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작인식형(Motion-detective) 디지털웨어 (digital wear)의 상품화 가능성 탐색과 디자인 프로토타입(design prototype)의 제안 = (An) Explorative Research for Possibility in Digital Wear Development Based on Motion-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a Suggestion of its Design Proto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36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적 속성과 착용감 및 상품성을 갖춘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20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컴퓨팅 환경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손동작 인식형 및 신체동작 인식형의 총 8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 검증과 상품성 분석을 거쳐 디지털웨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설계 및 디자인 프로토타입이 제시되었다.
      그 외에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에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사용편의성과 의복으로서의 갖춰야 할 착용감과 기능성, 심미성, 내구성 및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소비자의 수요 등이 반영되었으며 의류제품으로서의 제작 가능성이 고려되었다.
      결론에서는, 현재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한 4 가지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과 가까운 미래에 구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4 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 등 총 8개의 디지털웨어를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안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적 속성과 착용감 및 상품성을 갖춘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20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컴퓨팅 환경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손동작 인식형 및 신체동작 인식형의 총 8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 검증과 상품성 분석을 거쳐 디지털웨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설계 및 디자인 프로토타입이 제시되었다.
      그 외에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에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사용편의성과 의복으로서의 갖춰야 할 착용감과 기능성, 심미성, 내구성 및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소비자의 수요 등이 반영되었으며 의류제품으로서의 제작 가능성이 고려되었다.
      결론에서는, 현재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한 4 가지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과 가까운 미래에 구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4 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 등 총 8개의 디지털웨어를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안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digital wear that i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to develop design prototypes for it.
      As a result of positive analysis of the latent demands of consumers which's drawn from depth interview on twenties' life style and computing environment, eight possible application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emerged. By technica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profitability of these applications, eight design prototypes for the digital wear were inve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s, consumers' various demands - for conveniency of interface, wearability, aesthetics, durability and psychological comfort - and features needed to be reproduced were considered in depth.
      In conclusion, 4 design prototypes were suggested by graphic simulation which could be embodied through presently available digital technology, while the rest of design prototypes were expected to be embodied in near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digital wear that i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to develop design prototypes for it. As a result of positive analysis of the latent demand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digital wear that i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to develop design prototypes for it.
      As a result of positive analysis of the latent demands of consumers which's drawn from depth interview on twenties' life style and computing environment, eight possible application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emerged. By technica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profitability of these applications, eight design prototypes for the digital wear were inve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s, consumers' various demands - for conveniency of interface, wearability, aesthetics, durability and psychological comfort - and features needed to be reproduced were considered in depth.
      In conclusion, 4 design prototypes were suggested by graphic simulation which could be embodied through presently available digital technology, while the rest of design prototypes were expected to be embodied in nea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i
      • 표 차례 = ⅴ
      • 그림차례 = ⅶ
      • 국문요약 = xii
      • 제1장 서론 = 1
      • 차례 = i
      • 표 차례 = ⅴ
      • 그림차례 = ⅶ
      • 국문요약 = xii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 6
      • 1.3 연구의 범위 = 8
      • 제2장 이론적 배경 = 9
      • 2.1 컴퓨터와 입력장치의 발달 = 9
      • 2.1.1 컴퓨터와 입력장치의 발달과정 = 9
      • 2.1.2 입력장치의 개념, 유형과 기능 = 13
      • 2.2 Post-PC 시장의 대두와 새로운 입력장치의 발달 = 27
      • 2.2.1 컴퓨팅 환경의 변화 = 27
      • 2.2.2 새로운 인터페이스와 입력장치의 발달 = 31
      • 2.2.3 입력유형에 따른 입력장치 분석 = 38
      • 2.3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와 그 디자인의 문제 = 42
      • 2.3.1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개념 모델 = 43
      • 2.3.2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와 그 중요성의 부상 = 45
      • 2.3.3 Human-Computer Interface(HCI) 연구의 발전동향 = 46
      • 2.3.4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의 최근 발달동향 = 48
      • 2.4 최근 의류시장의 동향 = 53
      • 2.4.1 고기능성 의류제품에 대한 수요증가 = 53
      • 2.4.2 디지털웨어의 출현과 발달과정 = 56
      • 2.4.3 디지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연구동향 = 65
      • 제3장 연구방법 = 86
      • 3.1 심층면접 = 86
      • 3.2 자료분석 = 88
      • 3.2.1 심층면접의 방법과 분석 = 88
      • 3.3 디자인프로토타입의 개발과 시각화 = 90
      • 제4장 결과 및 논의 = 91
      • 4.1 20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 91
      • 4.1.1 소비자의 중심가치 = 91
      • 4.1.2 일상적 관심사 = 93
      • 4.1.3 활용하는 매체 = 94
      • 4.1.4 여가활동 = 95
      • 4.1.5 의생활의 특성 = 98
      • 4.2 소비자의 컴퓨팅 환경에 관련된 일반적 태도와 현황 = 102
      • 4.2.1 소비자의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 관련된 일반적 태도와 현황 = 102
      • 4.3 소비자의 입력방식에 대한 수요 = 122
      • 4.3.1 소비자의 입력방식에 대한 활용도 = 122
      • 4.3.2 소비자가 요구하는 새로운 입력방식에 대한 수요 = 123
      • 4.4 손동작 인식형 입력장치의 예상되는 한계점 = 126
      • 4.4.1 손동작 인식형 입력장치의 멀티마우스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 126
      • 4.4.2 착용 및 휴대, 사용 편리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 127
      • 4.5 동작인식 무선입력장치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에 대한 잠재수요 = 130
      • 4.5.1 손동작 인식형 = 130
      • 4.5.2 신체동작 인식형 = 133
      • 4.6 동작인식 무선입력장치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에 대한 컴퓨팅 기능외의 수요 = 135
      • 4.6.1 의복으로서 요구되는 소비자의 수요 = 135
      • 4.6.2 소비자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배려 = 136
      • 4.7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 = 137
      • 4.7.1 8가지 연구문제에 따른 면접자료의 분석 = 138
      • 4.7.2 8가지 영역별 주요결과 = 139
      • 4.7.3 가능성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도출 = 142
      • 4.7.4 기술적 구현 가능성의 고려 = 143
      • 4.7.5 컴퓨팅 기능외 수요에 기초한 디자인 방향의 설정 = 144
      • 4.7.6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본형 개발 = 145
      • 4.7.7 구현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토타입 A군의 개발 = 159
      • 4.7.8 현재 구현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토타입 B군의 개발 = 186
      • 4.8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개발을 위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 = 210
      • 4.8.1 설문지법으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한 분석 = 210
      • 4.8.2 프로토타입 개발 절차에 대한 분석 = 211
      • 제5장 결론 = 213
      • 5.1 동작인식 무선입력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의 잠재수요 = 213
      • 5.1.1 소비자의 일반적 수요 = 213
      • 5.1.2 입력장치에 관한 소비자의 수요 = 215
      • 5.2 디자인 프로토타입개발을 위한 방법론 제안 = 217
      • 5.3 동작인식 무선입력장치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 218
      • 5.4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223
      • 참고문헌 = 224
      • 부록 = 229
      • ABSTRACT = 2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