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음주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성인기에 알코올 관련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들은 청소년의 음주를 단편적으로 접근하여왔다. 본 연구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45522
2016
-
331
KCI등재
학술저널
90-130(41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초 음주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성인기에 알코올 관련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들은 청소년의 음주를 단편적으로 접근하여왔다. 본 연구는...
최초 음주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성인기에 알코올 관련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들은 청소년의 음주를 단편적으로 접근하여왔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음주시작에 초점을 맞춰 그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연결망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여 음주친구가 청소년의 음주시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음주친구의 효과가 유유상종으로 인한 동류선호의 결과인지, 친구연결망을 통한 확산의 결과인지 그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Korea Youth Panel Survey)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5개년도 자료(2003-2007년)를 이용하여 카플런-마이어 생존분석과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카플런-마이어 생존분석 결과 음주친구는 청소년의 음주시작 생존자 함수를 급격히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산시간 사건사 분석 결과, 이러한 음주친구의 영향력은 다른 비행이론에서 제시되는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매우 강건하게 나타났다. 한편, 음주친구의 효과와 분석기간(연령)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석 후기로 진행될수록 음주친구의 효과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친구연결망 내 음주친구의 존재가 음주를 학습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음주시작이 연결망 내에서 확산될 가능성이 존재함을 함의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rly age of drinking onse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cohol problem in adulthood. Therefore the alcohol drinking onset during adolescence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and developed further academ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he early age of drinking onse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cohol problem in adulthood. Therefore the alcohol drinking onset during adolescence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and developed further academ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iends who drink to alcohol drinking onset in South Korean adolescences and examine the context of effects within friends network(homophily or diffusion). A 5-year (2003-2007) panel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nd I carried out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on age of alcohol drinking onset and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to find out a possibility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who drink and alcohol drinking ons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vivor function of alcohol drinking onset differs grea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friends who drink. And based on the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the effect of friends who drink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onset.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uration (age) and friends who drink are detected. These findings imply that friends who drink within friends effect on learning of drinking and evidence of diffusion within friends network
참고문헌 (Reference)
1 Christakis N. A., "행복은 전염된다" 김영사 2010
2 김준호, "한국의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3 신명식, "한국성인의 문제음주행태 관련요인분석" 3 (3): 111-130, 2002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 Ⅵ 조사개요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5 정지원, "친밀한 친구집단의 크기와 청소년 비행" 한국사회학회 46 (46): 177-209, 2012
6 박정선, "청소년의 긴장감, 사회유대감, 비행친구와의 차별적 접촉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7-94, 2013
7 정슬기, "청소년음주: 술에 대한 관대함이 청소년 음주 부추긴다" 9-11, 2006
8 황성현,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사회학습, 사회유대, 일반긴장이론적 접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27-145, 2013
9 이성식, "청소년비행에서 개인성향요인과 사회학습요인들의 조건적 효과 : 두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347-368, 2011
10 이은주, "청소년기의 비행친구 선택과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지속효과와 최신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243-267, 2008
1 Christakis N. A., "행복은 전염된다" 김영사 2010
2 김준호, "한국의 청소년 비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3 신명식, "한국성인의 문제음주행태 관련요인분석" 3 (3): 111-130, 2002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 Ⅵ 조사개요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5 정지원, "친밀한 친구집단의 크기와 청소년 비행" 한국사회학회 46 (46): 177-209, 2012
6 박정선, "청소년의 긴장감, 사회유대감, 비행친구와의 차별적 접촉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7-94, 2013
7 정슬기, "청소년음주: 술에 대한 관대함이 청소년 음주 부추긴다" 9-11, 2006
8 황성현,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사회학습, 사회유대, 일반긴장이론적 접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27-145, 2013
9 이성식, "청소년비행에서 개인성향요인과 사회학습요인들의 조건적 효과 : 두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347-368, 2011
10 이은주, "청소년기의 비행친구 선택과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지속효과와 최신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243-267, 2008
11 황성현, "청소년 흡연·음주행위의 원인에 대한 비행이론적 접근: 일반긴장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19-38, 2012
12 황성현,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비행이론 비교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68, 2010
