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衿陽雜錄』의 농업기술과 농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기존 『금양잡록』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그 편찬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양잡록』의 편찬은 姜希孟의 가학과 함께 李行으로부터 학문적ㆍ농학적 영향을 받았고, 15세기 후반 세조의 ‘諸書類聚’란 정치적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편찬은 특정 시기에 이루어졌다기보다는 금양별업으로 퇴거 이후부터 오랜 기간 준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강희맹은 중농의념을 통해 농민층에 농업기술을 전수하려 함과 함께 지배층에게도 항산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금양잡록』 水田의 稻는 품종의 종류, 특성, 토양 등을 고려하여 재배할 것을 기술하였지만, 이앙법에 대해 전혀 기술하고 있지 않았다. 旱田은 콩류를 중심으로 根耕, 雜播 등의 농업기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農事直說』에도 나타나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따라서 『금양잡록』의 수전과 한전농법은 일정 부분 『농사직설』과 기술적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지역적 차이에서 오는 현상이다.
      셋째, 『금양잡록』을 통해 15세기 중부지역의 농업기술 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강희맹은 農談에서 이앙법에 대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은 반면 ‘토맥이 처음 열릴 때 물을 가두어 耕種한다’ 혹은 ‘乾種으로 파종하고 물을 반자 정도 가두어 놓아야 한다’고 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당시의 농법은 水耕直播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5세기 후반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전에서 이앙법보다 직파법을 주로 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강희맹은 『금양잡록』을 통해 오곡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이러한 작물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금양잡록』은 『농사직설』에 기록된 작물의 수보다 적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편찬된 다른 어떤 농서보다도 작물의 수가 적은데, 이는 강희맹이 여타 작물에 대해 인식이 없었다기보다는 오곡이 농민층의 안정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금양잡록』은 각 작물의 특성과 품종의 수를 기록함으로써, 조선후기 농서의 작물학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작물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기존 『금양잡록』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그 편찬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양잡록』의 편찬은 姜希孟의 가학과 함께 李行으로부터 ...

      본고는 기존 『금양잡록』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그 편찬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양잡록』의 편찬은 姜希孟의 가학과 함께 李行으로부터 학문적ㆍ농학적 영향을 받았고, 15세기 후반 세조의 ‘諸書類聚’란 정치적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편찬은 특정 시기에 이루어졌다기보다는 금양별업으로 퇴거 이후부터 오랜 기간 준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강희맹은 중농의념을 통해 농민층에 농업기술을 전수하려 함과 함께 지배층에게도 항산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금양잡록』 水田의 稻는 품종의 종류, 특성, 토양 등을 고려하여 재배할 것을 기술하였지만, 이앙법에 대해 전혀 기술하고 있지 않았다. 旱田은 콩류를 중심으로 根耕, 雜播 등의 농업기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農事直說』에도 나타나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따라서 『금양잡록』의 수전과 한전농법은 일정 부분 『농사직설』과 기술적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지역적 차이에서 오는 현상이다.
      셋째, 『금양잡록』을 통해 15세기 중부지역의 농업기술 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강희맹은 農談에서 이앙법에 대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은 반면 ‘토맥이 처음 열릴 때 물을 가두어 耕種한다’ 혹은 ‘乾種으로 파종하고 물을 반자 정도 가두어 놓아야 한다’고 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당시의 농법은 水耕直播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5세기 후반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전에서 이앙법보다 직파법을 주로 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강희맹은 『금양잡록』을 통해 오곡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이러한 작물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금양잡록』은 『농사직설』에 기록된 작물의 수보다 적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편찬된 다른 어떤 농서보다도 작물의 수가 적은데, 이는 강희맹이 여타 작물에 대해 인식이 없었다기보다는 오곡이 농민층의 안정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금양잡록』은 각 작물의 특성과 품종의 수를 기록함으로써, 조선후기 농서의 작물학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작물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e content of Geumnyangjamnok and significance of its compilation.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Geumnyangjamnok could be considered in Gang Huimaeng(姜希孟)'s family learning, the influence of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and the political conditions in the fifteenth-century. It seems that Gang Huimaeng had prepared Geumnyangjamnok for a long time since he moved into his farm in Geumnyang. He was influenced by Gim Yemong(金禮蒙) and I Haeng(李行) in a learning and an agricultural science.
      Second, in regard of 'paddy field'(水田), Geumnyangjamnok detailed a method of cultivation according to varieties of rice and character of soil but didn't refer rice transplantation(移秧法) at all. In regrad of 'dry field'(旱田), it described agricultural technology such as raising two crops a year(根耕) and sowing various seeds(雜播), which Nongsajikseol(『農事直說』) also explained. There was a technological difference in farming methods between Geumnyangjamnok and Nongsajikseol.
      Third, it is significant that Geumnyangjamnok helped to guess agricultural technology of Joseon. Though Gang Huimaeng did not mention rice transplantation in chapter 'A Discourse on Agriculture', he communicated with farmers through direct seeding technique(直播法), for example "storing water, plowing ground, and sowing rice seeds when a vein of ground opens" or "sowing dry seeds and storing water". It shows that direct seeding was more generally used than rice transplantation in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ifteenth-century.
      Forth, Gang Huimaeng valued five grains and intended to spread them through Geumnyangjamnok. Grains in Geumnyangjamnok was less than ones in Nongsajikseol and other agricultural books of Joeson. It was not that he lacked his understanding of various grains but that he laid stress on five grains to stabilize the life of peasants.
      Fifth, Geumnyangjamnok, which detailed the character and kinds of crop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fluenced agricultural book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and provided theoretical basis for the science of agriculture in Korea.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d the content of Geumnyangjamnok and significance of its compilation.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Geumnyangjamnok could be considered in Gang Huimaeng(姜希孟)'s family learning, the influence of thoug...

