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時代 주요 調理書와 『東醫寶鑑』의 藥酒에 대한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Medicinal Liquor from the 『Donguibogam』 and Major Culinary Texts of th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87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Objectives: 조선시대 의서와 주요 조리서에 나타난 藥酒에 관한 기록들을 검토하고 비교하여 서로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thods: 『東醫寶鑑』, 『山家要錄』, 『需雲雜方』, 『음...

      Objectives: 조선시대 의서와 주요 조리서에 나타난 藥酒에 관한 기록들을 검토하고 비교하여 서로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thods: 『東醫寶鑑』, 『山家要錄』, 『需雲雜方』, 『음식디미방』, 『閨閤叢書』에서 약재가 포함된 술을 추출하고, 각각의 내용을 검토한 뒤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Results: 조리서의 내용 중 의서를 인용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서술이 포함되거나 다양한 약재들로 方劑에 가까운 藥酒를 기록한 경우가 있다. 『東醫寶鑑』이 藥酒 중 일부는 『俗方』을 인용하였으며, 이는 조리서 계통의 문헌들을 참고하여 기록했을 가능성이 있다. Conclusions: 약주에 관한 의서와 조리서의 서술은 상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Records on medicinal liquor in medical texts and major culinary texts of the Joseon period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identify their relevance. Methods : Liquors that include medicinal ingredients in the Donguibogam, Sangayorok, Suunja...

      Objectives : Records on medicinal liquor in medical texts and major culinary texts of the Joseon period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identify their relevance. Methods : Liquors that include medicinal ingredients in the Donguibogam, Sangayorok, Suunjapbang, Eumsikdimibang, and the Gyuhapchongseo and Juchan were collec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entry were compared following thorough examination. Results : Direct citing of medical texts or specialized medical descriptions in the culinary texts or descriptions of medical liquor composed of various medicinals close to formula compositions are evidences that medical knowledge influenced culinary texts. Conclusions : Descriptions on medicinal liquor in medical texts and culinary texts could be said to have influenced eac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
      •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자,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전통음식의 향약성에 관한 고찰" 11 (11): 2001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김미림,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전통음식에 대한 약선적 의미" 2012

      8 정부인 안동 장씨, "음식디미방 주해" 글누림 2006

      9 오재근, "약 하나로 병 하나 고치기(用一藥治一病): 『동의보감』 단방의 편찬과 계승" 대한의사학회 22 (22): 1-40, 2013

      10 이숙인, "선비의 멋 규방의 맛" 글항아리 2012

      1 신민자,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전통음식의 향약성에 관한 고찰" 11 (11): 2001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김미림,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전통음식에 대한 약선적 의미" 2012

      8 정부인 안동 장씨, "음식디미방 주해" 글누림 2006

      9 오재근, "약 하나로 병 하나 고치기(用一藥治一病): 『동의보감』 단방의 편찬과 계승" 대한의사학회 22 (22): 1-40, 2013

      10 이숙인, "선비의 멋 규방의 맛" 글항아리 2012

      11 全循義, "다시 보고 배우는山家要錄" 궁중음식연구원 2011

      12 鄭明鎬, "韓國傳統 梨花酒 釀造技術에 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1) : 1011-1034, 2004

      13 金綏, "需雲雜方" 백산출판사 2020

      14 憑虛閣李氏, "閨閤叢書" 보진재 2008

      15 빙허각 이씨, "閨閤叢書" 백산출판사 2019

      16 황혜성, "閨壼是議方" 한국인서출판사 1985

      17 東洋醫學大辭典 編纂委員會, "東洋醫學大辭典 6"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18 裵商冕, "朝鮮酒造史" 奎章閣 1997

      19 許浚, "新增補對譯 東醫寶鑑" 法仁文化社 2012

      20 全循義, "山家要錄" 농촌진흥청 2004

      21 윤숙경, "古調理書 需雲雜方·酒饌" 신광출판사 1998

      22 윤상득, "『동의보감』의 술(酒)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3 배영동, "16~17세기 안동문화권 음식조리서의 등장 배경과 역사적 의의-『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의 사례-" 남도민속학회 (29) : 135-17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3 0.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