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짝친구관계와 학교생활적응 : 초등학생4학년과 중학생2학년을 대상으로 = Mutual friendship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in 4th and 8th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486866

      • 저자
      • 발행사항

        부천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8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65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부록: 1. 단짝친구관계특성의 요인분석, 2. 단짝친구관계특성들간의 상관관계, 3. 단짝친구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문지
        참고문헌: p. 49-56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88명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 또래수용도를 알아보았다.
      서로가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196명의 아동들의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이 중학교 2학년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움, 친밀감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단짝친구간에 도움, 친밀감, 동료애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좋았고, 단짝친구간에 갈등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나뻤다. 또한 이러한 단짝친구관계특성은 학교생활적응을 예언하였다.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4학년보다 친구수가 더 많았으며 또한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는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수준이 더 높고 갈등 수준이 더 낮았으며, 외로움을 덜 느꼈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은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과 친밀감 수준만이 높았고 학교생활적응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단짝친구관계의 발달적인 측면과 관계특성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 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88명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 또래수용도를 알아보았다. 서로가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196명의 아동들의 단짝친...

      본 연구는 288명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 또래수용도를 알아보았다.
      서로가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196명의 아동들의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이 중학교 2학년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움, 친밀감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단짝친구간에 도움, 친밀감, 동료애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좋았고, 단짝친구간에 갈등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나뻤다. 또한 이러한 단짝친구관계특성은 학교생활적응을 예언하였다.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4학년보다 친구수가 더 많았으며 또한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는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수준이 더 높고 갈등 수준이 더 낮았으며, 외로움을 덜 느꼈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은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과 친밀감 수준만이 높았고 학교생활적응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단짝친구관계의 발달적인 측면과 관계특성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 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and gender,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in 288 4th and 8th grade students.
      The friendship qua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196 students who had mutual friendship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4th grader reported mor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than 7th gra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gender. Girls reported more help, intimacy quality than boys.
      Third, students who hav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with very best friend were related to good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ose who have conflict quality were related to poor school-related adjustment. In addition these friendship qualities predicted school-related 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riendship,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 to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discussed. The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and gender,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in 288 4th and 8th grade students. The friendship qua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196 students who 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and gender,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in 288 4th and 8th grade students.
      The friendship qua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196 students who had mutual friendship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4th grader reported mor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than 7th gra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gender. Girls reported more help, intimacy quality than boys.
      Third, students who hav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with very best friend were related to good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ose who have conflict quality were related to poor school-related adjustment. In addition these friendship qualities predicted school-related 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riendship,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 to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discussed. The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개요 = 1
      • 서론 = 2
      • 1. 단짝친구관계 = 4
      • 2. 또래수용 = 11
      • 목차
      • 논문개요 = 1
      • 서론 = 2
      • 1. 단짝친구관계 = 4
      • 2. 또래수용 = 11
      • 3. 학교생활적응 = 12
      • 4. 문제 제기 및 가설 = 14
      • 연구방법 = 18
      • 1. 연구 대상 = 18
      • 2. 연구도구 = 18
      • 3. 연구절차 = 21
      • 결과 = 22
      • 1. 단짝친구관계의 발달적 특성 = 22
      • 2. 서로 지명한 단짝친구가 있는 학생들의 단짝친구관계와 학교생활적응 = 26
      • 논의 = 40
      • 참고문헌 = 49
      • Ⅶ. 부록 = 57
      • Ⅷ. 영문인준서 = 66
      • ABSTRACT =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