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판소리 〈심청전〉에 나타난 ‘방아타령’의 내적 기능과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심청전〉의 방아타령은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오면서 여러 모습으로 변해 왔다. 심봉사의 일탈에 따른 골계화를 보여주기도 하고, 작품의 복선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서사 전개를 견인하는 ...

      〈심청전〉의 방아타령은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오면서 여러 모습으로 변해 왔다. 심봉사의 일탈에 따른 골계화를 보여주기도 하고, 작품의 복선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서사 전개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장단의 변화에 따라 음악적 효과를 주고 사건을 전개하기도 한다. 반면 〈변강쇠가〉의 방아타령은 〈심청전〉의 방아타령과는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다.
      〈심청전〉의 방아타령이 남성성의 회복을 통한 생산성을 갖고 있다면, 〈변강쇠가〉의 방아타령은 비생산성을 나타내고 있다. 작품의 결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심청전〉은 축제를 통한 행복한 결말의 양상을 띠고 있다면, 〈변강쇠가〉는 강쇠의 시신이 갈기갈기 찢기고 옹녀는 떠돌아다니는 비극적 상황을 맞게 된다. 즉 〈심청전〉은 방아타령 이후 재생산의 형상이 계속 이어지는 반면 〈변강쇠가〉는 재생산을 불허하고 있다.
      이처럼 방아타령의 변이양상을 정리하고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작업은 작게는 방아타령의 변이와 기능을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크게는 판소리에 삽입된 다른 노래들의 전승양상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방아타령은 하나의 삽입가요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판소리 문학이 여러 집단의 공동창작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것은 판소리 생산층과 향유층이 관여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후에는 이본 간의 철저한 비교와 검증, 그리고 다른 삽입가요들과의 비교 등도 필요하다. 앞으로의 삽입가요 연구 역시 삽입유무에 의한 차이를 밝히기 보다는 삽입 필요성과 영향, 그리고 그것의 성패와 의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ngataryeong of Simcheongjeon was transmitted for a long time to make change in many features. The Bangataryeong makes humor in accordance with Simbongsa's misconduct, and it plays role of double track of the work. The Bangataryeong plays role of...

      The Bangataryeong of Simcheongjeon was transmitted for a long time to make change in many features. The Bangataryeong makes humor in accordance with Simbongsa's misconduct, and it plays role of double track of the work. The Bangataryeong plays role of developed description, and it produces musical effects and develops events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rhythm. On the other hand, the Bangataryeong of Byeonkangsoika has an aspect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Simcheongjeon.
      The Bangataryeong of Simcheongjeon has productivity by recovered manliness, while that of Byeonkangsoika has non-productiveness. At the end of the works, Simcheongjeon has happy end through festival, while Byeonkangsoika has tragic end that Kangsoi's corpse is split and Ongnyeo wanders about from place to place. In other words, Simcheongjeon continues to reproduce after Bangataryeong, while Byeonkangsoika does not permit reproduction.
      This study examines changing aspect and functions of Bangataryeong to help understand inheritance aspect and values of other songs that are included in Pansori.
      Bangataryeong may be no more than an inserted song. Considering that Pansori literature is creation that many groups make, Bangataryeong can be an outcome that not only producer but also listener makes.
      Not only careful comparison and verification between different versions but also comparison with other inserted songs is required in the future. The inserted song is demanded to research it in the future not by existence of the insertion but by needs, influence, success and values of the inser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판소리 방아타령의 전승과 변이양상
      • 3. 방아타령의 작품 내적 기능과 역할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판소리 방아타령의 전승과 변이양상
      • 3. 방아타령의 작품 내적 기능과 역할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판소리 삽입가요의 정착과정-방아타령의 경우」 한국판소리·고전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3

      2 "한국육담의 세계관" 국학자료원 1997

      3 "필사본 심청전 연구" 비교민속학회 31 : 2001

      4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후기 연희풍속의 양상과 의미"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2 : 2005

      5 "심청전의 구조와 의미" 박이정 1998

      6 "심청전 전집 1~12" 박이정 1997~2004

      7 "심청전 연구" 문학아카데미 1989

      8 "실창 판소리사설집" 박이정 2004

      9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조선후기 庶民의 생활상과 풍속" 열상고전연구회 25 : 2007

      10 "신오위장 소작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12 : 2002

      1 "「판소리 삽입가요의 정착과정-방아타령의 경우」 한국판소리·고전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3

      2 "한국육담의 세계관" 국학자료원 1997

      3 "필사본 심청전 연구" 비교민속학회 31 : 2001

      4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후기 연희풍속의 양상과 의미"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2 : 2005

      5 "심청전의 구조와 의미" 박이정 1998

      6 "심청전 전집 1~12" 박이정 1997~2004

      7 "심청전 연구" 문학아카데미 1989

      8 "실창 판소리사설집" 박이정 2004

      9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조선후기 庶民의 생활상과 풍속" 열상고전연구회 25 : 2007

      10 "신오위장 소작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12 : 2002

      11 "성묘사의 전통 속에서 본 변강쇠가의 <기물타령>"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2 : 2005

      12 "서사무가의 편입가요 수용양상연구" 한국민요학회 13 : 2003

      13 "사당패소리 방아타령 연구-서남해 도서지역의 남사당패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5 : 2004

      14 "변강쇠가에 나타난 기괴성의 구현양상과 의미" 2003

      15 "방아류 민요의 음조직 유형과 분포" 한국민요학회 4 : 1996

      16 "방아노래의 문학적 수용양상에 대하여" 형설출판사 1983

      17 "민속음악과 예술 : 노동요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23 : 2002

      18 "구비시가의 구연양상 : 방아전승의 기능과 관련하여" 한국민요학회 6 : 1999

      19 "경복궁타령 고" 국립민속박물관 9 : 2001

      20 "경복궁 중건 때의 전통놀이 가사집 寄玩別錄" 9 : 1999

      21 "경기민요 방아타령 연구" 한국민요학회 9 : 2001

      22 "경기도 토속민요 방아소리 연구-경기 동,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3 : 2003

      23 "경기 지역 방아타령계 음악 형성고" 한국음악연구 2004

      24 "17세기 문헌소화에 나타난 인물과 웃음의 성격" 민속학연구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