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여찬영, "지석영《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한국어문학회 79 : 193-212, 2003
3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회 36 : 5-35, 2006
4 손희하, "새김어휘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5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359-400, 1993
6 허재영,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회 (48) : 431-460, 2012
7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회 19 : 395-425, 1989
8 이돈주, "갈운 문선규 박사 화갑 기념 논문집" 갈운문선규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33-158, 1985
9 박병철, "韓國語 訓釋 語彙 硏究" 이회 275-302, 1996
10 황응두, "通學徑編"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여찬영, "지석영《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한국어문학회 79 : 193-212, 2003
3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회 36 : 5-35, 2006
4 손희하, "새김어휘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5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359-400, 1993
6 허재영,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회 (48) : 431-460, 2012
7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회 19 : 395-425, 1989
8 이돈주, "갈운 문선규 박사 화갑 기념 논문집" 갈운문선규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33-158, 1985
9 박병철, "韓國語 訓釋 語彙 硏究" 이회 275-302, 1996
10 황응두, "通學徑編"
11 최세진, "訓蒙字會"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2
12 정재영, "茶山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11-242, 2002
13 류희춘, "新增類合"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2
14 정윤용, "字類註釋"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5
15 이기문, "國語 語彙史 硏究" 동아출판사 255-288, 1991
16 남광우, "古語辭典" 태학사 2008
17 정약용, "兒學編 강경훈본, 한중연본, 규장각본, 지석영본"
18 이준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의 특징에 대하여" 반교어문학회 (36) : 29-6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