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현대 한국 통사(通史)에 나타난 전근대 피지배층 저항 서술의 변화 = Changes of Descriptions about Resistance of the People Against the Ruling Classes in the Premodern Period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near History Boo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the descriptions concerning resistance by the oppressed people in the premodern period that appeared in important Korean linear history books published from the 1890s to the 1980s.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reviewed Dong...

      This article reviewed the descriptions concerning resistance by the oppressed people in the premodern period that appeared in important Korean linear history books published from the 1890s to the 1980s.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reviewed Dongguksaryak (1906) by Hyun Che, Sinpyeon Joseonyeoksa (1923) by Hwang Uidon, Joseon saheo kyeongjesa (1933) by Beak Namwoon, Joseon bonggun saheo kyeongjesa (1937) by Beak Namwoon, Joseon yeoksa dokbon (1937) by Lee Chungwon, Joseonsa daekwan (1948) by Lee Byngdo, Joseonsa kyojeong (1948) by Jeon Sukdam, Kuksa deayo (1949) by Sohn Jintae, Kuksa sinron (1961) by Lee Kibaik, Hankuksa sinron (A New History of Korea, 1967, 1976) by Lee Kibaik, and Hankuk minjungsa (1986) by the Research Group for History of the Minjung.
      The colonial period is the most important in this article because the resistance by the oppressed people in the premodern period was highly rated in Korean linear history for the first time. In this period, liberalistic descriptions appeared in linear history books written by the school of Nationalist and Culturalist history, and socialistic descriptions appeared in linear history books written by the school of materialist history. These two styles of descriptions continued and fused after liberation and established themselves as two important explanations about resistance by the oppressed people in the premodern period. After the Korean War, as materialist history disappeared in South Korea, such socialistic descriptions also officially disappeared. But socialistic descriptions had some influence in South Korean history as South Korean historians tried to overcome limitations by borrowing some factors of materialist history in the course of the decolonization movement. Advanced socialistic descriptions about the resistance by the oppressed people reappeared in South Korean linear history books in the 1980s, with emphasis on the effort to overcome national division and the inflow of Maxism into the South Korean public sp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통사가 갖는 근대 프로젝트적, 계몽적 성격에 주목하여 각시대 주요 통사들에 나타난 전근대 피지배층 저항 관련 서술을 개항기, 일제시기, 해방~6⋅25전쟁기, 1950~60년대, 1970~80년대...

      이 글은 통사가 갖는 근대 프로젝트적, 계몽적 성격에 주목하여 각시대 주요 통사들에 나타난 전근대 피지배층 저항 관련 서술을 개항기, 일제시기, 해방~6⋅25전쟁기, 1950~60년대, 1970~80년대의 5개 시기로 나누어 고찰했다. 이를 위해 현채의 『동국사략』(1906), 황의돈의『신편 조선역사』(1923),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1933), 『조선봉건사회경제사』(1937), 이청원의 『조선역사독본』(1937), 이병도의 『조선사대관』(1948), 전석담의 『조선사교정』(1948), 손진태의 『국사대요』 (1949), 이기백의 『국사신론』(1961), 이기백의 『한국사신론』(1967, 1976), 한국민중사연구회의 『한국민중사』(1986)를 검토했다. 일제시기는 통사에서 전근대 피지배층 저항에 최초로 적극적 의미 부여가 이루어진 시기였다. 이 시기, 근대 국가 모색 과정에서 나타난 자유주의적 서술과사회주의적 서술은 해방 이후 출간된 통사들에서도 계승되고 변용되며피지배층 저항 서술의 주요한 양대 서술 경향으로 자리 잡았다. 6⋅25 전쟁 이후 공고화된 남북 역사학계의 분단으로 사회경제사학이 남한에서 자취를 감추며 피지배층 저항에 대한 공식적인 사회주의적 서술 또한 사라졌으나, 식민사관 극복으로 대표되는 민족주의적 문제의식 속에 사회경제사학의 요소들이 일정 부분 변용되어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분단 극복을 위한 ‘민중’ 중심 역사를 표방한 『한국민중사』 에서 사회주의적 서술은 ‘민중’ 중심 역사 서술을 위해 재등장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민중사』의 피지배층 저항 서술은 한국사학사상 최대의 근대적 의미를 부여받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일평, "호암문일평 전집 — 新聞 補遺篇" 민속원 1923

      2 이우성, "한국의 역사인식(하)" 창작과 비평 1976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67

      4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 1, 2" 풀빛 1986

      5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6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이론과실천 1933

      7 이병도, "조선사대관" 동지사 1948

      8 전석담, "조선사교정" 을유문화사 1948

      9 경성대학 조선사연구실, "조선사개설" 홍문서관 1949

      10 백남운, "조선봉건사회경제사(상)" 이론과실천 1937

      1 문일평, "호암문일평 전집 — 新聞 補遺篇" 민속원 1923

      2 이우성, "한국의 역사인식(하)" 창작과 비평 1976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67

      4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 1, 2" 풀빛 1986

      5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6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이론과실천 1933

      7 이병도, "조선사대관" 동지사 1948

      8 전석담, "조선사교정" 을유문화사 1948

      9 경성대학 조선사연구실, "조선사개설" 홍문서관 1949

      10 백남운, "조선봉건사회경제사(상)" 이론과실천 1937

      11 손진태, "조선민족사 개론(상)" 을유문화사 1948

      12 안확, "조선문명사" 회동서관 1923

      13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14 정창렬, "정창렬저작집Ⅱ — 민중의 성장과 실학" 선인 2014

      15 이기백, "연사수록" 일조각 1994

      16 도면회, "역사학의 세기 :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 휴머니스트 2009

      17 황의돈, "신편조선역사" 이문당 1923

      18 강만길,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창작과 비평 1987

      19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4

      20 이기백, "민족과 역사" 일조각 1978

      21 이신철, "동아시아 근대 역사학과 한국의 역사인식" 선인 2013

      22 김용섭, "김용섭 회고록 :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 — 해방세대 학자의 역사연구 역사강의" 지식산업사 2011

      23 현채, "근대역사교과서 2 — 중등교과 동국사략" 소명출판 1899

      24 이기백, "국사신론" 태성사 1961

      25 손진태, "국사대요" 을유문화사 1949

      26 한우근, "국사개론" 명지사 1954

      27 강만길, "강만길 자서전 : 역사가의 시간" 창비 2010

      28 황의돈, "海圓文稿下卷" 문원사 2007

      29 이청원, "朝鮮歷史讀本" 白揚社 1937

      30 박종린, "‘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黃義敦의 『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8 (18): 212-238, 2014

      31 배성준, "1980~90년대 민중사학의 형성과 소멸" 역사문제연구소 14 (14): 31-55, 2010

      32 박형진, "1930년대 아시아적 생산양식 논쟁과 과학적 조선학 연구 : 이청원의 식민지기 학술활동과 논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33 류시현, "1920~30년대 문일평의 민족사와 문화사의 서술" 민족문화연구원 (52) : 35-6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