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문화와 철학을 반영하며 국가가 추구하는 미래인재를 목표로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에는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새로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7786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375.1 판사항(6)
서울
The effects of play-centered curriculum on early children's play flow experiences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x, 113 p. : 도표 ; 26 cm
참고문헌: p. 77-84
I804:11031-20000034152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문화와 철학을 반영하며 국가가 추구하는 미래인재를 목표로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에는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새로운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문화와 철학을 반영하며 국가가 추구하는 미래인재를 목표로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에는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새로운 인재를 요구하며,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는 교육이 아닌 학습자인 유아가 주체가 되어 놀이를 통해 자율성과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따라 2017년 12월 ‘유아중심·놀이중심의 교육과정 혁신’을 발표하면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개정 누리과정을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공표하면서 유아의 흥미와 교사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유아중심·놀이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에 기대하는 반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성취에 대한 우려도 있다. 현대의 교육적 관심과 환경이 조기 교육을 부추기며 놀이보다 학습에 중점들 둔 양육 방식을 택하고 있는 부모들에겐 놀이만으로 교육적인 학습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 초등학교 준비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있기 때문이다. 놀이몰입과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학습의 중요한 요인으로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과 학업의 성취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술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과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학습능력과 초등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문제해결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에 대한 집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자의식 상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4.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시간이 변형된 느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숙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자기주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3.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4.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순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두 곳의 국공립어린이집의 재원생인 만 4세 유아 총 3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인 두 학급 중에서 한 학급 17명은 2020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한 학급은 기존 교육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5)을 적용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2019년 12월 16일부터 2020년 2월 7일까지 총 8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나은숙(2013a)이 개발한 놀이몰입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McClelland(2002)의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LRSS) 도구를 기초로 한국적 상황에 맞추어 제작한 곽아정(2006)의 한국판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측정 도구(K-LRSS)를 사용하였다. 이 두 도구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적용하여 실험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SPSS 20.0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검증을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놀이몰입 검사에 대한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놀이몰입의 하위요소인 문제해결과정과 놀이에 대한 집중, 시간이 변형된 느낌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자의식 상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검사에 대한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소인 숙달, 자기주장, 순응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자기조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과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가 성숙한 자아를 갖추게 하여 더 높은 수준으로 향해 나가도록 하는 놀이몰입과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및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으로 교육 현장에서는 유아가 중심이 되고 놀이가 중심이 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