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三國史記』의 도성 관련 용어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5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제기된 ‘도성’ 지칭 용어 교체에 대한 비판이다. 도성은 왕조국가의 중심지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단, 글자에 포함된 ‘城’ 때문에, 방어시설을 상상하게 함...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제기된 ‘도성’ 지칭 용어 교체에 대한 비판이다. 도성은 왕조국가의 중심지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단, 글자에 포함된 ‘城’ 때문에, 방어시설을 상상하게 함으로써, 성을 세우지 않았던 유목사회 중심지 혹은 성을 세우기 이전의 중심지 등을 가리키는 용어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 따라서 한국 고대 중심지의 경우, 『삼국사기』에 나오는 王都・王京 등의 용어로 교체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이 글은 『삼국사기』에서 사용된 왕도・왕경 등 도성 관련 용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각의 용어가 갖는 의미와 그 차이를 도출함으로써, 이를 반박한다. 각 용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도성의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 도성의 물리적 공간 중 일부 등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통해, 추상 공간으로서 도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criticizing the recently raised term replacement for “royal city(Doseong 都城)”. It has been us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center of the dynasty.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refer to t...

      This article aims at criticizing the recently raised term replacement for “royal city(Doseong 都城)”. It has been us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center of the dynasty.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refer to the center of a nomadic society in which no wall was built or to the center before the wall was built, because the letter “Seong 城” included in the term makes it possible to imagine a defense facility.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posal to replace the center of ancient Korea with terms such as Wangdo 王都・Wanggyeong 王京 in Samguk sagi 三國史記. This article refutes the proposal by deriving the meaning of each term and its difference through analysis of terms related to the royal city, such as Wangdo・Wanggyeong in Samguk sagi. Through the fact that one term refers to on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royal city and the other refers to a part of the physical space of the royal city, this article clarifies that the two terms are not appropriate as terms referring to the royal city as an abstract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京城’·‘都城’·‘王城’·‘王京’의 용례 : 지칭 대상의 구체성
      • 3. ‘京都’와 ‘王都’의 비교 : 전거의 차이
      • 4. 7세기 이후 ‘京師’·‘京都’·‘王都’의 함의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京城’·‘都城’·‘王城’·‘王京’의 용례 : 지칭 대상의 구체성
      • 3. ‘京都’와 ‘王都’의 비교 : 전거의 차이
      • 4. 7세기 이후 ‘京師’·‘京都’·‘王都’의 함의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경량,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와 도성(都城)의 개념 -고구려의 용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4) : 159-188, 2017

      2 박지현, "백강구(白江口) 전투 이후 부여융(扶餘隆)의 행적과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의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05) : 247-282, 2017

      3 권순홍, "동아시아 複都制와 多京制의 구분" 중국고중세사학회 (54) : 111-148, 2019

      4 권순홍,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都’ㆍ‘郭’ㆍ‘京’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2) : 35-63, 2017

      5 임기환, "고구려 國內都城의 형성과 공간 구성 - 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59) : 7-44, 2015

      6 妹尾達彦, "魏晉南北朝隋唐時代史の基本問題" 汲古書院 1997

      7 礪波護, "隋唐都城財政史論考" 法藏館 2016

      8 李基白, "金大問과 金長淸" 일조각 1 : 1987

      9 "資治通鑑"

      10 "舊唐書"

      1 기경량,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와 도성(都城)의 개념 -고구려의 용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4) : 159-188, 2017

      2 박지현, "백강구(白江口) 전투 이후 부여융(扶餘隆)의 행적과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의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05) : 247-282, 2017

      3 권순홍, "동아시아 複都制와 多京制의 구분" 중국고중세사학회 (54) : 111-148, 2019

      4 권순홍,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都’ㆍ‘郭’ㆍ‘京’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2) : 35-63, 2017

      5 임기환, "고구려 國內都城의 형성과 공간 구성 - 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59) : 7-44, 2015

      6 妹尾達彦, "魏晉南北朝隋唐時代史の基本問題" 汲古書院 1997

      7 礪波護, "隋唐都城財政史論考" 法藏館 2016

      8 李基白, "金大問과 金長淸" 일조각 1 : 1987

      9 "資治通鑑"

      10 "舊唐書"

      11 김영관, "百濟 滅亡後 扶餘隆의 行蹟과 活動에 대한 再考察" 백제학회 (7) : 79-110, 2012

      12 "春秋公羊傳"

      13 金鎬詳, "新羅王京硏究(Ⅰ)-『三國史記』에 표현된 三國의 王京名稱考察-" 20 : 2001

      14 "新唐書"

      15 "唐律疏議"

      16 "周禮"

      17 전덕재,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 2018

      18 "三國史記"

      19 전덕재,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본 신라 왕경의 實相 - 문무왕대 이후 신라본기와 잡지, 열전에 전하는 기록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32 : 1-47, 2018

      20 "『唐六典』 「扶餘隆墓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