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기와 가마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문헌관련 연구와 고고학·민속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가 대체로 가마의 수공업적 측면에 집중함으로써 위치와 수급관계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8094
2011
Korean
조선시대 ; Chosun Dynasty ; 기와가마 ; Roof-tile kiln ; 소비지 ; consumption site ; 운송거리 ; Carrying distance ; 원료공급 ; Raw material supplying ; 유통 ; Currency
학술저널
27-63(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기와 가마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문헌관련 연구와 고고학·민속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가 대체로 가마의 수공업적 측면에 집중함으로써 위치와 수급관계에 대...
조선시대 기와 가마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문헌관련 연구와 고고학·민속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가 대체로 가마의 수공업적 측면에 집중함으로써 위치와 수급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기와의 수급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생산지와 공급지에서 동일한 기와를 찾아야만 한다. 하지만 가마가 사찰 혹은 읍성 등의 경내에 위치한 경우를 제외하면 두곳에서 동일한 기와를 찾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의 발굴보고서에서는 기와의 소비지를 추론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전체 가마의 30% 이상은 소비지가 어디인지조차 추정할 수 없었다. 본 글에서는 기와의 운송 거리와 원료의 공급 등을 통해 유통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밝혀 향후 연구자의 소비지 가능 범위를 추론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가마와 소비지간 거리는 1km 이하가 약 70%로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였다. 3km 이하는 약 10%, 나머지 3km를 초과하는 경우는 관요를 제외하면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관요라 한다면 최대 이동거리가 10km까지 멀어질 수 있었다. 즉 대부분 기와 가마는 소비지 근처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소비지 근처에 위치한 가마의 최대 장점은 납품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기와의 원료인 흙은 주변 야산과 논밭 등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었고, 땔나무는 주변의 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즉 기와는 보통 한 건물을 짓더라도 대량으로 공급해야하며, 운반에 있어 무게의 부담과 파손될 위험이 항상 따르게 마련이므로 되도록이면 소비지 가까이에 가마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었다. 한편 조선시대 수운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와의 운송 역시 불가능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향후 하천변으로 기와 창고시설이나 선착장 등의 시설이 찾아진다면 수운을 통한 기와 공급이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로를 통한 기와 공급의 문제는 아직은 가능성만 있을 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of-Tile Kiln during Chosun Dynasty has been founded on old texts and kiln sites, and traditional folkways. We have focused on handicraft than location and supply-demand. There is a precondition to find out producing and demanding site at the sam...
The Roof-Tile Kiln during Chosun Dynasty has been founded on old texts and kiln sites, and traditional folkways. We have focused on handicraft than location and supply-demand. There is a precondition to find out producing and demanding site at the same time. It is that the same roof-tiles should be excavated on the two sites. but It is not the simple way to find the same roof-tiles except the kiln was in the temples, fortress, etc. Therefore the majority of archeologist has to be presumed the demanding site. And over 30% of reports could not be bring up the small clue about it. This report will provide an information about kiln`s location and supply-demand relationship. The distance of between kiln and demanding site which was below 1km was almost 70%, below 3km was 10%, over 3km was a few of them beside official kiln. The official kiln could be located till 10km distance from it. That is, most of the kiln were near from demanding site. The beneficial point of the neighborhood location is the reduction of economic cost for suppling. The soil and fire wood which were most raw material could be easily get from nearby mountain and farming field. The firewood was not vanished easily because the kiln was been working at the time of demand once in a while. The only trouble was that the kiln had been running many and long term. But it was not a disadvantage if there was demanding site near. Because the cost of carrying a firewood was chipper than carrying a roof-tile. The main reason that the kiln was near the demanding site was the roof-tiles were havy to carry and easy to be broken before arriving the building. For the more, the roof-tiles were provided on a large scale even for only single building.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hat the water transport will be discovered through finding out a storehouse and a wharf etc. by riverside. Because the ship and navigation skill was improved enough for carrying roof-tile during Chosun Dynasty. But the transport by water is early to discuss yet.
서울,경기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지 유적 검토 -평면형태 및 주거지내(內) 출토 무문양토기를 중심으로-
논문 : 조소앙(趙素昻)의 『소앙집(素昻集)』 간행과 역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