      This thesis examined the content of Geumnyangjamnok and significance of its compilation.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Geumnyangjamnok could be considered in Gang Huimaeng(姜希孟)'s family learning, the influence of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and the political conditions in the fifteenth-century. It seems that Gang Huimaeng had prepared Geumnyangjamnok for a long time since he moved into his farm in Geumnyang. He was influenced by Gim Yemong(金禮蒙) and I Haeng(李行) in a learning and an agricultural science.
      Second, in regard of 'paddy field'(水田), Geumnyangjamnok detailed a method of cultivation according to varieties of rice and character of soil but didn't refer rice transplantation(移秧法) at all. In regrad of 'dry field'(旱田), it described agricultural technology such as raising two crops a year(根耕) and sowing various seeds(雜播), which Nongsajikseol(『農事直說』) also explained. There was a technological difference in farming methods between Geumnyangjamnok and Nongsajikseol.
      Third, it is significant that Geumnyangjamnok helped to guess agricultural technology of Joseon. Though Gang Huimaeng did not mention rice transplantation in chapter 'A Discourse on Agriculture', he communicated with farmers through direct seeding technique(直播法), for example "storing water, plowing ground, and sowing rice seeds when a vein of ground opens" or "sowing dry seeds and storing water". It shows that direct seeding was more generally used than rice transplantation in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ifteenth-century.
      Forth, Gang Huimaeng valued five grains and intended to spread them through Geumnyangjamnok. Grains in Geumnyangjamnok was less than ones in Nongsajikseol and other agricultural books of Joeson. It was not that he lacked his understanding of various grains but that he laid stress on five grains to stabilize the life of peasants.
      Fifth, Geumnyangjamnok, which detailed the character and kinds of crop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fluenced agricultural book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and provided theoretical basis for the science of agriculture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편찬배경과 농업론
      • 3. 농업기술
      • 4. 농학사적 의의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편찬배경과 농업론
      • 3. 농업기술
      • 4. 농학사적 의의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園經濟志"

