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을 판넨베르크 신학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랑이 신적 본질로서 가장 확실한 성서적 정당성과 이성적 타당성을 지님을 논증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05331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박사) , 2024. 2
2023
한국어
Trinity ; Unity ; Divine Essence ; Love ; Pannenberg ; Spirit ; Personality
서울
; 26 cm
지도교수: 신옥수
I804:11050-0000000084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을 판넨베르크 신학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랑이 신적 본질로서 가장 확실한 성서적 정당성과 이성적 타당성을 지님을 논증하고, ...
본 논문은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을 판넨베르크 신학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랑이 신적 본질로서 가장 확실한 성서적 정당성과 이성적 타당성을 지님을 논증하고, 신적 사랑의 다차원적인 의미와 관련 쟁점들을 파악함으로써, 산재한 신학적 논의들의 일치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 여섯 가지를 주목한다. 첫째로 신적 본질의 신학적 위치와 개념의 변천사를 추적하여 신적 본질의 통일성의 기능과 세 위격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로 신적 본질을 인격성 여부에 따라 세 모델로 분류하는 시도를 할 것이다. 셋째로 신적 본질의 내용을 탐구하는 방식에 있어서 철학적, 이성적이면서도 계시적, 성서적인 양방향적 접근방식으로 통전적 이해를 추구할 것이다. 넷째로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의 의미를 다차원적으로 체계화하여 신적 사랑의 풍요로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다차원적이라 함은 계시적-성서적 차원의 신적 삶의 계시로서의 사랑, 철학적-논리적 차원의 참된 무한으로서의 사랑, 심리적-영성적 차원의 인격의 신비로서의 사랑, 역사적-현상적 차원의 생명의 영으로서의 사랑, 통일적-체계적 차원의 신적 통일성으로서의 사랑을 의미한다. 다섯째로 사랑을 신적 본질로 규정할 때 생기는 세 가지 문제를 포착하여 비판적 대화를 시도할 것이다. 세 가지 쟁점은 사랑의 언어적 한계 문제, 신적 본질의 인격성 여부 문제, 사랑과 자유의 긴장 문제가 될 것이다. 여섯째로 사랑을 신적 본질로 규정하는 한 신학은 철저히 사랑의 신학으로 규정되어야 마땅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목회 실천적 기여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ve as a divine essence with a focus on Pannenberg’s th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love possesses the most definite biblical justification and rational validity as a divine essence. It aims to und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ve as a divine essence with a focus on Pannenberg’s th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love possesses the most definite biblical justification and rational validity as a divine essence. It aim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meanings of divine love and related issues, thereby presenting a cohesive direction for disparate theological discussions.
To achieve this, the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six aspects. Firstly, the paper seeks to trace the theological positioning and evolution of the divine essence, aiming to understand the unity function of the divine ess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Trinity. Secondly, an attempt will be made to classify the divine essence into three models based on its personhood. Thirdly, the paper aims to pursu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rough a philosophical, theological and revelational, scriptural bidirectional approach in exploring the content of the divine essence. Fourthly, the paper aims to systematize the meaning of love as the divine essenc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seeking to discover the rich significance of divine love. The multidimensional aspect involves the revelational, scriptural dimension of love as the revelation of divine life, the philosophical, logical dimension of love as true infinity, the historical, phenomenological dimension of love as the spirit of life, the psychological, spiritual dimension of love as the mystery of personality, and the unifying, systematic dimension of love as divine unity. Fifthly, the paper will attempt a critical dialogue by identifying three issues arising when defining love as the divine essence. These three points of contention include the problem of linguistic limitations in expressing love, the question of personhood in the divine essence, and the tension between love and freedom. Sixthly, the paper will argue that a theology defining love as the divine essence should be thoroughly characterized as a theology of love.
