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화정책과 금융여건을 고려한 한국의 잠재GDP 추정 = Estimation of Potential GDP in South Korea Considering Monetary Policy and Financial Cond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61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앙은행의 정책, 금융여건 및 경기변동은 독립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은 공급 혹은 실물 측면을 독립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GDP갭 추정에 편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고에서는1996년에서 2011년의 기간중 통화정책과 금융여건을 반영한 다변수필터 방식으로 잠재GDP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3∼2005년 당시 잠재GDP 수준은 상당히 하락하였고 GDP갭이 양(+)의 값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기부양정책이 주로 시행되었는데 이는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의 한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고의 결과는 향후 통화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번역하기

      중앙은행의 정책, 금융여건 및 경기변동은 독립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은 공급 혹은 실물 측면을 독립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GDP갭 추정에 편의...

      중앙은행의 정책, 금융여건 및 경기변동은 독립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은 공급 혹은 실물 측면을 독립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GDP갭 추정에 편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고에서는1996년에서 2011년의 기간중 통화정책과 금융여건을 반영한 다변수필터 방식으로 잠재GDP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3∼2005년 당시 잠재GDP 수준은 상당히 하락하였고 GDP갭이 양(+)의 값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기부양정책이 주로 시행되었는데 이는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의 한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고의 결과는 향후 통화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cies of central banks, financial conditions, and economic fluctuations are not entirely independent;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has the convenience of considering supply or real factors independently, potentially leading to biases in estimating the GDP gap that represents economic fluctuations. In this paper, we estimate potential GDP using a multivariate filtering approach that incorporates monetary policy and financial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11.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the level of potential GDP during the years 2003 to 2005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line, and the GDP gap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value. Despite this, expansionary economic policies were predominantly implemented during that time,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ld implications for future monetary policy formulation.
      번역하기

      The policies of central banks, financial conditions, and economic fluctuations are not entirely independent;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has the convenience of considering supply or real factors independently, po...

      The policies of central banks, financial conditions, and economic fluctuations are not entirely independent;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has the convenience of considering supply or real factors independently, potentially leading to biases in estimating the GDP gap that represents economic fluctuations. In this paper, we estimate potential GDP using a multivariate filtering approach that incorporates monetary policy and financial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11.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the level of potential GDP during the years 2003 to 2005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line, and the GDP gap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value. Despite this, expansionary economic policies were predominantly implemented during that time,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ld implications for future monetary policy form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잠재GDP 정의와 추정방법
      • Ⅲ. 잠재GDP 추정모형의 설정
      • Ⅳ. 새로운 잠재GDP 추정결과에 기초한 경기변동의 비교·분석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잠재GDP 정의와 추정방법
      • Ⅲ. 잠재GDP 추정모형의 설정
      • Ⅳ. 새로운 잠재GDP 추정결과에 기초한 경기변동의 비교·분석
      • Ⅴ.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