a wider group. The third phase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central Gyeongju. It was used by almost all elite groups. Burials of theⅠA grade group contained wooden coffins within multiple chambers, stone terraces, stone embankments, and wooden structures. It is assumed that the sacrificed individuals were laid out on the stone terrace. Burials of other grade groups had single chambers, and sacrificed individuals may have accompanied some of these grade groups. The standardization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ook place in the fourth phase. The burials of the upper and middle grade groups consist of 2 chambers - 1 coffin - 1 terrace (stone) structure, while those of the lower grade consist of 1 chamber - 1 coffin or 1 chamber. New types of chamber floor plans ('ㅏ' shaped, '10' shaped, and '11' shaped) appear to have been adopted by groups of the middle and lower grade. A total of 18 grades have been observed throughout the four stages. It is believed that with the completion of the governing structure, with the king at the apex, manners pertaining to funeral ceremonials were also completed. In the environs of Gyeongju,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ppeared at different times and was adopted by different groups. The internal structure and grave goods found in such tombs of the Gyeongju center are not found here. It is thought that the chamber floor plan, type of structure erected above ground, and grave goods are representative, to an extent, of the individual political units. The use of burials in the environs of Gyeongju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much by the Gyeongju center. However, the surrounding regions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the center and was restricted in terms of tomb size and grave goods 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머리말
      • II. 고배의 형식분류 및 단계설정
      • III. 적석목곽묘의 구조분석
      • 1. 묘곽의 평면형태
      • 요약
      • I. 머리말
      • II. 고배의 형식분류 및 단계설정
      • III. 적석목곽묘의 구조분석
      • 1. 묘곽의 평면형태
      • 2. 매장주체부의 곽 수
      • 3. 묘곽의 면적
      • 4. 상면시설
      • 5. 석단시설 및 순장형태
      • 6. 벽석과 적석 축조방법
      • 7. 유물 부장양상
      • IV. 적석목곽묘 조영집단의 성층화와 지배구조
      • V. 경주 주변부 적석목곽묘 조영집단의 성격
      • VI.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熙濬, "토기에의한新고분의分基와편년" 36 : 1997

      2 全虎兌, "울산조일리고분군Ⅰ-木槨墓" 蔚山大學校博物館 10 : 2001

      3 鍾宣, "오르도스後期 屬文化와韓國의鐵器文化" (2) : 1989

      4 崔秉鉉, "신라적석목곽분의기원재론" 12 : 1998

      5 崔秉鉉, "신라적석목곽분의기원" 1990

      6 박진욱, "신라무덤의편년에대하여" 4 : 1964

      7 김용성,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56 (56): 115-141, 2007

      8 이재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43): 33-57, 2007

      9 권용대,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66-87, 2009

      10 熙濬, "경주皇南大塚의연대" 17 : 1995

      1 熙濬, "토기에의한新고분의分基와편년" 36 : 1997

      2 全虎兌, "울산조일리고분군Ⅰ-木槨墓" 蔚山大學校博物館 10 : 2001

      3 鍾宣, "오르도스後期 屬文化와韓國의鐵器文化" (2) : 1989

      4 崔秉鉉, "신라적석목곽분의기원재론" 12 : 1998

      5 崔秉鉉, "신라적석목곽분의기원" 1990

      6 박진욱, "신라무덤의편년에대하여" 4 : 1964

      7 김용성,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56 (56): 115-141, 2007

      8 이재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43): 33-57, 2007

      9 권용대,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66-87, 2009

      10 熙濬, "경주皇南大塚의연대" 17 : 1995

      11 熙濬, "경주月城 가-13호積石木槨墓의연대와의의" 1986

      12 伊藤秋男, "韓國古新 時代古墳の硏究史とその現況" 1971

      13 村上英之助, "鐵鋌の本質とその編年序說" 24 (24): 1977

      14 藤井和夫, "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1 : 1932

      15 鄭澄元, "釜山堂甘洞古墳群" 釜山大學校博物館 1983

      16 申敬澈, "金海七山洞古墳群" 慶星大學校博物館 1 : 1989

      17 鄭澄元, "蔚州東遺蹟發掘調査槪報" 釜山大學校博物館 9 : 1985

      18 金亨坤, "蔚山茶雲洞遺蹟" 昌原大學校博物館 30 : 2004

      19 盛周, "蔚山中山里遺蹟發掘을 通하여 본 新 墓制의 起源" 1992

      20 김형곤, "蔚山中山里遺蹟Ⅱ" 昌原大學校博物館 40 : 2006

      21 김형곤, "蔚山中山里遺蹟" 昌原大學校博物館 40 : 2006

      22 伊藤秋男, "耳飾の型式學的硏究に基づく韓國古新 時代古墳の編年に關する-試案" 64 : 1972

      23 洪思俊, "皇吾里四ㆍ五號古墳皇南里破壞古墳發掘調査報告" 國立博物館 5 : 1964

      24 權大, "皇南洞109號墳에대한一考察-3ㆍ4槨을中心으로-" 1 : 2002

      25 崔秉鉉, "皇南大塚의 構造와 新積石木槨墳의 變遷ㆍ起源"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0

      26 恩碩, "皇南大塚에관한硏究" 東亞大學校 1998

      27 金正基, "皇南大塚墳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1985

      28 金正基,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1994

      29 鍾宣, "環頭刀劍과裝飾文樣" 1990

      30 尹炯元, "玉城里古墳群Ⅲ" 國立慶州博物館 2000

      31 尹炯元, "玉城里古墳群Ⅱ" 國立慶州博物館 2000

      32 尹炯元, "玉城里古墳群" 國立慶州博物館 2000

      33 윤용진, "浦項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 慶尙道文化財硏究院 24 : 2002

