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반의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언어·사고 발달 수준에 적합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59166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8.8
2018
한국어
서울
Research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taking advantage of synonyms and antonyms : focusing on grammar and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vi, 138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유현경
I804:11046-0000005178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반의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언어·사고 발달 수준에 적합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
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반의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언어·사고 발달 수준에 적합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유의어·반의어 교육내용과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국어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의어·반의어 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교과서 분석은 유의어·반의어 학습 내용으로 제공되는 어휘 수준의 적절성과 학습 활동 문제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학교급별로 어휘의 수준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워 현재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어휘들이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또한 학습 활동은 매우 단순한 답을 요구하는 문제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초등과정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여전히 중·고등과정에서 다루고 있어 학습 활동 내용의 수준과 분량이 전후 학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어휘 및 인지 발달 단계에 적절한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유의어·반의어 교육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다른 영역과 쉽게 통합되기 어려운 영역이었던 ‘문법’ 영역을 ‘쓰기’ 및 ‘문학’ 영역과 통합하여 학습자가 학습한 문법 지식을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설계함으로써 그동안 명목상으로만 강조되어 왔던 ‘통합’의 가치를 재실현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법’과 ‘쓰기’의 통합형 교수-학습은 유의어를 활용한 활동으로 지나치게 반복되는 동어, 낮은 수준의 어휘를 유의 관계에 있는 어휘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글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글쓴이 수준에 맞는 성숙한 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의 격차를 줄여 결과적으로 어휘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문법’과 ‘문학’의 통합형 교수-학습은 반의어를 활용한 활동으로 소설 작품과 연계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을 분석하여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후 기존의 인물과는 전혀 다른 반대의 인물을 창조해냄으로써 텍스트와의 능동적인 소통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반의어’는 인물 창조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소설의 이야기와 자신의 또 다른 사고의 대립을 경험하면서 건전한 비판의식과 창의적 사고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특히 유의어와 반의어에 집중하여 현재 교육 실태를 살피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많은 어휘 교육의 방법들과는 달리 학습한 어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점과 실제적인 통합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