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오늘날 한국 서브컬처를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근본적으로 재고찰하기 위 한 예비작업으로서 박정희 정권 초창기 서사만화인 H도전자H와 H폭탄아H(1964)에 주목한다. 두 만화는 식민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69388
윤재민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2023
Korean
East Asian pop culture ; Subculture ; The Japanese ; Nationalism ; Comical contradictions ; Comics(manga) ; Performative shift ; Park-Kijeong ; 동아시아 팝 문화 ; 서브컬처 ; 왜색 ; 내셔널리즘 ; 만화적 역설 ; 코믹스(망가) ; 수행적 전환 ; 시초 축적 ; 박기정
KCI등재
학술저널
77-110(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오늘날 한국 서브컬처를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근본적으로 재고찰하기 위 한 예비작업으로서 박정희 정권 초창기 서사만화인 H도전자H와 H폭탄아H(1964)에 주목한다. 두 만화는 식민지...
이 글은 오늘날 한국 서브컬처를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근본적으로 재고찰하기 위 한 예비작업으로서 박정희 정권 초창기 서사만화인 H도전자H와 H폭탄아H(1964)에 주목한다. 두 만화는 식민지 체험의 극복 소위 항일 모티브의 한국 서브컬처 서사의 마스터플롯의 원형을 제시했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항일 서사의 대중적 호소력은 만 화 특유 형식에서 기인한다. 두 만화의 항일 내셔널리즘은 그것과 전적으로 불화하는 듯한 일본적 이미지의 범람을 만화적으로 상연한다. 내셔널리즘을 표방하면서 만화 적으로는 이와 전적으로 불화하는 표현을 지향하는 표현적 역설은 왜색이라는 배타적인 담론으로 유지되던 전후 내셔널리즘과 초국가적 서브컬처의 배양ᆞ축적 양상을 흥미롭게 시사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축적의 양상을 알렉세이 유르착의 수행적 전환(performative shift) 개념을 참조하여, 초국가적 팝 문화가 국지적으로 맥락화되어 생산되는 문화 과정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훈, "한일관계의 ‘65년 체제’와 한국문학-한일국교정상화를 둘러싼 국가적 서사의 구성과 균열" 소명출판 2021
2 최 열, "한국 만화의 역사" 열화당 1995
3 박기정, "폭탄아 제1∼8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6
4 프레드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논리" 문학과지성사 2022
5 허인욱, "클로버문고의 향수 1972~198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9
6 안나 프로이트, "자아와 방어기제" 열린책들 2015
7 정창훈, "일본적인 것, 혹은 금지된 ‘소리’의 계보—한일국교정상화 성립기 ‘왜색(倭色)’ 비판담론과 양의성의 정치미학" 대중서사학회 25 (25): 349-392, 2019
8 김성민, "일본을 금하다-금제와 욕망의 한국 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9 정현숙, "일본만화의 사회학-만화사적 접근을 통해 본 경쟁력의 기반" 문학과지성사 2004
10 박순애, "일본 대중문화와 내셔널리즘" 지식과교양 2021
1 정창훈, "한일관계의 ‘65년 체제’와 한국문학-한일국교정상화를 둘러싼 국가적 서사의 구성과 균열" 소명출판 2021
2 최 열, "한국 만화의 역사" 열화당 1995
3 박기정, "폭탄아 제1∼8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6
4 프레드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논리" 문학과지성사 2022
5 허인욱, "클로버문고의 향수 1972~198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9
6 안나 프로이트, "자아와 방어기제" 열린책들 2015
7 정창훈, "일본적인 것, 혹은 금지된 ‘소리’의 계보—한일국교정상화 성립기 ‘왜색(倭色)’ 비판담론과 양의성의 정치미학" 대중서사학회 25 (25): 349-392, 2019
8 김성민, "일본을 금하다-금제와 욕망의 한국 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9 정현숙, "일본만화의 사회학-만화사적 접근을 통해 본 경쟁력의 기반" 문학과지성사 2004
10 박순애, "일본 대중문화와 내셔널리즘" 지식과교양 2021
11 존 오스틴, "오스틴의 언어철학, 의미론, 화용론" 서광사 1992
12 피에르 부르디외,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출판 2014
13 이와부치 고이치,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또 하나의문화 2004
14 후쿠시마 료타, "신화가 생각한다-네트워크 사회의 문화론" 기역 2014
15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보급에 대한 고찰" 길 2018
16 김보현,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 : 민족주의와 발전" 갈무리 2006
17 박인하, "박기정의 카툰 & 캐리커처" 예경 2005
18 서은영, "박기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9 알렉세이 유르착,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20 오혁진, "만화형식의 역사-윌리엄 호가스에서 장 자크 샹페까지" 해피북미디어 2022
21 한상정, "만화학의 재구성" 이숲 2021
22 정은경, "만주활극의 영웅들 - 시대를 횡단하는 대중무의식" 인문학연구소 22 (22): 5-42, 2021
23 임현진, "동아시아 대중문화소비의 새로운 흐름" 나남 2013
24 박기정, "도전자 제1∼5권" 바다출판사 2005
25 마루카와 데쓰시, "냉전문화론 : 1945년 이후 일본의 영화와 문학은 냉전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너머북스 2010
26 페터 슬로터다이크, "냉소적 이상 비판 1" 에코리브르 2005
27 오사와 마사치, "내서널리즘의 역설-상상의 공동체에서 오타쿠까지" 어문학사 2014
28 福嶋亮大, "辺境の思想 : 日本と香港で考える" 文藝春秋 2018
29 조은애 ; 박광현, "‘일본인 처’라는 기호: 남북일 국민 서사에서의 비/가시화와 이동의 현재성" 동악어문학회 (87) : 99-143, 2022
30 Shih Shu-mei, "Sinophone Studies : A Critical Rea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31 Jacques Derrida, "LIMITED INC"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88
32 Phen Cheah, "Cosmopolitics : Thinking and Feeling beyond Nation" Minesota University Press 1998
33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 상상 2012
내던져지고 휩쓸린-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문학과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