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맹자(孟子)의 인성(人性) 개념(槪念)에 대한 주자학적(朱子學的) 해석(解釋) = 朱子學中對孟子人性概念的解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4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송대의 신유학은 맹자의 성선설을 철학적 신념으로 견지했지만, 시대적 요청에 따라 형이상학 체계를 건립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성 개념만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구체...

      송대의 신유학은 맹자의 성선설을 철학적 신념으로 견지했지만, 시대적 요청에 따라 형이상학 체계를 건립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성 개념만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구체적인 개체성에 대해서도 설명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다. 그에 따라 장재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천지지성을 위시해서 본능적 욕구를 위주로 하는 공취지성, 그리고 개체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기질지성 등의 개념을 제기하였다. 정이와 주희는 이런 성 개념들이 현실적 정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나의 체계 안에 모두 수용했다. 그런 체계에서 보았을 때, 맹자 성선의 성은 “성의 근원”(정이)이요 “성의 본체”(주희)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천지지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천지지성은 기실 천지만물에 공통적인 존재기반으로, 사람만의 특성[人之所以爲人]을 주장한 맹자의 인성과는 사뭇 다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맹자가 선이라고 정의한 人性은 현실의 구체적인 인간의 성만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주의 이론체계에 따른다면 마땅히 인류에게 공통적인 類的 기질지성이어야 한다. 즉, 우리가 정주의 논리에 따르지만, 맹자의 입장에서 그의 인성을 긍정적으로 정의한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를 구성하는 기질은 매우 특별해서 아무리 악인일지라도 기본적으로 다른 어떤 존재보다도 훌륭하고, 그래서 비록 어렵기는 할지라도 누구나 수양공부를 통해서 천지지성-천리를 실현해낼 수는 있다. 따라서 맹자가 다른 존재와 구분 되는 특성으로 설명한 인성은 인간이라는 類的 특성으로서의 기질지성이다. 그 안에서 다시 각 개인의 개체성으로서 기질지성이 구분되어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양태의 성품들 - 성인과 현인, 평범한 사람과 惡漢 등등이 출현하게 될 뿐이다.
      맹자는 분명 ‘개별적 특수’ - 기질지성에 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것은 장재가 창안해낸 개념으로 철학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맹자는 분명 ‘보편적 일반’ 중에서 ‘至理’와 ‘條理’를 구분했다. 맹자가 중점을 둔 도덕과 가치는 여기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장재도 이를 따랐다. 다만 현실적인 여러 특수성을 보완하려 했을 뿐이다. 그러나 정주는 현실의 구체적인 존재가 갖는 특성을 이렇게 여러 가지로 분석하는 것에 반대해서 그것들 모두를 하나로 통합했다. 그것이 바로 장재의 개념을 차용했지만, 그와는 다르게 정의된 정주의 ‘기질지성’이다. 그것에는 비록 맹자나 장재가 말한 ‘지리’가 포함되지만, 그와는 엄격하게 구분되는 ‘조리’도 마치 그것과 하나인 것처럼, 混在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정주 인성론의 복잡한 문제가 야기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기질지성의 성은 ‘지리’만이 아니라 ‘조리’까지 포함하는, 그래서 그 자체가 駁雜한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宋代的新儒學堅持以孟子的性善說爲哲學性信念, 但因時代的需要而必須建立形而上學的體系, 在其過程中, 除了普遍及絶對的性槪念之外, 對現實的具體個體性, 也要說明。從此, 張載以普遍...

      宋代的新儒學堅持以孟子的性善說爲哲學性信念, 但因時代的需要而必須建立形而上學的體系, 在其過程中, 除了普遍及絶對的性槪念之外, 對現實的具體個體性, 也要說明。從此, 張載以普遍絶對的天地之性爲首, 提出以本能性欲求爲主的攻取之性和表現個體特性的氣質之性。程頤和朱熹要讓這些槪念具有現實的系統性, 把它們收容在一個體系裏面。從那種體系來看, 孟子所說的人性乃是“性的根源”或“性的本體”, 等於普遍絶對的天地之性。然而, 天地之性實際上是天地萬物共同的存在基礎, 這可說同孟子所謂人之所以爲人的人性有相當的差距。
      孟子規定爲善的人性因其僅指現實的具體人性, 而依程朱理論體系則應爲人類共同的類的氣質之性。換言之, 雖然依程朱的邏輯, 但從孟子的立場來肯定地定義他的人性, 那會是如何的。構成人類的氣質非常特別, 卽使是惡棍也比其他存在還不錯, 所以雖是難, 但不管是誰都能通過修養工夫來闡明天地之性-天理。因此, 孟子用來區分其他存在的人的特性-人性, 是作爲人這個類的特性之氣質之性。
      孟子確實沒涉及有關‘個別性特殊’-氣質之性的內容。這是張載獨創的槪念, 是哲學史上具有重要意義的。然而, 孟子明確區分‘普遍性一般’中的‘至理’和‘條理’。孟子强調的道德和價値就在這裏突出。張載也跟隨的, 只是要補充現實上的種種特殊性而已。然程朱則反對把現實的具體存在擁有的特性分析爲多種的, 從而把它們綜合爲一。那就是雖然借用張載的槪念, 但與彼相異地定義的程朱之‘氣質之性’。在那個性裏雖則包涵所謂‘至理’, 但與彼嚴格區分的‘條理’也混合在一起。從此發生程朱人性論的複雜問題。一言以蔽之, 氣質之性不單是‘至理’, ‘條理’也包括在內, 因而其自是駁雜的混合體。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