13 최재용, "청소년 지위비행 원인의 성별비교: 일반범죄이론들을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8 (8): 35-66, 2014
14 조혜정,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1990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91-221, 2014
15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16 문병욱, "일반긴장이론을 통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비행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33-60, 2008
17 정슬기, "음주시작연령 및 문제음주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에 미치는 영향: 2009년 청소년온라인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12 (12): 15-27, 2011
18 유순화,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통합에 의한 청소년 비행 예측"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89-316, 2003
19 김용학,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3
20 한준,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원리와 실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20-268, 2005
21 장승옥, "빠른 음주시작이 알코올사용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가?"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99-218, 2010
22 박현수, "비행청소년집단의 특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 비행친구와의 친밀성과 비행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327-356, 2008
23 노언경,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81-101, 2010
24 황성현, "부모와 친구요인이 청소년 음주․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81-104, 2010
25 Akers R. L., "범죄학이론" 나남 2011
26 황성현, "낮은 자아통제감, 친구집단요인, 부모요인이 청소년 약물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3 (13): 129-154, 2006
27 이성식, "낮은 자기 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비행에의 영향 :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59-181, 2007
28 우해봉,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한국인구학회 32 (32): 25-50, 2009
29 김광기, "고등학생의 음주행동과 관련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14 : 291-317, 2003
30 Gould M. S., "Time-space clustering of teenage suicide" 131 (131): 71-78, 1990
31 Christakis N. A., "The spread of obesity in a large social network over 32 years" 357 (357): 370-379, 2007
32 Christakis N. A., "The collective dynamics of smoking in a large social network" 358 (358): 2249-2258, 2008
33 Youm Y., "Social network properties and self-rated health in later life:comparisons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and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14 (14): 102-, 2014
34 Youm Y., "Social network effects on the transmiss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9 (29): 689-697, 2002
35 Akers R. L.,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Transaction Publisher 2011
36 Kaplan H. B., "Pathways to adolescent drug use:Self-derogation, peer influence, weakening of social controls, and early substance use" 25 (25): 270-289, 1984
37 Warner L. A., "Longitudinal effects of age at onset and first drinking situations on problem drinking" 38 (38): 1983-2016, 2003
38 Howes M. J., "Induction of depressive affect after prolonged exposure to a mildly depressed individual" 49 (49): 1110-, 1985
39 Lazarsfeld P. F., "Freedom and control in modern society" Octagon Books 18-66, 1954
40 Agnew R.,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30 (30): 47-88, 1992
41 Box-Steffensmeier J. M., "Event history modeling: A guide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2 LaBrie J. W., "Early alcohol initiation increases risk related to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17 (17): 125-141, 2008
43 Fowler, J. H., "Dynamic spread of happiness in a large social network: longitudinal analysis over 20 year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337 : a2338-, 2008
44 Sutherland E. H., "Criminology" Lippincott 1978
45 Sampson R. J.,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46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47 Cacioppo J. T., "Alone in the crowd: The Structure and Spread of Loneliness in a Large Social Network" 97 (97): 977-991, 2009
48 Welte J. W., "Alcohol: The gateway to other drug use among secondary-school students" 14 (14): 487-498, 1985
49 Swahn M. H., "Alcohol-consumption behaviors and risk for physical fighting and injuries among adolescent drinkers" 29 (29): 959-963, 2004
50 Grant B. F., "Age at onset of alcohol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SM-IV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resul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Alcohol Epidemiologic Survey" 9 : 103-110, 1997
51 Grant B. F., "Age at onset of alcohol use and DSM-IV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a 12-year follow-up" 13 (13): 493-504, 2001
52 DeWit D. J., "Age at first alcohol use: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alcohol disorders" 157 (157): 745-750, 2000
53 Barnes G. M., "Adolescent alcohol abuse and other problem behaviors: Their relationships and common parental influences" 13 (13): 329-348, 1984
54 Gottfredson M. R.,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해고자와 복직자의 건강 비교: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례를중심으로
사회자본과 지역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자치구별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부모의 출신국이 출산결과에 미치는 효과, 2010~2012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1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5 | 1.45 | 1.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3 | 2.13 | 2.50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