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학편의 사전 미등재 새김 어휘 분석 -<강경훈본>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the Unregistered in Dictionaries in Ahakpyeon -Focusing on <Ganggyeonghunb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8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is both very utility about more add history in Korean vocabulary in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and studying. a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o study book and classification word book is offer a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dictionary compilation. Ahakpyeon written by DaSan Jeong yagyong is typical literature become a reality utility value of Chinese characters to study. but Ahakpyeon has numbers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no contain as entries in a dictionary of an ancient language. Compared with another Different Versoins Ganggyeonghunbon has many ancient word and dialect word. I know through this study tha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day dictionary and a dictionary of an ancient language. This study assist to history in Korean vocabulary and supply dictionary as information useful.
      번역하기

      A study on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is both very utility about more add history in Korean vocabulary in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and studying. a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o study book and classification word book is ...

      A study on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is both very utility about more add history in Korean vocabulary in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and studying. a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o study book and classification word book is offer a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dictionary compilation. Ahakpyeon written by DaSan Jeong yagyong is typical literature become a reality utility value of Chinese characters to study. but Ahakpyeon has numbers the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no contain as entries in a dictionary of an ancient language. Compared with another Different Versoins Ganggyeonghunbon has many ancient word and dialect word. I know through this study tha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day dictionary and a dictionary of an ancient language. This study assist to history in Korean vocabulary and supply dictionary as information use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새김 어휘에 대한 연구는 우리 어휘사 정보를 더하고 언어 교육과 학습을 하는 데 실용적인 역할을 한다. 다수의 어휘를 한눈에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한자학습서와 분류어휘집에 대한 연구는 사전을 편찬하는 데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산 정약용의 󰡔아학편󰡕은 한자 학습의 효용적 가치를 실현한 대표적인 문헌이다. 그러나 󰡔아학편󰡕에 수록된 새김 어휘 중에도 󰡔고어사전󰡕에서 의미정보를 찾을 수 없는 것이 다수 있다.
      본고는 󰡔아학편󰡕에 수록된 새김 어휘 중 사전에 미등재된 새김 어휘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의미와 형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학편󰡕 이본 중 <강경훈본>에는 <한중연본>, <규장각본>, <지석영본>에 비해 옛말 형태 새김 어휘와 방언형 새김 어휘가 다수 수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어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고어정보의 차이를 찾고 사전 표제어와 뜻풀이, 용례 정보 등 사전 정보의 보완과 수정에 대한 인식도 할 수 있었다. 지속적인 새김 연구에서 얻은 어휘 정보의 축적이 국어 어휘사와 사전의 의미 정보를 깁고 더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새김 어휘에 대한 연구는 우리 어휘사 정보를 더하고 언어 교육과 학습을 하는 데 실용적인 역할을 한다. 다수의 어휘를 한눈에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한자학습서와 분류어휘집에 대한 ...

      새김 어휘에 대한 연구는 우리 어휘사 정보를 더하고 언어 교육과 학습을 하는 데 실용적인 역할을 한다. 다수의 어휘를 한눈에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한자학습서와 분류어휘집에 대한 연구는 사전을 편찬하는 데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산 정약용의 󰡔아학편󰡕은 한자 학습의 효용적 가치를 실현한 대표적인 문헌이다. 그러나 󰡔아학편󰡕에 수록된 새김 어휘 중에도 󰡔고어사전󰡕에서 의미정보를 찾을 수 없는 것이 다수 있다.
      본고는 󰡔아학편󰡕에 수록된 새김 어휘 중 사전에 미등재된 새김 어휘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의미와 형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학편󰡕 이본 중 <강경훈본>에는 <한중연본>, <규장각본>, <지석영본>에 비해 옛말 형태 새김 어휘와 방언형 새김 어휘가 다수 수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어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고어정보의 차이를 찾고 사전 표제어와 뜻풀이, 용례 정보 등 사전 정보의 보완과 수정에 대한 인식도 할 수 있었다. 지속적인 새김 연구에서 얻은 어휘 정보의 축적이 국어 어휘사와 사전의 의미 정보를 깁고 더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여찬영, "지석영《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한국어문학회 79 : 193-212, 2003

      3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회 36 : 5-35, 2006

      4 손희하, "새김어휘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5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359-400, 1993

      6 허재영,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회 (48) : 431-460, 2012

      7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회 19 : 395-425, 1989

      8 이돈주, "갈운 문선규 박사 화갑 기념 논문집" 갈운문선규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33-158, 1985

      9 박병철, "韓國語 訓釋 語彙 硏究" 이회 275-302, 1996

      10 황응두, "通學徑編"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여찬영, "지석영《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한국어문학회 79 : 193-212, 2003

      3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회 36 : 5-35, 2006

      4 손희하, "새김어휘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5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359-400, 1993

      6 허재영,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회 (48) : 431-460, 2012

      7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회 19 : 395-425, 1989

      8 이돈주, "갈운 문선규 박사 화갑 기념 논문집" 갈운문선규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33-158, 1985

      9 박병철, "韓國語 訓釋 語彙 硏究" 이회 275-302, 1996

      10 황응두, "通學徑編"

      11 최세진, "訓蒙字會"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2

      12 정재영, "茶山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11-242, 2002

      13 류희춘, "新增類合"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2

      14 정윤용, "字類註釋"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5

      15 이기문, "國語 語彙史 硏究" 동아출판사 255-288, 1991

      16 남광우, "古語辭典" 태학사 2008

      17 정약용, "兒學編 강경훈본, 한중연본, 규장각본, 지석영본"

      18 이준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의 특징에 대하여" 반교어문학회 (36) : 29-6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