      2 김도형, "麗末鮮初 李行의 정치활동과 사상적 경향" 효원사학회 31 : 1-40, 2007

      3 서윤희, "해제, in : 양화소록-선비화가의 꽃 기르는 마음" 눌와 1999

      4 李鎬澈, "토지파악방식과 田結, in : 朝鮮前期 農業經濟史" 한길사 1986

      5 강제훈, "조선초기 家系繼承 논의를 통해 본 姜希孟家의 정치적 성장" 조선시대사학회 (42) : 5-49, 2007

      6 張權烈, "우리나라의 古農書-荳科作物의 種類와 品種의 變遷(1492-1886)" 韓國育種學會 20 (20): 1988

      7 張權烈, "우리나라의 古農書-各種作物의 品種名이 기록되어 있는 古農書와 그 所藏處" 韓國育種學會 22 (22): 1990

      8 이종봉, "고려시기 수전농법의 발달과 이앙법"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6 : 1993

      9 이종봉, "고려각본 「元朝正本農桑輯要」 의 한국농학사상에서의 의미" 부산사학회 21 : 1991

      10 박경안, "강희맹(1424~1483)의 농장(農莊)에 관하여" 한국역사연구회 (46) : 105-138, 2002

      1 "林園經濟志"

      2 김도형, "麗末鮮初 李行의 정치활동과 사상적 경향" 효원사학회 31 : 1-40, 2007

      3 서윤희, "해제, in : 양화소록-선비화가의 꽃 기르는 마음" 눌와 1999

      4 李鎬澈, "토지파악방식과 田結, in : 朝鮮前期 農業經濟史" 한길사 1986

      5 강제훈, "조선초기 家系繼承 논의를 통해 본 姜希孟家의 정치적 성장" 조선시대사학회 (42) : 5-49, 2007

      6 張權烈, "우리나라의 古農書-荳科作物의 種類와 品種의 變遷(1492-1886)" 韓國育種學會 20 (20): 1988

      7 張權烈, "우리나라의 古農書-各種作物의 品種名이 기록되어 있는 古農書와 그 所藏處" 韓國育種學會 22 (22): 1990

      8 이종봉, "고려시기 수전농법의 발달과 이앙법"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6 : 1993

      9 이종봉, "고려각본 「元朝正本農桑輯要」 의 한국농학사상에서의 의미" 부산사학회 21 : 1991

      10 박경안, "강희맹(1424~1483)의 농장(農莊)에 관하여" 한국역사연구회 (46) : 105-138, 2002

      11 "高麗史"

      12 "養花小錄"

      13 "農歌集成"

      14 "農事直說"

      15 李基文, "衿陽雜錄의 穀名에 대하여"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5 : 1975

      16 金容燮, "衿陽雜錄과 四時纂要抄의 농업론, in : 朝鮮後期 農學史硏究" 일조각 1988

      17 金容燮, "衿陽雜錄과 四時纂要抄의 農業論"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 : 1988

      18 鄭在勳, "衿陽雜錄硏究" 동아대학교 1984

      19 片山隆三, "衿陽雜錄の硏究" 朝鮮學會 13 : 1958

      20 藤田亮策, "衿陽雜錄と著者" 書物同好會 16 : 1942

      21 金榮鎭, "衿陽雜錄 解題, in : 朝鮮時代前期農書"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4

      22 "衿陽雜錄"

      23 정철주, "穀名의 표기와 음운-衿陽雜錄과 山林經濟의 차자표기와 정음표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2 : 1993

      24 金泰永, "科田法체제에서의 土地生産과 量田, in : 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지식산업사 1983

      25 "私淑齋集"

      26 "睿宗實錄"

      27 閔成基, "朝鮮前期의 麥作技術考, in : 朝鮮農業史硏究" 일조각 1988

      28 "成宗實錄"

      29 "山林經濟"

      30 박경안, "姜希孟(1424~1483)의 家學과 農業經營論-‘理生’ 문제에 대한 認識과 관련하여-" 毋岳實學會 10 : 1999

      31 박경안, "姜希孟(1424~1483)의 農學理論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전국문화원연합회 7 : 2002

      32 "太祖實錄"

      33 "太宗實錄"

      34 "增補山林經濟"

      35 金榮鎭, "四時纂要抄와 四時纂要의 比較硏究"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8): 1985

      36 이종봉, "四時纂要抄 의 撰者와 農業技術" 한국중세사학회 2001

      37 "四時纂要抄"

      38 "世祖實錄"

      39 "世宗實錄"

      40 염정섭, "15세기 농법의 양상과 성격, in : 조선시대농법발달연구" 태학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