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초기대승의 수행문화 - 출가보살과 재가보살의 기원과 전개 = An asceticism of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oddhisattvaga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71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의 수행문화는 사문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고 그 핵심은 출가수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가자들의 수행 역량은 무시되지 않았다. 초기불교 문헌에는 아라한과를 성취한 재가자와 청...

      불교의 수행문화는 사문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고 그 핵심은 출가수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가자들의 수행 역량은 무시되지 않았다. 초기불교 문헌에는 아라한과를 성취한 재가자와 청정범행을 하는 우바새(優婆塞, upasaka)의 존재가 확인된다. 대승불교 초기 보살승은 성문승에 우호적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보살승은 성문승의 구족계를 받을 이유가 없었다. 재가자들은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 받을 수 있는 십선계를 받았다. 이로 인해 출가와 재가의 구분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지만 문헌 자료들은 오히려 숲속에서의 출가수행이 강조되고 권장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탑사에 거주하던 재가자들 가운데는 청정범행을 하여 출가자로 간주되어도 문제가 될바가 없던 자들이 존재했었고, 또한 출가자 가운데는 숲속에서 혹독한 수행을 하던 비구 외에도 몇 가지 이유로 탑사에서 생활하는 것이 허용되었던 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탑사의 운영과 관리에 종사했다는 이유로 재가자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이후에 등장한 불교딴뜨리즘에서는 초월적 능력을 성취하는 것이 수행자의 목표가 되어 그 목적을 위해서 출가와 재가가 혼융되는 수행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전개는 아리안계의 브라흐마나와 토착문화에서 비롯된 슈라마나의 융합으로 조성된 인도종교의 토양에서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재가 수행자는 인도불교의 전개에 있어 대중(gaṇa)을 형성하는 주요 멤버였으나 상가(saṅgha)의 구성원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인도불교 수행 문화를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불교 발생기에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인도불교의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적 역할은 사문 곧 출가자에게 있었다. 초기 대승에서 재가의 역할이 강조되었음에도 오히려 더 엄격한 출가수행이 독려되었다는 사실에서도 이를 확인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practice is based on Shramanism and its core is renunciation. Nevertheless, the competence of lay people were not neglected.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confirms the existence of lay people who achieved the Arhatship and upasakas who pr...

      The Buddhist practice is based on Shramanism and its core is renunciation. Nevertheless, the competence of lay people were not neglected.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confirms the existence of lay people who achieved the Arhatship and upasakas who practice Brahmacarya. In the early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 were not friendly to Shravaka, so they had no reason to receive their ordination from the monks. They received the ten (wholesome) precepts relevant to both monks and householders. Regarding this, there seems to be no distinction between the monk and the laity, but literatures show that ascetic practice in the wilderness was emphasized and encouraged. In later Buddhist Tantrism, the achievement of supernatural power is the goal of the practitioner, where the combined aspect of practice of lay people and that of renounced monks is seen.
      This development seems to have been an inevitable flow in the Indian religious tradition created by the fusion of the Brahmanism of the Aryans and the Shramanism derived from the indigenous culture. The lay practitioner was a key member of the Buddhist community(saṅgha) in the development of Indian Buddhism, but was not strictly a member of the saṅgha. Nevertheless, it cannot be denied that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leading Indian Buddhist practices. However,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the central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Indian Buddhism was by Shramanas, the Buddhist monks.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although the role of lay people was emphasized in the early stages, stricter practice of renounced monks was encourag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철, "중국 불경의 탄생" 창비 2008

      2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하" 민족사 1991

      3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상" 민족사 1989

      4 "瑜伽師地論, 大正新修大藏經 T30"

      5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T24"

      6 "摩訶僧祇律, 大正新修大藏經 T22"

      7 "大智度論, 大正新修大藏經 T25"

      8 "十住毘婆沙論, 大正新修大藏經 T26"

      9 平川彰, "初期大乘佛敎의 宗敎生活" 민족사 1989

      10 平川彰, "初期大乘佛敎の硏究" 春秋社 1968

      1 이종철, "중국 불경의 탄생" 창비 2008

      2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하" 민족사 1991

      3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상" 민족사 1989

      4 "瑜伽師地論, 大正新修大藏經 T30"

      5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T24"

      6 "摩訶僧祇律, 大正新修大藏經 T22"

      7 "大智度論, 大正新修大藏經 T25"

      8 "十住毘婆沙論, 大正新修大藏經 T26"

      9 平川彰, "初期大乘佛敎의 宗敎生活" 민족사 1989

      10 平川彰, "初期大乘佛敎の硏究" 春秋社 1968

      11 "佛說未曾有因緣經, 大正新修大藏經 T17"

      12 Gaina Sūtras,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45" Max muller 1895

      13 Bailey, Greg, "The Sociology of Early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4 S. Radhakrishnan, "The Principal Upaniṣads" George Allen & Unwin Ltd 1953

      15 V. Trenckner, "The Milindapañho" PTS 1986

      16 V. Trencker, "The Majjhima-nikāya (The Majjhima Nikāya), Vols. I-III" PTS, 1979

      17 T. W. Rhys Davids, "The Dīgha Nikāya, Vols. I-III" PTS 1976

      18 H.C. Norman, "The Commentary on the Dhammapada, vols.1-4" PTS 1970

      19 Oldenberg, H, "Ten principal upanishads with Śāṅkarabhāṣya" Motilal Banarsidass. Vinayapiṭaka 1997

      20 Bābāśāstrīphaḍake, "Taiitirīyāraṇyakam: Śrimat-sāyaṇacārya-viracitabhāṣabya-sametam" Ānandāśrama 2008

      21 "T: 大正新修大藏經"

      22 D. Andersen, "Suttanipāta" PTS 1990

      23 Pande, G. C, "Studies in the Origins of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74

      24 "Sn: Suttanipāta"

      25 "PTS: Pāli text Society"

      26 "P.: Pāli"

      27 "MN: Majjhimanikāya"

      28 Arnold C. Taylor, "Kathāvatthu" PTS 1897

      29 Basham, A. L, "History and Doctrines of Ājīvikas" Motilal Banarsidass 1951

      30 B. Bhattacharya, Baroda, "Guhyasamāja Tantra" Oriental Institute 1967

      31 H. Oldenberg, "Dīpavamsa: An Ancient Buddhist Historical Record" Williams & Norgate 1879

      32 "Dp: Dhammapada"

      33 O. von Hinüber, "Dp Dhammapada" PTS 1995

      34 "DN: Dīghanikāya"

      35 Shopen, Gregory, "Bones, Stones, and Buddhist Monk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2

      36 Winternitz, Mauric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1981

      37 Warder, A. K, "A Course in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