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의 상담실태와 상담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and Needs for Counseling Activity in High School. : Focused on General High School in I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71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y,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s and needs for counseling in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activate school counseling. In this study, it was specifically attempted to find out (1)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y in general high schools in Incheon, (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s about school counseling, (3) students' and teachers' needs and the activation program for school counse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39 students and 204 teachers selected from 7 different general high schools in Inche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34 questions for students and 39 questions for teachers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χ2 test was implemented.
      The conclusion to appear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ough most of students have trouble with school record, college entrance exam and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they don't counsel the problem because they think that teacher don't give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and appropriate advice. Teachers have to conduct more expert and intensive counseling than presenting comprehensive and standardized model solution about study and job. So teachers need to have expert knowledge and concern about students.
      Second, we must activate function of school counseling room by creating an comfortable and convenient atmosphere. Also, teachers should be able to counsel outdoors or the place that is not fixed counseling room but on the lines of students' request.
      Third, most of students chose their parents or friends as a counselor, thus teachers have to make the best us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their friends and give assistance of self-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by connecting with their parents. To rapid changing times and diverse needs, we must introduce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including cyber counseling, group counseling.
      Forth, concept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bout school counseling need to convert negative into positive by publicity activities. It has to be emphasized that school counseling needs to approach most of the students as well as problem students. Therefore we must inform importance of counseling using various means, so we should lead to internalize them.
      Fifth, counseling activities should not limit jus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operate by the whole teacher. Therefore it has to give a chance of counseling training to the whole teacher who wants to acquire the knowledge of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
      Sixth, administrators of school need to have concern in students' problems, receive reports of the counseling activities and give proper support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support executively, financially and actually for activation of school counseling. To be guaranteed time for counseling, they should give substantial and actual supports including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lesson, simplification of business routine and payment for counseling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y,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s and needs for counseling in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activate school counseling. In this study, it was specific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y,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s and needs for counseling in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activate school counseling. In this study, it was specifically attempted to find out (1)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y in general high schools in Incheon, (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s about school counseling, (3) students' and teachers' needs and the activation program for school counse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39 students and 204 teachers selected from 7 different general high schools in Inche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34 questions for students and 39 questions for teachers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χ2 test was implemented.
      The conclusion to appear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ough most of students have trouble with school record, college entrance exam and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they don't counsel the problem because they think that teacher don't give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and appropriate advice. Teachers have to conduct more expert and intensive counseling than presenting comprehensive and standardized model solution about study and job. So teachers need to have expert knowledge and concern about students.
      Second, we must activate function of school counseling room by creating an comfortable and convenient atmosphere. Also, teachers should be able to counsel outdoors or the place that is not fixed counseling room but on the lines of students' request.
      Third, most of students chose their parents or friends as a counselor, thus teachers have to make the best us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their friends and give assistance of self-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by connecting with their parents. To rapid changing times and diverse needs, we must introduce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including cyber counseling, group counseling.
      Forth, concept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bout school counseling need to convert negative into positive by publicity activities. It has to be emphasized that school counseling needs to approach most of the students as well as problem students. Therefore we must inform importance of counseling using various means, so we should lead to internalize them.
      Fifth, counseling activities should not limit jus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operate by the whole teacher. Therefore it has to give a chance of counseling training to the whole teacher who wants to acquire the knowledge of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
      Sixth, administrators of school need to have concern in students' problems, receive reports of the counseling activities and give proper support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support executively, financially and actually for activation of school counseling. To be guaranteed time for counseling, they should give substantial and actual supports including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lesson, simplification of business routine and payment for counseling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와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하여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 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인천광역시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7개 일반계 고등학교(남학교 2개교, 여학교 2개교, 남녀공학 3개교)의 남․여 학생 539명과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용 34문항, 교사용 39문항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부분 성적․학업문제와 진학․진로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상담 하고 싶어 하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주지 못하고, 조언 및 충고 내용이 부적절해서 상담을 꺼리게 된다고 하였다. 교사는 포괄적이며 정형화된 모범답안을 제시하는 것보다, 공부와 진로에 관련된 보다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상담을 해야 할 것이다. 이에 교사는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상담실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아늑하고 편안하여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곳이 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교상담실의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상담실이라는 정해진 장소가 아니더라도, 야외나 내담자가 원하는 곳에서 상담을 하여, 상담의 본질적 기능에 충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상담자로 친구나 부모를 원하고 있으므로, 비슷한 고민을 가진 또래집단을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하며, 부모와 연계하여 상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자아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상황과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상담의 형태를 면대면 상담, 사이버 상담, 집단 상담 등 다양한 상담기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 학생, 부모의 학교상담과 상담실에 대한 홍보 및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문제가 있는 소수의 학생들만을 지도하는 곳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곳이라는 점과 상담의 중요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널리 홍보하여, 모든 학생과 부모, 교사들에게 상담활동의 중요성을 깊이 내면화 시켜야 한다.
