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인식형 디지털웨어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적 속성과 착용감 및 상품성을 갖춘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20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컴퓨팅 환경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손동작 인식형 및 신체동작 인식형의 총 8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 검증과 상품성 분석을 거쳐 디지털웨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설계 및 디자인 프로토타입이 제시되었다.
그 외에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에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사용편의성과 의복으로서의 갖춰야 할 착용감과 기능성, 심미성, 내구성 및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소비자의 수요 등이 반영되었으며 의류제품으로서의 제작 가능성이 고려되었다.
결론에서는, 현재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한 4 가지 디지털웨어의 디자인 프로토타입과 가까운 미래에 구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4 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 등 총 8개의 디지털웨어를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안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digital wear that i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to develop design prototypes for it. As a result of positive analysis of the latent demand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digital wear that i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and to develop design prototypes for it.
As a result of positive analysis of the latent demands of consumers which's drawn from depth interview on twenties' life style and computing environment, eight possible applications based on motion - detective input technology emerged. By technica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profitability of these applications, eight design prototypes for the digital wear were inve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totypes, consumers' various demands - for conveniency of interface, wearability, aesthetics, durability and psychological comfort - and features needed to be reproduced were considered in depth.
In conclusion, 4 design prototypes were suggested by graphic simulation which could be embodied through presently available digital technology, while the rest of design prototypes were expected to be embodied in near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