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상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외상 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28584
서울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158.3 판사항(22)
서울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related emotions and forgiveness
vi, 90 p.p. : 삽화, 표 ; 26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홍혜영
참고문헌 : p.72-80
부록1 : 외상 후 진단 척도 부록2 : 한국판 외상평가 척도 부록3 : 한국인 용서척도 부록4 : 자기자비 척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상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외상 후...
본 연구는 외상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126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외상 후 진단척도(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DS), 한국판 외상평가 척도(TAQ), 자기자비 척도(K-SCS), 한국인 용서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정서(전체)와 그 하위요인 배신감, 공포, 소외감, 분노, 수치심이 용서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자기-자비(전체)와 그 하위요인 자기친절이 용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전체)가 외상정서 하위요인 중 공포와 소외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외상 정서(전체)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으며, 외상 정서(전체)와 용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전체)와 그 하위요인 마음챙김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외상 정서 하위요인 중 자기비난과 분노를 제외하고 배신감, 공포, 소외감, 수치심과 용서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전체)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자기비난은 용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고, 자기-자비(전체)와의 조절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분노는 자기자비 하위요인 보편적 인간성만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외상 정서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자비가 상당한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밝혀, 상담 장면에서 외상 정서의 수준은 물론 배신감, 공포 등 다른 외상정서에 따라 자기-자비(전체) 및 자기자비 하위요인의 사용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between Trauma-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126 adults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PTSD and aged over 18 from Seoul...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between Trauma-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126 adults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PTSD and aged over 18 from Seoul, Kyong-Gi, Incheon. The instruments were included: (a)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DS (b) Trauma Appraisal Questionnaire (c) Self-Compassion Scale (d) Korean Forgiveness Scale. Collected data from the 126 adults were analyzed with various types of analysi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rauma related emotions(totality) and the sub-factor betrayal, fear, alienation, anger, shame(except self-blame)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t the same time, Self-Compassion(totality) and the sub-factor self-kindnes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nd Self-Compassion(totality)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only fear, alienation (of the sub-factor of trauma related emotions).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were suggested that Self-Compassion (totality) and the sub-factor mindfulness moderated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totality)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In addition, Self-Compassion (totality) moderated between betrayal, fear, alienation, shame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But Self-Compassion(totality) did not moderate between self-blame, anger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is study was demonstrated role of Self-Compassion a moderator against trauma related emotions leading forgiveness, which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of Self-Compassion should be changes according to trauma related emotions level in counseling session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 words:
trauma related emotion, Self-Compassion,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