      다섯째, 전문 상담 교사 뿐 아니라 모든 교사가 중심이 되어 상담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원하는 교사는 누구든지 전문적 자질과 상담 관련 지식 및 기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하여 상담 연수의 기회를 열어 주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의 관리자(학교장, 교감)는 학생들의 고민과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상담활동을 교사로부터 보고를 받아, 학교 상담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육행정당국은 학교상담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학교상담활동을 크게 저해하고 있는 상담시간의 부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상담교사에 대한 수업시수 및 업무의 배려, 상담활동비의 지급 등 내실 있고 현실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와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하여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와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하여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 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인천광역시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7개 일반계 고등학교(남학교 2개교, 여학교 2개교, 남녀공학 3개교)의 남․여 학생 539명과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용 34문항, 교사용 39문항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부분 성적․학업문제와 진학․진로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상담 하고 싶어 하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주지 못하고, 조언 및 충고 내용이 부적절해서 상담을 꺼리게 된다고 하였다. 교사는 포괄적이며 정형화된 모범답안을 제시하는 것보다, 공부와 진로에 관련된 보다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상담을 해야 할 것이다. 이에 교사는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상담실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아늑하고 편안하여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곳이 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교상담실의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상담실이라는 정해진 장소가 아니더라도, 야외나 내담자가 원하는 곳에서 상담을 하여, 상담의 본질적 기능에 충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상담자로 친구나 부모를 원하고 있으므로, 비슷한 고민을 가진 또래집단을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하며, 부모와 연계하여 상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자아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상황과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상담의 형태를 면대면 상담, 사이버 상담, 집단 상담 등 다양한 상담기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 학생, 부모의 학교상담과 상담실에 대한 홍보 및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문제가 있는 소수의 학생들만을 지도하는 곳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곳이라는 점과 상담의 중요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널리 홍보하여, 모든 학생과 부모, 교사들에게 상담활동의 중요성을 깊이 내면화 시켜야 한다.
      다섯째, 전문 상담 교사 뿐 아니라 모든 교사가 중심이 되어 상담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원하는 교사는 누구든지 전문적 자질과 상담 관련 지식 및 기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하여 상담 연수의 기회를 열어 주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의 관리자(학교장, 교감)는 학생들의 고민과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상담활동을 교사로부터 보고를 받아, 학교 상담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육행정당국은 학교상담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학교상담활동을 크게 저해하고 있는 상담시간의 부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상담교사에 대한 수업시수 및 업무의 배려, 상담활동비의 지급 등 내실 있고 현실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5
      • 1. 학교상담의 특징 5
      • A. 상담의 개념 5
      • B. 학교상담의 개념 6
      • C. 학교상담의 필요성 8
      • D. 학교상담의 형태 12
      • E. 학교상담의 목표 13
      • F. 학교상담의 특성 15
      • 2. 학교상담교사의 역할 및 자질 17
      • A. 학교상담교사의 역할 17
      • B. 학교상담교사의 자질 20
      • 3. 학교상담실의 특징 23
      • A. 학교상담실의 정의 23
      • B. 학교상담실의 기능과 중요성 23
      • 4. 선행연구의 고찰 25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 1. 연구대상 27
      • 2. 연구도구 30
      • 3. 연구절차 31
      • 4. 자료처리 31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2
      • 1. 고등학교에서의 상담 활동 실태 분석 32
      • A. 학생이 인식한 상담 활동 실태 32
      • B. 교사가 인식한 상담 활동 실태 49
      • 2. 고등학교에서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 76
      • A. 학생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76
      • B.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83
      • 3. 고등학교에서의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 및 활성화 방안 95
      • A. 학생의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 및 활성화 방안 95
      • B.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 및 활성화 방안 110
      • Ⅴ. 요약 및 결론 118
      • 참고문헌 126
      • 부 록 130
      • Abstract 1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