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열처리된 김치 첨가가 그라탱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0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라탱과 김치의 퓨전을 위해 먼저 열처리가 김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김치를 100°C에서 최대 60분까지 열처리하였을 때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김치의 갈변도와 색 ...

      그라탱과 김치의 퓨전을 위해 먼저 열처리가 김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김치를 100°C에서 최대 60분까지 열처리하였을 때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김치의 갈변도와 색 강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현상은 상대적으로 숙성이 더 진행된 김치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김치 숙성에 따른 고분자 물질의 분해와 고온에서 가속화된 Maillard 갈변반응의 결과로 해석되었다. 총 환원력, 금속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김치의 항산화 활성 역시 가열시간이 길수록,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숙성과 열처리로 증가한 김치 속 비당체 형태의 페놀과 Maillard 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s)의 환원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00°C, 10분 동안의 열처리에도 김치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이 조건으로 가열한 김치를 20% 농도로 첨가하여 그라탱을 제조하였다. 열처리 김치 첨가로 그라탱은 식이섬유, GABA, 오르니틴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김치 첨가로 우려되는 염 함량의 실질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열처리 김치에서 확인된 항산화 활성이 그라탱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됨에 따라 김치의 항산화 기능성이 열처리 후에도 그라탱에 부가되었음을 확인해주었다. 이 결과들은 김치 그라탱 제조로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그라탱에 실질적으로 부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서구 음식과 우리 전통 발효 음식과의 다양한 퓨전을 통한 건강 지향적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types of kimchi with a different total acidity (TA, 0.75% or 1.19%) were heated at 100°C for up to 60 min to develop a gratin added with heated-kimchi. Their browning index and color int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ime, which was mor...

      Two types of kimchi with a different total acidity (TA, 0.75% or 1.19%) were heated at 100°C for up to 60 min to develop a gratin added with heated-kimchi. Their browning index and color int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ime, which was more apparent for the kimchi with the higher TA. This was attributed to the Maillard reaction facilitated at a higher heat intensity and by the smaller fermentation products. The same tendency was also observed for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the total reducing capacity, metal-chelating activ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icular, heating kimchi at 100°C only for 10 min increased the activities significantly. Therefore, the heated-kimchi was added to gratin at 20%. With the addition, the dietary fiber,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ornithine contents in the gratin were increased appreciably (P<0.01). Nevertheless, there was little change in its salinit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atin were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e control gratin without kimchi, wi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eing 3.6 times hig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unctionality of kimchi could be effectually added to gratin even after heat trea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옥, "전통음식에 대한 신세대의 인지도가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13 (13): 1-11, 2007

      2 최미자, "아동·청소년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이상 지표의 분포와 영양소 섭취-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 (19): 133-141, 2014

      3 이효원, "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111-120, 2016

      4 이정숙, "부산지역 주민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연령별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51-360, 2010

      5 백현영,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 외식계열 전공자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5 (25): 779-790, 2015

      6 유미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1 (41): 428-434, 2009

      7 이강욱,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341-348, 2010

      8 김은아, "김치로부터 GABA를 생산하는 커드 형성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705-711, 2013

      9 김태준, "김치 첨가 크로켓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6 (26): 498-506, 2016

      10 이혜현, "김치 발효 숙성 중의 γ-aminobutyric acid (GABA)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671-677, 2013

      1 조정옥, "전통음식에 대한 신세대의 인지도가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13 (13): 1-11, 2007

      2 최미자, "아동·청소년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이상 지표의 분포와 영양소 섭취-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 (19): 133-141, 2014

      3 이효원, "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111-120, 2016

      4 이정숙, "부산지역 주민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연령별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51-360, 2010

      5 백현영,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 외식계열 전공자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5 (25): 779-790, 2015

      6 유미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1 (41): 428-434, 2009

      7 이강욱,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341-348, 2010

      8 김은아, "김치로부터 GABA를 생산하는 커드 형성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705-711, 2013

      9 김태준, "김치 첨가 크로켓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6 (26): 498-506, 2016

      10 이혜현, "김치 발효 숙성 중의 γ-aminobutyric acid (GABA)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671-677, 2013

      11 "Wikipedia. Gratin"

      12 Brand-Williams W,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28 : 25-30, 199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2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KCDC 20-21, 2016

      14 Manzocco L, "Review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antioxidant capacity in processed foods" 11 : 340-346, 2001

      15 Park S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74 isolated from kimchi" 31 : 143-152, 2013

      16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 신동화,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Jang" 한국식품연구원 2 (2): 2-7, 2015

      18 조윤희, "Isoflavone 비배당화 및 항산화 활성을 지닌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의 선발" 한국축산식품학회 29 (29): 640-646, 2009

      19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Lentinus edodes)mushroom" 99 : 381-387, 2006

      20 Juániz I,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capacity and(poly)phenolic compounds of selected vegetables" 197 : 466-473, 2016

      21 Foodnews,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to Surge by 51% During Recent 5 Years"

      22 박건영, "Health Benefi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as a Probiotic Foo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7 (17): 6-20, 2014

      23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99-163, 2006

      24 Brecht JK, "Food Chemistry" CRC Press 975-1049, 2008

      25 Sikorski ZE, "Food Chemistry" CRC Press 849-883, 2008

      26 Burdurlu HS, "Effect of storage on non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 concentrates" 80 : 91-97, 2003

      27 Park JM,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in kimchi during a short-term and over-ripening fermentation period" 112 : 356-359, 2011

      28 Ha JH, "Changes of free sugar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21 : 633-638, 1989

      29 Chew YL, "Assessment of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nd polyphenolic composition of selected medicinal herbs from Leguminosae family in Peninsular Malaysia" 116 : 13-18, 2009

      30 Lee YC,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ves" 7 : 332-337, 1994

      31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32 Park KY, "A study i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25 : 69-75,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