Furthermo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paper intends to add practical insights for pastoral applicationl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종성, "삼위일체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2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3 vols, 1967
3 신옥수, "대화하는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7
4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1",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5 김광채, "루터의 삼위일체론.", 개신논집 제2집 , 12), 139-155, 1995
6 김도훈,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7 김명용,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장신논단 제17집 , 12), 107-129, 2001
8 윤철호, "삼위일체 하나님과 세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9 신옥수,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10 윤철호, "동방정교회의 삼위일체론.", 장신논단 제37호 , 6), 51-84, 2010
1 이종성, "삼위일체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2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3 vols, 1967
3 신옥수, "대화하는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7
4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1",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5 김광채, "루터의 삼위일체론.", 개신논집 제2집 , 12), 139-155, 1995
6 김도훈,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7 김명용,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장신논단 제17집 , 12), 107-129, 2001
8 윤철호, "삼위일체 하나님과 세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9 신옥수,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10 윤철호, "동방정교회의 삼위일체론.", 장신논단 제37호 , 6), 51-84, 2010
11 손은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랑론.", 중세철학 제24호 , 12), 75-106, 2018
12 Balthasar, Hans Urs von, Translated by Graham Harrison, "Theo-drama: Theological Dramatic Theory", 5 vols 1988-1998, 1988
13 신옥수,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장신논단 제30호 , 12), 203-239, 2007
14 최성수,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신학 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7
15 김산춘, "감각과 초월: 발타살의 신학적 미학", 왜관: 분도출판사, 2003
16 백충현,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17 이덕중,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시아’ 이해.", 철학논총 제55호 , 1), 261-279, 2009
18 김병훈, "삼위일체 : 삼위 하나님의 위격의 이해.", 신학정론 제22-1호 , 5), 183-220, 2004
19 백충현, "삼위일체론에 대한 과정신학의 반응들.", 한국조직신학논총 제27호 , 10), 167-206, 2010
20 김형수, "위-디오니시우스의 신적 본질에 대한 이해.", 가톨릭신학 제36호 , 6) 45-81, 2020
21 이재하, "루터의 요한 1서 주석에 나타난 사랑의 신학.", 한국교회사학회지 제 15권 , 10), 201-232, 2004
22 장건익,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론 연구.", 가톨릭철학 제10호 , 251-309, 2008
23 신옥수, "몰트만 신학에 있어서 ‘하나님의 고난 가능성’.", 한국개혁신학 제16호 , 10), 153-187, 2004
24 김은수, "존 칼빈의 공교회적 삼위일체론 이해와 신학적 공헌.", 한국조직신학논 총 제49호 , 12), 45-89, 2017
25 김도훈, "길 위의 하나님: 일상, 생명, 변증의 눈으로 보는 신학", 파주: 조이웍스, 2014
26 김옥주, "‘그리스’와 ‘라틴’ 사이의 아우구스티누스의 De Trinitate .", 한국조직신 학논총 제48호 , 9), 7-42, 2017
27 장홍훈, "삼위일체 하느님의 사랑: 사랑의 유비 – 발타살 신학의 정점.", 신학전 망 제179호 , 12) 2-38, 2012
28 백충현, "레오나르도 보프의 ‘페리코레시스-연합 모델’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 국기독교신학논총 제79호 , 1), 135-154, 2012
29 김영선, "예수와 삼위일체 하나님: 판넨베르크의 기독론과 삼위일체론의 관계성",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30 김균진, "헤겔의 역사철학: 삼위일체론과 메시아니즘의 지평에서 본 헤겔 철학 이 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20
31 김병훈, "호모우시오스 니케아 공의회(325)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의 신학 적 상관성", 신학정론 제22-2호 , 11), 557-595, 2004
32 김정숙, "사랑과 자유의 관계 존재론: 캐서린 모리 라쿠나의 실천적 삼위일체 신학 의 방법론.", 신학사상 제145호 , 6), 129-159, 2009
33 김병훈, "위르겐 몰트만의 ‘하나님의 삼위일체론적 단일성’ 개념에 담겨 있는 삼신 론적 특성들.", 성경과 신학 제34호 , 10), 438-465, 2003
34 백충현, "내재적- 경륜적 삼위일체 관계에 관한 현대신학의 논의 분석: 존재론, 인 식론, 그리고 신비.", 한국조직신학논총 제24호 , 9), 91-110, 2009
35 노우재, "발타살의 드라마틱 구원론 - 삼위일체 하느님 사랑의 결정적 표징인 그 리스도의 십자가 죽음.", 신학전망 제179호 , 12), 39-84, 2012
36 김병훈, "현대 삼위일체론 탐구(4): 토마스 F. 토랜스의 존재-관계적인 위격들, 상 호 친교성을 구성하는 본질.", 신학정론 제38-1권 , 6), 263-287, 2020
37 유태화, "삼위일체론의 본질과 위격 이해에 관한 연구: 카를 바르트, 위르겐 몰트만, 그리고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제56호 , 6), 123-159,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