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얽힘 이론과 동맹의 안보 딜레마 : 한미동맹 사례 = Entanglement Theory And Alliance Security Dilemma : The Case of ROK-U.S. Alli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4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re contents of entanglement theory in terms of comparison with Glenn Snyder's alliance security dilemma and to criticize main logic of entanglement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eory of 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re contents of entanglement theory in terms of comparison with Glenn Snyder's alliance security dilemma and to criticize main logic of entanglement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eory of entanglement is problematic in the following points: the minimization of entrapment concept, member states' asymmetric positions against entrapment, and Lippmann Gap arising from the extension of national interests.
      In the context of the ROK-U.S. alliance, ROK has periodically experienced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of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accordance with United States' alliance policy and changing security circumstances. In some cases, regardless of the nation's unique security benefits, ROK has been involved in a situation of entrapment due to strength ROK-U.S. alliance. The typical case is the Korea's second dispatch troops to Iraq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is case is the situation of entrapment, not entanglement in the context of alliance security dilemma. Therefore, ROK should be made for alliance management strategy to avoid another situation of entrapment and to make more desirable ROK-U.S. alli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관련하여 군사적 연루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얽힘에도 불구하고 연루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얽힘 이론은 포기와 연루로 상징되는동맹 딜레마 모델에 새로운 ...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관련하여 군사적 연루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얽힘에도 불구하고 연루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얽힘 이론은 포기와 연루로 상징되는동맹 딜레마 모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얽힘 이론은 비대칭동맹의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에 얽힘의 논리를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앞에서 분석했듯이, 얽힘 이론은 연루 개념의 극소화, 연루에 대해 회원국이 마련하는 대비책의 비대칭성, 그리고 국가이익의 확장성문제를 제대로 분석해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의 비대칭 한미동맹에서 한국은 안보 상황에 따라 포기와연루의 동맹 딜레마에 주기적으로 노출되어 왔고,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의 고유한안보이익과는 별개로 한미동맹 강화를 위해서라도 미국의 정책 입장에 동조하여연루의 상황에 빠져 들어가는 정책을 취해 왔다. 노무현 정부에서 있었던 제2차이라크 파병이 그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노무현 정부가 제2차 이라크 파병에나서게 된 궁극적 배경도 다름 아닌 동맹 강화의 논리가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모든 비대칭동맹에서 동맹 회원국가들 간에는 구조적으로 갈등이 내재되어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어 왔다. 동맹국가들 간에 나타나는 동맹갈등은 동맹 결속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라기보다는 회원국 고유의 차별적안보이익이 상호작용하는 불가피한 현상이자 자연스러운 과정인 것이다. 지난냉전시대 유럽의 안정과 안보, 그리고 지속적인 번영의 주춧돌이 되어 왔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발자취는 한마디로 동맹 갈등의 역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오늘날까지 그 어느 동맹보다도 성공적인 다자동맹으로남아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 국가들은 동맹 강화의 논리가아니라 미국과 유럽의 안보가 연계되어 있다는 안보적 유대감에 따라 동맹을유지⋅관리해 나가야겠다는 동맹관리전략이 더 중시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및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상황을 전망했을 경우, 한미동맹의 존재와역할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특히, 한미동맹이 미래 보다 튼튼하고건강한 동맹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동맹 강화보다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을 점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동맹을 유지⋅관리해 나갈 수 있는 체계적이고종합적인 동맹관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이 아무리 엄중하더라도 우리의 습관과 관성에 따라 동맹 강화의 논리만을 강조한다면, 동맹에대한 우리의 안보적 의존 심리는 더욱 강화되어 우리 스스로 동맹 딜레마를관리해나갈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석, "칼날위의 평화: 노무현 시대 통일외교안보 비망록" 개마고원 2014

      2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⑤: 통일외교안보" 국정홍보처 2008

      3 이수형, "중견국가와 한국의 외교안보정책:노무현정부의 동맹재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2 (52): 3-27, 2009

      4 이근욱, "이라크 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까지" 한울 2011

      5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육성으로 듣는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안보 구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 2006

      6 Buzan, Barry, "세계화시대의 국가안보" 나남출판 1995

      7 이수형,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포기-연루의 순환: 북핵 문제를 둘러싼 한ㆍ미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39 (39): 1999

      8 이수형, "관계적 계약이론과 한미 전략동맹에서의 잔여통제권 문제"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28, 2011

      9 Kim, TongFi, "Why Alliances Entangle But seldom Entrap States" 20 : 2011

      10 Kaufman, Daniel J., "U.S. National Security: A Framework for Analysis" D.C. Heath and Company 1985

      1 이종석, "칼날위의 평화: 노무현 시대 통일외교안보 비망록" 개마고원 2014

      2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⑤: 통일외교안보" 국정홍보처 2008

      3 이수형, "중견국가와 한국의 외교안보정책:노무현정부의 동맹재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2 (52): 3-27, 2009

      4 이근욱, "이라크 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까지" 한울 2011

      5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육성으로 듣는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안보 구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 2006

      6 Buzan, Barry, "세계화시대의 국가안보" 나남출판 1995

      7 이수형,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포기-연루의 순환: 북핵 문제를 둘러싼 한ㆍ미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39 (39): 1999

      8 이수형, "관계적 계약이론과 한미 전략동맹에서의 잔여통제권 문제"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28, 2011

      9 Kim, TongFi, "Why Alliances Entangle But seldom Entrap States" 20 : 2011

      10 Kaufman, Daniel J., "U.S. National Security: A Framework for Analysis" D.C. Heath and Company 1985

      11 Snyder, Glenn H.,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36 (36): 1984

      12 Mandelbaum, Michael, "The Nuclear Revolution: International Politics Before and After Hiroshi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13 Beckley, Michael, "The Myth of Entangling Alliances: Reassessing the Security Risks of U.S. Defense Pacts" 39 (39): 2015

      14 Schaller, Michael, "Securing the Great Crescent: Occupied Japan and the Origins of Containment in Southeast Asia" 69 (69): 1982

      15 Rourke, John T., "International Politics on the World Stage" The Dushkin Publishing Group, Inc. 1989

      16 Layne, Christopher, "From Preponderance to Offshore Balancing: America's Future Grand Strategy" 22 (22): 1997

      17 Tierney, Dominic, "Does Chain-Ganging Cause the Outbreak of War?" 55 : 2011

      18 Huntington, Samuel P., "Coping with the Lippmann Gap" 66 (66): 1988

      19 Christensen, Thomas J., "Chain gans and passed bucks: predicting alliance patterns in multipolarity" 44 (44): 1990

      20 Vorys, Karl Von, "American National Interest: Virtue and Power in Foreign Policy" Praeger 1990

      21 Snyder, Glenn H., "Alliance Theory: A Neorealist First Cut" 44 (44): 1990

      22 Snyder, Glenn H., "Alliance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23 Levy, Jack, "Alliance Formation and War Behavior: An Analysis of the Great Powers, 1495-1975" 25 (25): 1981

      24 Rumsfeld, Donald H., "A New Kind of Wa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