      34 윤용진, "浦項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 慶尙道文化財硏究院 24 : 2002

      35 윤용진, "浦項玉城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慶尙道文化財硏究院 25 : 2003

      36 朴普鉉, "樹枝形華飾冠形式分流追補" (32) : 1987

      37 朴普鉉, "樹枝形華飾冠形式分流試" (9) : 1986

      38 在賢, "東萊福泉洞古墳群Ⅲ" 釜山大學校博物館 19 : 1996

      39 賢珠, "東萊福泉洞古墳群-52ㆍ54號" 釜山廣域市立博物館福泉分館 11 : 2001

      40 賢珠, "東萊福泉洞93ㆍ95號墳" 釜山廣域市立博物館福泉分館 3 : 1997

      41 유네스코東아시아문화연구센터, "朝鮮古蹟硏究會遺稿" 2000

      42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 3 : 1916

      43 藤井和夫, "朝鮮古代の墓制" 國書刊會 1964

      44 早乙雅博, "朝鮮の古墳編年と日本" 63 (63): 1981

      45 金星, "新의高塚과地域集團" 춘추각 1998

      46 毛利光俊彦, "新積石木槨墳考" 文化財論叢 1983

      47 姜仁求, "新積石封土墳의構造와系統" 7 : 1981

      48 盛周, "新式木槨墓의展開와意義 in : 신라고고학의제문제" 韓國考古學會 1996

      49 早乙雅博, "新土器の編年について" 56 : 1979

      50 崔秉鉉, "新古墳硏究" 一志社 1992

      51 朴南守, "新上古金氏系의起源과登場" 6 : 1987

      52 早乙雅博, "新·伽倻の冠-小倉コレワションの硏究" 372 : 1985

      53 崔秉鉉, "新 古墳硏究" 崇實大學校 1990

      54 伊藤秋男, "新 古墳出土の裝身具と馬具" 122 : 1987

      55 김수남, "慶州隍城洞遺蹟Ⅳ"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71 : 2005

      56 김수남, "慶州隍城洞遺蹟Ⅲ"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71 : 2005

      57 김수남, "慶州隍城洞遺蹟Ⅱ"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71 : 2005

      58 김수남, "慶州隍城洞遺蹟-537-1ㆍ10, 537-4ㆍ535-8, 544-1ㆍ6番地發掘調査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32 : 2002

      59 金載元, "慶州路西里雙床塚, 馬塚, 一三八號墳" 國立博物館 2 : 1955

      60 金吉植, "慶州路東里四號墳" 國立中央博物館 1 : 2000

      61 박승규, "慶州舍里遺蹟Ⅰ" 南文化財硏究院 19 : 1999

      62 金元, "慶州皇吾里第一ㆍ三三號皇南里第一五一號古墳發掘調査報告" 文化公報部 2 : 1969

      63 齋藤忠, "慶州皇南里第109號墳ㆍ皇南里第14號墳發掘調査報告" 1 : 1937

      64 權大, "慶州皇南里" 慶尙考古學 (109) : 2002

      65 熙濬, "慶州皇南洞第109號墳의構造再檢討" 1 : 1987

      66 小泉顯夫, "慶州瑞鳳塚の發掘" 38 (38): 1926

      67 吳在鎭, "慶州德泉里古墳群" 中央文化財硏究院 73 : 2005

      68 宋義政, "慶州市月城古墳群" 國立慶州博物館 1990

      69 藤井和夫, "慶州古新 古墳編年試案-出土新 土器を中心として-" 梅原末治 6 : 1979

      70 穴澤和光, "慶州古新 古墳の編年" 18 (18): 1972

      71 홍진근, "慶州仁旺洞遺蹟-협성주유소부지" 國立慶州博物館 16 : 2003

      72 秦弘燮, "慶州仁旺洞第149號古墳發掘調査報告"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1 : 1975

      73 張正男, "慶州仁旺洞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9 : 2002

      74 嚴永植慶, "慶州仁旺洞二○" 慶熙大學校博物館 1 : 1974

      75 朴升圭, "慶州九於里古墳群" 南文化財硏究院 42 : 2002

      76 濱田耕作, "慶州 冠塚と其遺寶" 朝鮮總督府 1924

      77 原田淑人, "慶尙 道慶州郡內東面普門里古墳發掘調査" 1 : 1922

      78 권용대, "平面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2 (72): 53-82, 2008

      79 文化財硏究所, "安溪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1981

      80 朴普鉉, "威勢品으로 본 古新 社會의 構造" 경희대학교 1995

      81 金正基, "天馬塚"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74

      82 金載元, "壺塚과 鈴塚" 國立博物館 1 : 1948

      83 金廷鶴, "味鄒王地區第5區域古墳群發掘調査報告"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1 : 1975

      84 金廷鶴, "味鄒王 第七地區古墳群發掘調査報告"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2 : 1980

      85 尹世英, "味鄒王 地區第9區域(A號破壞古墳)發掘調査報告"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1 : 1975

      86 殷昌, "味鄒王 地區第4地域古墳群"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2 : 1980

      87 鍾宣, "古新王硏究" 學硏文化社 2000

      88 仁淑, "古新期裝身具에대한考察" 62 : 1972

      89 由水常雄, "古新古墳出土のロ一マングラスについて" 80 : 1976

      90 尹世英, "古新·伽倻古墳의 編年에 關한 硏究-古墳出土冠帽를 中心으로" 17 : 1974

      91 崔秉鉉, "古新 積石木槨墳硏究(上)" 31 : 1980

      92 崔秉鉉, "古新 積石木槨墳硏(下)" 32 : 1981

      93 姜仁求, "古墳文化" 學硏文化社 2000

      94 崔鍾圭, "中基古墳의性格에대한약간의考察" 7 :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