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at Paddy Field of Honam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90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에서 각각 12,730 ㎏/㏊, 12,320 ㎏/㏊ 그리고 12,300 ㎏/㏊ 으로 많았고 올보리에서 6,660 ㎏/㏊으로 적었다. 쌀보리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30.3%, 60.8% 그리고 65.1%였고 겉보리 품종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각각 33.6%, 61.1% 그리고 62.4%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사일리지용 보리의 품종중 종실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탑골보리로 6,370 ㎏/㏊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에 의한 사일리지용 총체보리의 우량 품종은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에서 각각 12,730 ㎏/㏊, 12,320 ㎏/㏊ 그리고 12,300 ㎏/㏊ 으로 많았고 올보리에서 6,660 ㎏/㏊으로 적었다. 쌀보리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30.3%, 60.8% 그리고 65.1%였고 겉보리 품종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각각 33.6%, 61.1% 그리고 62.4%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사일리지용 보리의 품종중 종실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탑골보리로 6,370 ㎏/㏊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에 의한 사일리지용 총체보리의 우량 품종은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barley at paddy field of Iksa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from 1998 to 2001. The most fast 50% heading stage date variety was Keunalbori, Tapkolbori and Sodunchalbori, but Kinssalbori was very late as 3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of naked and hulled barley were 37.9% and 37.1%, respectively.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of naked barley showed the highest in DM yield by 11,260 ㎏/㏊ and 11,160 ㎏/㏊ but the DM yield of Kinssalbori was low by 7,530 ㎏/㏊. And Milyang 92, Keunalbori and Tapkolbori of hulled barley showed the highest in DM yield by 12,730 ㎏/㏊, 12,320 ㎏/㏊ and 12,300 ㎏/㏊ but the DM yield of Olbori was low by 6,660 ㎏/㏊.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of naked varieties was 30.3%, 60.8% and 65.1%, and ADF, NDF and TDN content of hulled varieties was 33.6%, 61.1% and 62.4%, respectively. And Tapkolbori showed the highest grain yield by 6,370㎏/㏊.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ilyang 92, Keunalbori and Tapkolbori”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barley cultivar for at paddy field in Honam region.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barley at paddy field of Iksa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from 1998 to 2001. The most fast 50% heading stage date variety was Keunalbori, Tapkolbo...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barley at paddy field of Iksa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from 1998 to 2001. The most fast 50% heading stage date variety was Keunalbori, Tapkolbori and Sodunchalbori, but Kinssalbori was very late as 3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of naked and hulled barley were 37.9% and 37.1%, respectively.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of naked barley showed the highest in DM yield by 11,260 ㎏/㏊ and 11,160 ㎏/㏊ but the DM yield of Kinssalbori was low by 7,530 ㎏/㏊. And Milyang 92, Keunalbori and Tapkolbori of hulled barley showed the highest in DM yield by 12,730 ㎏/㏊, 12,320 ㎏/㏊ and 12,300 ㎏/㏊ but the DM yield of Olbori was low by 6,660 ㎏/㏊.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of naked varieties was 30.3%, 60.8% and 65.1%, and ADF, NDF and TDN content of hulled varieties was 33.6%, 61.1% and 62.4%, respectively. And Tapkolbori showed the highest grain yield by 6,370㎏/㏊.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ilyang 92, Keunalbori and Tapkolbori”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barley cultivar for at paddy field in Honam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Ⅴ.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맥류 과학영농 참고자료" 작물시험장 2001

      2 "친환경 답리작 조사료 생산기술 및 일관작업을 위한 기계화 모델 심포지움" 농림부, 경북대, 축산연, 농경연 1-86, 1999

      3 "조사료(표준영농교본-91). 제 7장. 논 뒷그루 사료작물 재배이용" 126-141, 1998

      4 "조사료 생산이용 교육 교재" 농림부, 농협중앙회 1-113, 2001

      5 "보리의 기능성"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5

      6 "답리작 조사료 최대 생산이용" 축산기술연구소,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1-109, 1999

      7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이용기술" 축산기술연구소, 순천시 1-99, 2000

      8 "답리작 맥류를 도입한 사료 자급율 제고방안" 7 (7): 2-9, 2000

      9 "낙농경영에 있어서 조사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2000

      10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2 (2): 95-102, 2000

      1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맥류 과학영농 참고자료" 작물시험장 2001

      2 "친환경 답리작 조사료 생산기술 및 일관작업을 위한 기계화 모델 심포지움" 농림부, 경북대, 축산연, 농경연 1-86, 1999

      3 "조사료(표준영농교본-91). 제 7장. 논 뒷그루 사료작물 재배이용" 126-141, 1998

      4 "조사료 생산이용 교육 교재" 농림부, 농협중앙회 1-113, 2001

      5 "보리의 기능성"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5

      6 "답리작 조사료 최대 생산이용" 축산기술연구소,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1-109, 1999

      7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이용기술" 축산기술연구소, 순천시 1-99, 2000

      8 "답리작 맥류를 도입한 사료 자급율 제고방안" 7 (7): 2-9, 2000

      9 "낙농경영에 있어서 조사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2000

      10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2 (2): 95-102, 2000

      11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 Cary, NC 1999

      12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ersity of Florid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1970

      13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Arlington, Virginia. 1995

      14 "A two-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119-128,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